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지역아동센터 급식을 위한 적정 배식량 제안 (Recommendation of Serving Size of the Meal Service of Community Child Centers in Korea)

1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8 최종저작일 2014.08
11P 미리보기
지역아동센터 급식을 위한 적정 배식량 제안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 수록지 정보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19권 / 4호 / 361 ~ 371페이지
    · 저자명 : 이상은, 심재은, 권수연, 여윤재, 윤지현

    초록

    본 연구는 한국영양학회의 2010년 한국인 영양섭취기준에 수록된 식사구성안의 권장식사패턴과 제 4기 국민건강영양자료(2007~2009년) 중 정상체중인 6~18세 아동 및 청소년 3,096명의 24시간 회상법을 통한 1일 식사섭취자료를 분석한 결과를 이용하여 급식관리 전문인력이 부재한 지역아동센터에서 실무자가 쉽게 활용할 수 있는 적정 배식량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아동센터를 주로이용하는 아동 및 청소년들의 연령과 성별에 따라 ‘음식의 1 인 적정분량’을 배식할 수 있도록 세 가지 수준의 배식량을제안하였고 밥, 국이나 찌개 한 가지, 단백질반찬 한 가지, 채소반찬 한 가지, 김치 한 가지씩 포함하는 식단구성을 기본식단으로 제시하였다.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한국영양학회의 2010년 식사구성안의 권장식사패턴과 에너지 필요추정량을 고려하여 배식량을 ‘소(1600 kcal 기준)’, ‘중(2000 kcal 기준)’, ‘대(2600 kcal 기준)’의 세가지 수준으로 설정하였다. 배식량 ‘소’는 저학년 초등학생과 고학년 여자 초등학생, ‘중’은 고학년 남자 초등학생과중·고등학교 여학생, ‘대’는 중·고등학교 남학생을 각각적용대상으로 하였다.
    2) 식사구성안의 권장식사패턴에 제시된 ‘1일 권장 섭취횟수’를 적용하여 주요 식품군의 ‘1일 권장 섭취횟수’를 배식량 수준별로 ‘곡류’군 : ‘고기·생선·계란·콩류’군 : ‘채소류’군 = (소)2.5 : 3 : 5, (중)3 : 4 : 6, (대)4 : 6 : 7로 정하였다.
    3) 배식량 수준별로 설정된 ‘1일 권장 섭취횟수’를 기초로점심 또는 저녁 한 끼로 제공할 각 식품군의 ‘1식 권장 섭취횟수’를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곡류’군의 ‘1식 권장 섭취횟수’는 ‘1일 권장 섭취횟수’의 30%, ‘고기·생선·계란· 콩류’와 ‘채소류’군은 각각 40%에 해당하는 값으로 정하여‘곡류’군 : ‘고기·생선·계란·콩류’군 : ‘채소류’군 = (소) 0.75 : 1.2 : 2, (중)0.9 : 1.6 : 2.4, (대)1.2 : 2.4 : 2.8 로 하였다.
    4) 본 연구에서 설정된 식품군별 ‘1식 권장 섭취횟수’를다시 식단구성 요소별로 할당하였다. 식단구성 요소별 ‘1식권장 섭취횟수’에 식사구성안의 ‘식품군별 대표식품의 1인1회 분량(g)’을 곱하여 식단구성 요소별 ‘1식 식품 제공량’ 을 산출하였다. 세 가지 수준으로 설정된 배식량을 급식 현장에서 간단히 대상에 맞춰 적용할 수 있도록 식단구성 요소별 ‘1식 권장 섭취횟수’를 이용하여 배식량 ‘중’에 대한 ‘소’ 와 ‘대’의 비율을 함께 제시하였다.
    5) 실제 조리된 음식을 통해 배식량 수준별 ‘음식의 1인적정 배식량’을 설정하기 위해 실험조리를 실시하였다. 조리된 음식의 1인 분량 중량들의 중앙값을 이용하여 배식량 ‘중’ 에 해당하는 ‘음식의 1인 적정분량’을 최종 밥 190 g, 국210 g(건더기 60 g), 단백질반찬 중 고기·계란·콩류는100 g, 어류는 70 g, 건어물류 30 g, 채소반찬 80 g, 김치30 g으로 제안하였다. 본 배식량은 ‘밥 + 국이나 찌개 + 단백질반찬 + 채소반찬 + 김치’로 구성된 식단을 기본식단으로 하여 설정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제시한 성별과 연령에 따라 세 가지 수준으로 제안한 ‘음식의 1인 적정분량’은 급식전문가가확보되지 않은 지역아동센터의 급식에 활용 가능할 것으로생각된다. 또한 근거에 기반한 본 연구의 접근방법은 적정 배식량이 설정되지 않은 다른 유형의 급식의 배식량 설정에 적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영어초록

    Objectiv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set easily applicable portion sizes by sex and age for children at the Community Child Centers (CCC) in Korea.
    Methods: Considering the age and gender specific energy level at Target Patterns for children aged 6-18 years, which were suggested as a part of the 2010 Korean Food Guidance System (KFGS), we set three meal sizes. We reclassified the recommended daily servings of Grains, Meat⋅fish⋅eggs⋅beans and Vegetables group at Target Patterns into three meal sizes, and then calculated the recommended serving per meal. Each proposed amount of food per meal was calculated based on serving size of foods commonly eaten at KFGS, which was then allocated to five meal components; rice, soup?stew, protein and vegetable side-dishes and Kimchi. Each proposed amount of food per meal was applied to 173 menus’ recipes from CANpro 3.0 as main ingredient’s amounts. We cooked the 173 menus at the medium size and measured their weights after cooking.
    Results: Each recommended serving per meal was 0.75, 0.9 and 1.2 for Grains; 1.2, 1.6 and 2.4 for Meat⋅fish⋅eggs⋅beans; 2, 2.4 and 2.8 for Vegetables by meal sizes.
    Among five meal components, the ratio of small and large to medium size was 1/5 less and 1/3 more for rice and 1/3 less and 1/3 more for soup⋅stew, protein side-dish and Kimchi, respectively. We suggested the same amount for a vegetable side-dish to encourage vegetable intake. Proper portion sizes per meal of medium were rice 190 g, soup⋅stew 210 g (solid ingredients 60 g), protein side-dish 100 g (meat⋅eggs⋅beans) and 70 g (fish), vegetable side-dish 80g and Kimchi 30 g.
    Conclusions: Proper portion size per meal suggested in this study may be useful at the CCC where dietitians are not available and the approach could be applicable to the other types of meal servic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1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