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玉峯集』 서문에 보이는 白光勳의 문예인식 (Paek Kwang-Hun(白光勳)’s The Conciousness of Literary art in the Preface of Okbongjib(玉峯集))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8 최종저작일 2009.08
36P 미리보기
『玉峯集』 서문에 보이는 白光勳의 문예인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근역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 29권 / 37 ~ 72페이지
    · 저자명 : 김종서

    초록

    「옥봉집」의 서문은 네 편이 있다. 柳根, 李廷龜, 申欽이 지은 서문과 尹光啓가 지은 後序이다. 尹光啓의 후서에는 문집 간행의 당위성과 전말이 대략 드러나 있다. 선조 41년(1608, 戊申) 봄에 옥봉의 아들 白振南이 호남관찰사로 부임했던 尹安性의 도움을 얻어 목판으로 「玉峯詩集」을 간행하였다. 柳根, 李廷龜, 申欽은 「옥봉집」의 서문에서 唐風, 正音, 正聲 등 당대 문예사조의 동향과 옥봉이 당풍의 학습을 통한 성취의 문학사적 의미를 평하였다.
    「옥봉집」의 서문에 거론된 것은 옥봉이 시적 성공을 통해 한계적 자기 상황의 극복을 시의 성취에 두었고, 시의 바른 지향과 절대적 경지를 당시의 성취에 두었음을 강조한다. 또 옥봉은 시의 단련을 통한 습득한 함축적인 표현과 여운을 통해 개성적이며 직관적이며 창조력이 뛰어난 자연스런 경지의 순수시를 완성해 냄으로써 당풍의 시인으로 이름을 얻었다고 평가된다. 이들 서문의 논의를 종합하면 옥봉은 시어를 단련하고 시구를 다듬으며 시상을 정련시켜 마음에서 흡족해진 뒤에야 시를 세상에 내놓아 완성된 시에는 조탁의 흔적을 볼 수 없어 자연스런 경지까지 올라갔다고 평가 된다. 옥봉의 시는 편마다 아름답고 音調는 맑게 울리면서 音律의 法度에 맞아 소리의 정수를 터득한 것이라 하여 옥봉 시는 정감을 울려내는 음영성에 성공하였음을 말한 것이다.
    옥봉의 시는 그의 기질과 삶의 환경에 따라 시의 소리가 달라졌으며, 작품의 배경과 심정 상황에 따라 작품의 소리를 달리 나타난다. 옥봉이 추구한 것은 이른바 소리와 심기의 어울림인 聲氣之和를 시에 구현하는 것이었다. 한시는 태생적으로 중국어이기에 중국인의 언어구조와는 달리 우리나라 시인들이 사고하는 우리말과는 어순과 정감의 표현 방식이 다르다. 우리 시인들은 한시의 염법과 압운 등의 율격을 표현수단으로 수용해서 사용했을 뿐이다. 그러기에 한자를 차용하여 표현한 한시는 우리의 입말로 노랫가락으로 표현하는 것에 비해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그렇지만 옥봉은 한자와 한시의 구법을 단련하여 중국인의 경지 특히 당나라 시인들이 구사했던 언어 표현의 경지까지 표현 역량을 끌어올렸다. 한시 형식으로서의 소리는 韻이며 내적 소리는 情感이다. 옥봉은 시에 사용한 음운의 상응여부와 크게 상관하지 않고 한시의 언어표현을 모국어수준까지 끌어올려 자신의 감정을 모국어처럼 자연스럽게 표현해 냈으니 이것이 바로 성기의 조화이며 이 경지가 바로 正音이라 하겠다. 내적 정감의 가락을 모국어의 입말 수준으로 읊고 노래될 때 시가 자연스럽게 되며, 그런 자연스런 정감을 한시의 양식으로 표현한 것을 ‘正音’이라고 한 것으로 보인다.

    영어초록

    There are three prefaces of Yugun(柳根), YiJeonggu(李廷龜), Shinheum(申欽) and one epilogue of Yunguanggye(尹光啓) in Okbongjib. These prefaces show the trend of literary thought such as Dang style(唐風), Jeongeum(正音), Jeongseong(正聲) and the estimation of Okbong(玉峯) Paek Kwang-Hun(白光勳)'s literature.
    Okbong tried to change his situation through the poetic success. He thought that the absolute accomplishment was Dang poetry(唐詩). He made hard effort on the implication and the suggestiveness of poetry. So he gained the fame as a poet of Dang style(唐風).
    The sound of poetry was changed by the temper and the life environment. The sound of emotion was changed by the background of the work and the state of the feeling. This is Jeongeum(正音):the poetic embodiment of the harmony between sound and feeling. Okbong refined the poetic diction and made careful poetic idea and he accomplished perfect and natural poetic stag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6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