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백제부흥운동과 웅진도독부의 위치 (Baekje Reconstruction Movement and Location of Ungjin Dodokbu (熊津都督府))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8 최종저작일 2018.08
26P 미리보기
백제부흥운동과 웅진도독부의 위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백제학회
    · 수록지 정보 : 백제학보 / 25호 / 159 ~ 184페이지
    · 저자명 : 박지현

    초록

    당은 660년 신라와 연합하여 백제를 정벌한 후 그 땅에 기미지배기구를 설치하였다. 당의 이민족 지배에적용된 기미정책은 정벌한 이민족 지배층을 당의 지방관제에 포섭, 도독·자사로 임명하여 다스리게 하는 것이었으며, 이는 백제에도 그대로 적용되었다. 멸망 직후의 상황을 기록한 사료들을 살펴보면 당이 백제의 5방에 5도독부를 설치한 것을 알 수 있다. 이때 웅진도독부는 북방성이었던 웅진에 두어졌던 것으로 파악된다.
    그러나 660년 8월부터 일어난 백제부흥운동으로 인해 당의 백제고토 지배정책은 대대적으로 수정되었다.
    당은 애초에 5도독부를 설치하고 이를 도호부가 관할하게 함으로써 백제 전역에 대한 지배계획을 세웠지만, 부흥운동이 발발하면서 당의 지배력은 사비와 그 근방으로 한정되었다. 따라서 이 시기 5도독부가 정상적으로 운영되었을 것으로 보기는 어렵지만, 다만 유인원과 유인궤가 도호부가 있던 사비를 떠나 웅진을 거점지로 삼았던 것을 보면 웅진도독부는 그대로 웅진에 남아 유지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백제부흥운동 진압 과정에서 신라가 백제영역의 일부를 차지하게 되면서 기존의 5도독부 체제는폐지되었고, 당은 회맹을 통해 신라의 백제영역 차지를 인정하고 남은 백제고토를 1도독부-7주-51현으로재정비하였다. 사료에 도독부의 명칭은 남아있지 않지만, 이 시기 백제고토 지배를 총괄하고 있던 최고위 관직명이 ‘웅진도독’이었으므로 1도독부의 명칭은 웅진도독부였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앞서 660년 5도독부 중 하나로 북방 웅진성에 설치되었던 것과 달리, 1도독부 시기의 웅진도독부는 사비에 설치되었다. 웅진(공주)가 도독부 관할 영역이 아닌 동명주 관할 영역에 속해 있다는 점, 도독부 관할 하 속현들의 위치가 부여를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우이현과 관련된 목간이 부여에서 출토되었다는점, 부여가 백제의 마지막 수도로서 영역지배의 중심지로 활용하기 효과적이었다는 점, 부여에서 대당명 와당이나 유인원기공비 등 당 관련 유물들이 여럿 출토된다는 점이 이를 뒷받침한다. 따라서 1도독부체제 전환 이후 웅진도독부의 치소는 부여에 두어져 백제고토지배의 중심으로서 운영되었다고 생각된다.

    영어초록

    Táng (唐), after conquering Baekje in collaboration with Sylla in 660, established the government for Gimi(羈縻) territory. Táng implemented Gimi (羈糜) policy for controlling other ethnic communities, which were conquered by Táng or surrendered themselves. Through Gimi policy, Táng took advantage of the system which pre-existed in subjected communities. Gimi policy included the engagement with the existing ruling class of those communities in the forms of hiring them as administrators or keeping the existing district system. In case of Baekje, the original administrative districts – five Bangs(方), thirty seven Guns(郡), and two hundred Sungs(城) – were remained as five Dodokbus (都督府), thirty seven Jus (州), and two hundred fifty Hyuns (縣). Ungjin Dodokbu, one of the Five Dodokbus, was on the Ungjin, Northern Bang (北方城).
    However, the government policy of Táng on the Baekje territory were amended on a large scale, thoughTáng had initially planned to rule the whole of Baekje territory through Dohobu(都護府) in Sabi, the capital of Baekje, and five Dodokbus. Táng could not effectively govern the greater part of the territory and failed to manage Baekje Restoration Movement started right after the fall of Baekje. I speculate that five Dodokbus were not properly functioning. Even so, Ungjin Dodoku was expected to marginally operate because Liúrényuàn(劉仁願) and Liúrénguǐ(劉仁軌), commanders of Táng army, left Sabi, went to Ungjin and were used as strategic positions for suppressing Baekje Buheunggun (百濟復興軍).
    While Baekje Buheunggun was suppressed, the land once dominated by Táng began to shrink and Silla occupied some areas of Baekje’s territory. Táng reformed former government system into one Dodokbu, seven Jus and fifty one Hyuns. The title of theDodokbu was speculated as Ungjin Dodokbu.
    However, unlike 1st Ungjin Dodokbu, 2nd Ungjin Dodokbu was established at Sabi. The first evidence is that Ungjin – referring to current Gongju area – was under Dongmyung Ju(東明州)’s governing. The Hyuns ruled by Ungjin Dodokbu were located around Sabi, and Mokgan(木簡) related with Wooi Hyun(嵎夷縣) was also discovered at Buyeo, which refers to Sabi area. Furthermore, Táng was easily able to useSabi as the hub for management because Sabi was the center of government at the period of Baekje.The relics related with Táng, as the roof-end tile carved ‘大唐’ and memorial stone of Liúrényuàn, which were discovered at Buyeo, are critical evidence for the specul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백제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9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5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