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중국 조선족과 한국인의 텃밭 활용형태 비교 -중국 수남촌과 한국 금계마을의 사례- (Comparisons of the Vegetable Garden Use Forms of the Korean-Chinese and Koreans -Case of Sunam Village in China and Geumgye Village in Korea-)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8 최종저작일 2019.04
34P 미리보기
중국 조선족과 한국인의 텃밭 활용형태 비교 -중국 수남촌과 한국 금계마을의 사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비교민속학회
    · 수록지 정보 : 비교민속학 / 68호 / 95 ~ 128페이지
    · 저자명 : 최유정

    초록

    이 연구는 중국 수남촌의 조선족과 한국 금계마을 사람들의 텃밭 이용 실태를 현지조사하여 비교분석함으로써 공통점과 차이점을 찾아내고, 중국 조선족의 텃밭 활용에서 나타나는 문화접변 양상을 밝혔다. 중국 조선족과 한국인의 텃밭 활용에 대해 비교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중국 조선족의 텃밭 활용에 대해서는 크게 3시기로 구분하여 설명할 수 있다. 제1시기에 수남촌 주민들은 부족한 식량을 충당하기 위한 목적에서 텃밭에 작물을 재배하였다. 제2시기에는 가계에 보탬을 주기 위한 목적으로 텃밭을 경작했다. 제3시기에도 이러한 경향은 지속되었지만, 제2시기와 조금 다른 점이 있다면 일부 주민들은 텃밭에 상품작물을 재배하여 가계 수익을 얻었던 것이다.
    이에 반해 한국인의 텃밭 활용 양상은 집집마다 다르게 나타나며, 시기에 따라 큰 변화가 없었다. 금계마을 주민들의 경우 텃밭이 집 마당 혹은 울타리 밖 가까이 붙어있고, 넓이는 50평(165㎡) 정도인 경작지를 텃밭으로 인식하였다. 금계마을 주민들의 이러한 텃밭 인식과 텃밭 활용 사이에는 큰 차이가 있다. 텃밭을 가꾸는 집은 대체로 텃밭이 울타리 밖에 있었다. 텃밭이 없는 집은 집 주변에 딸린 밭이 없는 경우나 부유해서 굳이 텃밭이 필요하지 않는 경우에 해당한다. 금계마을 주민들은 주로 텃밭에 자급작물을 재배한다. 하지만 일부 주민들의 경우 상품작물을 재배하는 경작지에 자급작물을 심어 텃밭처럼 이용하기도 한다.
    중국 조선족과 한국인의 텃밭 활용 양상의 공통점과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양자의 공통점은 텃밭을 일상적 자급작물을 재배하는 토지로 이용한다는 점과 소일거리의 공간으로서 활용한다는 점, 가족관계 실천의 장으로 이용한다는 점이다. 반면에 차이점은 경제체제의 차이로 인해 형성된 텃밭에 대한 인식, 텃밭의 규모와 형태, 가계 내 텃밭의 위상과 비중 등이다. 그리고 자연환경과 음식문화의 영향이 텃밭 경작의 방식과 작물을 결정하였다는 사실도 차이점이다.
    중국 조선족의 텃밭 활용 양상에 대한 중요한 특징은 중국 한족과 중국 조선족 사이의 문화접변 현상이다. 이러한 현상은 크게 사회주의 체제 성립과 수용에 의한 문화접변과 음식문화 차이에 의한 문화접변이다. 이 두 가지의 문화접변은 서로 다른 양상을 띤다. 텃밭의 규모와 형태, 인식에 관한 한 중국 조선족들이 사회주의 체제에 동화되었다고 할 수 있다. 반면, 음식문화 차이에 의한 문화접변을 보면 중국 조선족은 중국 한족과 한민족의 음식문화를 공유하고 있었다. 나아가 중국 조선족은 두 민족의 음식문화를 합쳐 그들만의 새로운 음식문화를 창출하였다.

    영어초록

    This study conducted a field study of the uses of vegetable gardens of the Korean-Chinese and Koreans, analyzed common features and differences, and revealed acculturation aspects that appear in the vegetable garden uses of the Korean-Chinese. After comparative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vegetable garden uses of the Korean-Chinese and Koreans, uses of the Korean-Chinese could be largely divided into 3 periods and during each period, vegetable garden use aspects differed. During the first period, Sunam Village residents grew crops in vegetable gardens to cover food shortages. During the second period, vegetable gardens were cultivated to support the family, and these tendencies continued on into the third period. However, a difference between the second and third periods was that some residents grew commercial produce in vegetable gardens to gain household earnings.
    On the other hand, with Koreans, vegetable garden use aspects appeared differently for each house and there were no large changes according to different periods. Geumgye Village residents placed their vegetable gardens in their house yards or close by outside their fences and spaces with an area of approximately 50 pyeong (165㎡) were perceived as vegetable gardens. Unlike these perceptions, the actual circumstances of the vegetable garden use of the Geumgye Village residents show large differences. Since yards had long been considered spaces where articles for farming were stored and where crops were stored and managed, there were rarely any cases in which there were vegetable gardens inside house fences. If there were no fields attached around the house or if the farmers were wealthy, they did not have vegetable gardens. Also, some residents planted home-consuming crops in spaces where commercial crops were grown, using those spaces like vegetable gardens.
    When the common features and differences of the vegetable garden use aspects of the Korean-Chinese and Koreans are compared, the following differences are shown. Common traits are that vegetable gardens are used as spaces that provide everyday home-consuming crops and as places that are used for pastimes and to fulfill family relationships. Differences appeared in garden sizes and forms, the status and gravity of vegetable gardens in the family, and perceptions of vegetable gardens due to differences in economic structures and natural environments and the influence of food culture determined vegetable garden cultivation methods and crops.
    Differences between the vegetable garden use of the Korean-Chinese and Koreans display the acculturation phenomena between the Chinese Hans and the Korean-Chinese in a socialist system. Such phenomena largely has aspects that lie upon a socialist system and aspects that lie upon food culture and these two do not have identical levels of acceptance. With regard to the size, form, and perceptions of vegetable gardens, the Korean-Chinese can be considered to have assimilated to a socialist system. On the other hand, from aspects of food culture, the Korean-Chinese have shared in the food culture of the Chinese Han and the Koreans. Further, the Korean-Chinese fused the food culture of these two peoples to create their own new food cul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비교민속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5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