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화흠 미술 아카이브, ‘나의 백안(白岸)’ 연구 (A Study on ‘My Hill’: the art archive of Ko Hwa-heum)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8 최종저작일 2024.03
34P 미리보기
고화흠 미술 아카이브, ‘나의 백안(白岸)’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전남대학교 5.18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민주주의와 인권 / 24권 / 1호 / 239 ~ 272페이지
    · 저자명 : 김허경

    초록

    고화흠은 일제강점기 동경녹음사화학교(東京綠陰社畵學校)에 입학하여 미술교육을 받고 서양화를 배웠으며 해방 직후부터 1990년대까지 수채화와 유화라는 장르를 넘나들며 구상에서 비구상, 추상으로의 변화 과정을 거쳐 자신만의 독자적인 회화세계를 구축한 작가이다.
    초기(1940~1950년대)는 풍경, 정물, 인물 등 자연에 바탕을 둔 사실주의 화풍을 구사했으며 중기(1960년대)에 이르러 자신만의 화의(畫意)를 표현하기 위해 반추상으로 전환했으며 후기(1970년대~)는 <백안> 시리즈를 중심으로 대상과 정신의 합일, 심수상응(心手相應), 사의(寫意)를 통한 추상의 세계를 펼쳐냈다. 이 연구는 호남 서양화단의 초석을 다진 고화흠의 미술 아카이브를 통해 서정적인 추상의 세계, 즉 스스로 지칭한 한국미의 시어적 표현인 ‘나의 백안’을 분석한 것이다. 고화흠의 생애와 전시기록, ‘한국수채화협회’(1956), ‘창작미술협회’(1957)의 활동들은 ‘나의 백안’에 함축된 미학적 범주를 가늠할 수 있는 근거이기에 참여했던 전시와 단체활동에 나타난 작품의 경향을 살펴보았다. 고화흠이 직접 쓴 『현대회화의 연구-한국적인 작품제작』(1987)과 「백안기」(1989)를 중심으로 살펴보면 구상과 비구상을 거쳐 다다른 추상의 세계인 ‘백안’시리즈는 궁극의 시점을 펼쳐낸 사의의 표상이자 그의 미학적 신념이 구현된 심수상응의 경지임을 확인할 수 있다. 현재 고화흠에 관한 작가론, 미술비평이 부재한 상황에서 연구를 위해 수집한 문헌・작품 자료들은 ‘백안’의 세계가 어떻게 형성・구현되었는지 살펴볼 수 있을 뿐 아니라 호남 서양화단과 한국 현대미술의 흐름을 동시에 고찰하는 계기를 제공한다.

    영어초록

    Ko Hwa-heum, educated in art, particularly in Western painting, at the Ryokuinsha Painting School in Tokyo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crafted his own distinctive painting style. He traversed various genres, including watercolor and oil painting, evolving from figurative to non-figurative to abstract forms. This transformation occurred from the period after liberation until the 1990s, marking a series of significant changes in his artistic journey. During his early period (1940s and 1950s), Ko Hwa-heum's art was characterized by nature-based realism, focusing on landscape, still life, and portrait paintings. In the middle period (1960s), he transitioned to semi abstract painting as a means to express his own artistic vision. In the latter period (1970s onwards), he centered his work around the <White Hill> series, unfolding a world of abstraction through the harmonization of object and spirit (心身合一), the correspondence of mind and technique (心手相應), and the exploration of descriptive thought (寫意). This study delves into the realm of lyrical abstraction in which Ko Hwa-heum was immersed, encapsulated poetically as ‘my white hill’ in his depiction of Korean beauty. By analyzing the art archive of Ko Hwa-heum, the foundational figure of the Western Painter Group in the Honam region, this research aims to comprehend the essence of his artistic expression. To discern the overarching tendencies of his work, this paper examines Ko Hwa-heum's life history, exhibition records, and involvement in organizations such as the ‘Korea Watercolor Association’ (1956) and the ‘Creative Arts Association’ (1957). These aspects serve as the foundation for evaluating the aesthetic nuances implicit in ‘my white hill.’ Focusing on A Study on Contemporary Fine Art (1987) and On White Hill(1989), authored by Ko Hwa-heum himself, this study asserts that the <WhiteHill> series encapsulates his ultimate artistic vision, characterized by the correspondence between mind and technique (心手相應) and the exploration of descriptive thought (寫意). These works unfold a realm of abstraction achieved through both figurative and non-figurative elements. In the absence of existing artist theories or art criticisms on Ko Hwa-heum, the literature and materials gathered for this study not only illuminate the formation and realization of the <White Hill> world but also offer a means to concurrently explore the trends within the Honam Western Painter Group and Korean contemporary ar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민주주의와 인권”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4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