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우울증 기독 청소년의 수치심 이해와 목회 상담적 치료방안 : 애착 관계를 중심으로 (Understanding Shame of a Christian Adolescent with Depression and Pastoral Counseling Interventions : Focused on Attachment Relationships)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8 최종저작일 2022.05
27P 미리보기
우울증 기독 청소년의 수치심 이해와 목회 상담적 치료방안 : 애착 관계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실천신학회
    · 수록지 정보 : 신학과 실천 / 79호 / 429 ~ 455페이지
    · 저자명 : 노바울

    초록

    본 연구는 상담 현장에서 만난 한 기독 청소년의 우울증과 수치심의 이해와 치료방안에 대한 고민으로부터 시작하였으며 수치심의 심리적 영적 영향, 발달과정, 그리고 수치심 극복 과정을 애착 관계를 중심으로 탐색하고 분석하며 목회 상담적 치료방안을 제시한다. 수치심은 인간의 기본적인 자기 의식적 감정으로서 우울증, 자살사고, 자기혐오, 그리고 역기능적 대인관계에 의미 있는 연관성이 있음이 보고되고 있다. 우울증과 자살사고가 있는 많은 청소년들이 수치심 및 그와 연관된 부정적 자기감정을 느낀다. 청소년 시기는 심리적 영적 안녕에 영향을 끼치는 많은 변화를 경험하는 시기로서 본 연구는 청소년기의 수치심 발달에 대한 분석을 애착 관계를 중심으로 고찰하였으며 하나님과의 애착 관계 또한 영적 수치심의 관점에서 연관성을 논의하였다. 영유아기부터 주 양육자와의 상호작용과 애착 관계 경험을 통해서 자기 자신의 가치와 평가에 대하여 긍정적 또는 부정적 감정을 느끼게 되고 그것이 수치심 형성에 영향을 끼치게 됨을 알 수 있다. 애착 관계 관점에서 볼 때 영유아 시절의 분리와 상실 경험으로 인해서 불안정 애착 행동이 나타나며 자신과 타인에 대한 부정적인 자아상과 대인 표상이 형성될 수 있다. 그와 관련한 최근 연구들은 불안정 애착 경험을 가진 개인들이 수치심과 심리적 문제 증상을 나타내 보이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그와 관련하여 청년 K의 우울증과 수치심이 부정적인 또래 관계 경험, 보호자와의 불안정 애착 및 이성 관계에서의 상실과 연관성이 있음을 고찰하였다. 기독교인의 수치심으로부터의 회복은 수치심 감정을 회피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을 만나 영적 정체성을 회복하며 더 이상 수치심 상태에 머물러 있지 않고 자신을 하나님의 존귀한 자녀로 인식하며 자신을 혐오하는 것이 아니라 사랑할 존재로 바라보게 되는 것이다. 온전한 수치심 극복은 하나님과 깊은 만남과 자신의 존재에 대한 깊은 깨달음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는 수치심으로부터의 회복을 위한 목회적 돌봄과 목회 상담을 위해 하나님께 나아가기, 영적 재 초점 맞추기, 영적 깨달음, 수치심 마주하기, 새로운 정체성 강화하기의 방안을 제시하였다.

    영어초록

    This study started with the consideration and treatment for a Christian adolescent with depression and shame in the counseling practice and suggested pastoral counseling interventions for recovering from shame. Shame is a basic human self-conscious emotion, and it has been reporte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depression, suicidal ideation, self-hatred, and dysfunctional interpersonal relationships. Many clients with depression and suicidal thoughts report feelings and experiences of shame. Adolescence is a period of experiencing many changes that affect psychological and spiritual well-being, and the analysis of the development of shame in adolescence was reviewed focusing on attachment relationships, and the relationship with God was also discussed in terms of spiritual shame. From infancy, individuals tend to have positive or negative emotions about their values and evaluation from others, and this affects the formation of shame. From the viewpoint of attachment relationships, the experiences of separation and loss during infancy and early childhood can lead to insecure attachment behaviors and negative self-image and interpersonal representations of self and others can be formed. Recent studies related to it show that individuals with insecure attachment experiences display symptoms of shame and anxiety. In relation to this, it was investigated that depression and shame in an adolescent K were related to negative peer relationship experiences, insecure attachment with caregivers, and loss in relationships with the opposite sex. The Christian's recovery from shame is not to avoid feeling of shame, but to meet God and restore spiritual identity. Individuals who recovered from shame no longer remain in a state of shame. They recognize themselves as God's precious children, and they see themselves as loving beings rather than loathing them. To restore from shame completely, a deep encounter with God and a deep realization of one's existence are essential. Approaching God, spiritual refocusing, spiritual awareness, facing shame, and strengthening new identity were dealt with as a necessary process in pastoral care and healing for Christians with sham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학과 실천”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