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통합사례관리 수퍼비젼 체계 분석 및 통합사례관리 수퍼비젼 모델 운영 방안 : 생태학적 관점과 법적 위계 중심으로 (Analysis of the Integrated Case Management Supervision System and Operation Plan of the Integrated Case Management Supervision Model : Focusing on the Ecological Perspective and Legal Hierarchy)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8 최종저작일 2024.09
29P 미리보기
통합사례관리 수퍼비젼 체계 분석 및 통합사례관리 수퍼비젼 모델 운영 방안 : 생태학적 관점과 법적 위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통합사례관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케어매니지먼트 연구 / 52호 / 5 ~ 33페이지
    · 저자명 : 황미경

    초록

    이 연구는 생애 전반의 통합적 휴먼서비스 제공을 위한 통합사례관리 수퍼비젼 체계 분석 및 통합사례관리 수퍼비젼 모델 운영 방안 모색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통합사례관리제도의 정체성과 통합사례관리 수퍼비젼 체계의 생태학적·법적 속성 및 여러 국가에서 운영중인 통합 수퍼비젼 모델(integrated supervision model)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한국의 통합사례관리제도는 사회보장급여법에 의거 보장기관이 지원하는 사회보장급여와 민간부문의서비스를 종합적으로 연계·제공하는 기제로 통합사례관리 수퍼비젼의 효율적 운영을 위하여 다양한 사례관리 전달체계의 연계 및 증거 기반의 성찰과 통합적 접근을 필요로 한다. 주요 연계 부문은 국민기초생활보장법에 근거한자활사례관리, 의료급여법상 의료급여사례관리, 장애인복지법상 장애인가족 사례관리와 민관협력 사례관리, 아동복지법상 피해아동보호사례관리, 청소년복지지원법상 통합지원체계에서의 청소년사례관리, 사회복지사업법상 사회복지관 사업으로 사회복지서비스를 연계·제공하는 사례관리, 정신건강사례관리, 노인맞춤돌봄, 치매환자사례관리 등2024년 돌봄통합지원법 제정으로 사회적 돌봄이 강화되는 사회서비스 전달체계로 확장되고 있다. 이에 통합돌봄과통합사례관리 전달체계를 관장하는 통합 수퍼비젼 모델로서 통합사례관리 수퍼비젼 모델 운영 방안을 제시하였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the institutional identity of integrated case management in Korea and to suggest an integrated case management supervision system with an integrated case management supervision model operation plan that could support integrated services throughout life in a delivery system where the responsibility for social care could be expanded due to the enactment of the Care Integration Support Act in 2024.
    To this end, the integrated case management supervision system supported by the state was analyzed. Literature, social welfare laws, and previous studies were also analyzed for the operation of the integrated supervision model.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integrated case management, which brought about the reorganization of legislation and delivery systems, could comprehensively link and provide social security benefits supported by the social security agency and social services from the private sector according to Article 42-2 of the Social Security Benefits Act. Changes in the delivery system for the efficient operation of integrated case management supervision require data and evidence-based reflection and an integrated approach. Main areas of linkage included self-reliance case management introduced with the enforcement of the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Act in 2000, medical aid case management pursuant to the establishment of Article 5-2 of the Medical Aid Act in 2011, case management of families of disabled persons pursuant to Article 30-2 and case management of public-private cooperation pursuant to Article 32-7 of the Welfare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Act in 2017, case management for the protection of victimized children pursuant to Article 22-4 of the Child Welfare Act enacted in 2020, youth case management in the integrated support system for youth in the local community pursuant to Article 9 of the Youth Welfare Support Act, and case management that could link and provide social welfare services at social welfare centers with the establishment of Article 34-5 of the Social Welfare Services Act in 2021, expanding to a social service delivery system that could provide customized care for the elderly, case management for dementia patients, mental health case management, and integrated care.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integrated case management supervision system with emphases on universalization and responsibility of social security benefits, social services, and social care. We also identified ecological and legal system properties and proposed an operation plan for the integrated case management supervision model as an integrated supervision mode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0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