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대통령 선거방송 토론회를 위한운영세칙과 관리규정 개선방안 : 제18대 대선 토론회에서의 문제점을 중심으로 (A descriptive analysis of rules and regulations in operating the 2012 Korean presidential debates : the problems and drawbacks, and its implications for greater debates in 2017 presidential election.)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8 최종저작일 2015.06
38P 미리보기
대통령 선거방송 토론회를 위한운영세칙과 관리규정 개선방안 : 제18대 대선 토론회에서의 문제점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 수록지 정보 : 정치커뮤니케이션연구 / 37호 / 113 ~ 150페이지
    · 저자명 : 이상철, 오창우

    초록

    이 연구에서는 제18대 대통령 선거방송 토론에서 중앙선거방송토론위원회가 토론회 개최 준비, 진행, 관리 등의 과정에서 어떠한 역할을 수행했는지를 검토하고, 운영상 미비한 점들은 무엇이며, 개선 방안은 무엇인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첫째, 2012년 제18대 대선토론회의 개최일시, 사회자 선정, 토론회 초청 후보자등 토론회의 배경과 상황을 소개하였다. 둘째, 2012년 12월 4일 개최한 제1차 토론회에서 드러난 문재인 후보의 ‘사랑의 열매’ 배지 부착과탈착에 관한 논란을 분석하였으며 관련 운영세칙에 대한 개선방안을 논의하였다. 셋째, 해당중계방송사의 방송제작과 운용에 관한 운영세칙을 검토하고 해당 방송사가 선거방송 토론위원회에 통보하는 절차와 이를 후보자 측에게 알리는 시점에 관한 세칙을 논의하였다. 넷째, 12월10일 개최한 제2차 토론회에서 박근혜 후보가 지참한 가방이 ‘아이패드’ 논란으로 비화된 과정을분석하였으며, 보조자료와 지참물에 관한 운영세칙의 홍보 미숙으로 불필요한 정쟁 유발과정을살펴보았다. 다섯째, 2012년 12월 16일 제3차 토론회 개최 8시간 전, 이정희 후보의 갑작스런사퇴로 인하여 토론의 형식과 진행을 급히 수정하고, 당일 후보자가 사퇴할 경우, ‘빈의자를 스튜디오에 배치’해야 한다는 당시 운영세칙에 따른 거듭된 논란을 검토하였으며, 박근혜 후보와문재인 후보의 양자 토론이 개최되는 과정과 ‘빈의자 배치’를 결정 하는 과정을 분석하였다. 또한 정치공학적인 목적으로 당일 후보자가 불참하거나 사퇴하는 경우를 대비한 세칙의 필요성을논의하였다. 여섯째, 2012년 대선에서 중앙선거방송토론위원회 소위원회의 기능과 역할을 논의하고, 그 보완점과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중앙선거방송토론위원회가 대통령 선거방송 토론회 운영방안을 지방자치단체장 선거 및 국회의원 선거와 동일한 관리규정과 운영규칙을 적용함으로써 나타나는 문제점들을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rules and regulations in operating the televised presidential debates in the 2012 Korean presidential election. It, also, investigates problems and drawbacks of debate rules and regulations, formulated by Korean National Election Broadcasting Debate Commission(KNEBDC).
    First, it describes the procedures of Korean National Election Broadcasting Commission, that is an administrative institution, for preparing rules of debate formats, numbers, dates, time, moderators, and broadcasting stations. Second, it explores problems and drawbacks in operating the first 2012 presidential election debate, held on December 4, and it argues that no detailed rules on wearing badges and emblems created unnecessary political disputes. Third, it analyses the second 2012 presidential debate in which ambiguous rules of limiting materials and belongings brought by candidates into debate studio caused worthless issues beside candidate's character and policy. It argues that this superfluous issue turned public attention away from the contents of argument into political theater. Fourth, a sudden resignation 8 hours before the third 2012 presidential debate, by Chunghee Lee to support runner-up candidate, Jaein Moon, resulted in preparing hasty new rules and formats for two-participant debate from three-participant debate for the first time in Korean presidential debate history. Fifth, it investigates the shortcomings of an instantaneous decision for the change by National Election Broadcasting Debate Commission members and it argues more specified rules and regulations applicable to a sudden resignation or absence of a candidate needed. Finally, in order to held a greater debate in the 2017 Korean presidential election, it suggests that more specific rules and regulations of presidential debates should be prepared at least six months before the election through close examinations and discussions not by only the 11 members of the Commission but by academics, journalists, voters, and even campaign strategis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