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아름’, ‘만풍배’ 및 ‘신고’ 배의 성숙 기간 중 과실특성 및 세포벽 관련물질의 변화 (Changes of Fruit Characteristics and Cell Wall Component during Maturation and Ripening in Asian Pear ‘Hanareum’, ‘Manpungbae’, and ‘Niitaka’ (Pyrus pyrifolia Nakai))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8 최종저작일 2012.08
12P 미리보기
‘한아름’, ‘만풍배’ 및 ‘신고’ 배의 성숙 기간 중 과실특성 및 세포벽 관련물질의 변화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원예학회
    · 수록지 정보 : 원예과학기술지 / 30권 / 4호 / 345 ~ 356페이지
    · 저자명 : Vu Thi Kim Oanh, 이욱용, 최진호, 이한찬, 천종필

    초록

    본 실험에서는 국내에서 육성한 조생종 ‘한아름’과 중생종 ‘만풍배’를 ‘신고’ 품종과 대조하여 과실생장 기간 중의과실 품질요인의 변화 및 세포벽 구성물질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세 품종 모두 생육기간 중 과육의 경도는 지속적으로감소하여 과실성숙기의 경도는 ‘한아름’, ‘만풍배’ 및 ‘신고’에서 각각 29.4, 33.5 및 27.4N으로 나타났다. 세 품종 모두성숙기에 에틸렌발생량이 매우 낮았는데 ‘한아름’에서만 성숙일에 0.39μL ‧ L-1를 보였고 ‘만풍배’와 ‘신고’는 성숙일에에틸렌이 측정되지 않았다. 세 품종의 가용성당은 과당이 우점하고 있었고, 과실의 성숙과 더불어 공통적으로 자당의 비율이 증가하였다. 세 품종에서 성숙기에 조사한 알코올불용성물질(EIS)의 함량은 조생종인 ‘한아름’의 경우, 10.79mg ‧ g-1FW로 ‘만풍배’의 12.72 및 ‘신고’의 12.75mg ‧g-1 FW에 비해낮았다. 총가용성 펙틴은 ‘한아름’이 성숙기에 81.05μg ‧mg-1 EIS로 ‘만풍배’의 57.88 및 ‘신고’의 61.81μg ‧ mg-1EIS에 비해 높은 수준이었다. 수용성펙틴 분획의 분자량 변화는 과실발육 초기에 공통적으로 유의하였다. 4% KOH 가용성 hemicelluloses 함량은 ‘신고’에서 28.05μg ‧ mg-1 EIS 로 세 품종 중 유의하게 그 수준이 낮았고 과실 성숙에 따른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셀룰로오스 함량은 ‘한아름’의 경우 성숙기에 408.00μg ‧ mg-1 EIS, ‘만풍배’ 및 ‘신고’ 는 각각 538.67 및 612.33μg ‧ mg-1 EIS이었다. 세포벽 구성 중성당 함량은 품종에 관계없이 과실이 비대하고 성숙이 진행됨에 따라 그 함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한아름’의 경우 우점 중성당인 arabinose 및 galactose 함량이 성숙기인만개 후 127일에 급격히 감소하였다. 조생종인 ‘한아름’에서 성숙과 더불어 4% KOH 가용성 헤미셀룰로오스 및xyloglucan의 분해가 유의하였고 ‘만풍배’ 및 ‘신고’는 과실발육 초기에만 변화가 나타났다. Chelator 및 Na2CO3 가용성펙틴과 24% KOH 가용성 헤미셀룰로오스 분획의 분자량변화는 품종에 관계 없이 매우 제한적이었다.

    영어초록

    We investigated the changes of fruit quality parameters, polysaccharide contents and cell wall components during maturation and ripening of two Korean pear cultivar ‘Hanareum’ and ‘Manpungbae’compared with ‘Niitaka’ pear (Pyrus pyrifolia Nakai) which showed different physiological maturity based on days after full bloom (DAFB). Flesh firmness decreased continuously with fruit development and maturation,reaching a final level of 29.4, 33.5, and 27.4N at maturity in ‘Hanareum’ (127 DAFB), ‘Manpungbae’ (163DAFB), and ‘Niitaka’ (170 DAFB), respectively. The level of ethylene production was very low in early season ‘Hanareum’ pear which showed at most 0.39 μL ‧ L-1 at maturity and no ethylene was detected in ‘Manpungbae’ and ‘Niitaka’ at maturity. Fructose was the most abundant soluble sugar during fruit maturation in the pears tested and an increase of sucrose was observed during fruit ripening in the Asian pears commonly.
    Ethanol insoluble solids (EIS) content decreased gradually with different levels among the pear cultivars as fruit ripens consisted of 10.79, 12.72, and 12.75 mg ‧ g-1 FW. The amount of total soluble polyuronides was higher in early season cultivars ‘Hanareum’ than those of mid-season cultivar ‘Manpungbae’ and ‘Niitaka’.
    In ‘Niitaka’ which harvested most late season, the level of 4% KOH soluble hemicelluloses was lower than ‘Hanareum’ and ‘Manpungbae’ and maintained constantly during fruit ripening period. Cellulosic residues were determined high level in ‘Niitaka’ which showed 612.33 μg ‧ mg-1 EIS at maturity when compared with ‘Hanareum’ (408.0 μg ‧ mg-1 EIS) and ‘Manpungbae’ (538.67 μg ‧ mg-1 EIS). The main constituents of cell wall neutral sugars which consisted of arabinose, xylose, galactose, and glucose were decreased gradually with onset of fruit ripening regardless of cultivar. Arabinose which was predominant in ‘Hanareum’ pear decreased at the last stage of ripening, but the changes of cell wall neutral sugar during ripening were not occurred in ‘Niitaka’ pear. The change of molecular mass distribution in water soluble pectin observed dominantly at the early stage of fruit development. Depolymerization of 4% KOH-soluble hemicelluloses and degradation of xyloglucan showed in early-season cultivar ‘Hanareum’ during fruit maturation, and degradation of those fractions were detected only at the early stage fruit development in mid-season cultivar ‘Manpungbae’ and ‘Niitaka’. The molecular mass profile of CDTA soluble pectin, Na2CO3-SP and 24% KOH soluble hemicelluloses showed no significant change during fruit maturation regardless of cultiva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원예과학기술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3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