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高麗圖經』 譯註」(5) -권3 「城邑」편의 「坊市」~「郡邑」과 권4 「門闕」편의 분석을 중심으로- (Goryeodogyoung Annotated (5))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8 최종저작일 2017.11
40P 미리보기
「『高麗圖經』 譯註」(5) -권3 「城邑」편의 「坊市」~「郡邑」과 권4 「門闕」편의 분석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사학회
    · 수록지 정보 : 韓國史學報 / 69호 / 491 ~ 530페이지
    · 저자명 : 이진한, 김선미, 김윤지

    초록

    『고려도경』은 1123년에 宋 사절단의 일원이었던 徐兢이 고려에 방문하여 견문한 내용을 담고 있다. 이 글은 『고려도경』 가운데 권3 「城邑」편의 「坊市」, 「貿易」, 「郡邑」 부분과 권4 「門闕」편을 살핀 것이다. 「坊市」, 「貿易」, 「郡邑」 부분은 고려 개경의 시장과 경제 활동, 고려의 지방제도를 다루고 있다. 그리고 「門闕」편은 개경 왕성 문궐에 관한 내용으로, 이를 통해 12세기 당시 고려의 상황과 송나라 사람의 고려에 대한 인식을 엿볼 수 있다. 『고려도경』 권3의 「坊市」와 「貿易」 부분에서 서긍은 개경에는 중국의 坊市制와 시장이 없으며, 화폐 경제가 발달하지 못하였다고 언급하였다. 이는 고려와 중국의 제도가 같지 않고 중국에 비해 시장 경제가 발달하지 않았던 고려의 상황을 보여준다. 다만, 서긍이 개경 내부로 들어온 이후의 활동이 자유롭지 않아, 고려의 상황을 정확히 관찰하지 못한 점을 감안해야 한다. 「郡邑」 부분에서 개경과 그에 버금가는 도시로서의 서경, 3경・4도호부・8목에 관한 부분은 고려의 지방제도에 관한 정보를 비교적 정확히 전달하고 있다. 그러나 고려 군읍의 수나 모든 지역에 지방관을 파견하였다는 것 등의 언급은 고려의 실상과 맞지 않은 부분이 있다. 『고려도경』 권4의 「門闕」편은 고려 궁궐문에 관한 기록이다. 「門闕」편은 송 사신 일행이 개경으로 들어와 고려 국왕에게 조서를 전달하기까지의 과정에 따라 「宣義門」, 「外門」, 「廣化門」, 「昇平門」, 「同德門」, 「殿門」의 순서로 궁궐문을 소개하였다. 宣義門은 서긍이 개경에 들어온 첫 번째 문이고, 외문은 개경의 羅城門에 관한 설명이다. 서긍은 고려의 궐문 제도가 제후의 禮에 따라 3문 체제였다고 하고, 이에 맞추어 廣化門 이하의 표제를 선정하였다. 그런데 고려 황성은 廣化門-昇平門-神鳳門-閶闔門-會慶殿門의 5문 체제였다. 「門闕」편은 고려 황성의 체제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그 구조를 자세히 묘사하여, 고려 황성에 대한 연구의 중요한 사료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

    영어초록

    Goryeodogyeong(高麗圖經) was written by Seogeung(徐兢) after his visit to Goryeo in 1123 as a member of the delegation from Song Dynasty. In this article, we examine the parts on ‘Bangshi(坊市, a fang-shi system)', ‘Muyeok(貿易, a trade)', ‘Guneup(郡邑, a provincial system)' of Volume 3 'Seongeup(城邑, a castle town)' and Volume 4 ‘Mungwol(門闕, a palace gate)' of ‘Goryeodogyeong'. The three parts of Volume 3 each deals with markets, economic activities in the capital city of Gaegyeong, and a provincial administrative system of Goryeo Dynasty, and Volume 4 introduces palace gates in Gaegyeong(開京). They describe the state of affairs in Goryeo in 12th century and show how people from Song looked at and thought of Goryeo.
    In parts on ‘Bangshi' and 'Muyeok' of Volume 3, Seogeung mentioned that he could not find a system akin to Song's Bangshije(坊市制, a fang-shi system) in Gaegyeong, and that the monetary system was not well established. This shows that the two countries had a different market system, and the market economy in Goryeo was underdeveloped compared to Song. However, it needs to be noted that Seogeung's movements were restricted while he was in Gaegyeong and that he might not have observed the state of affairs correctly. In parts on ‘Guneup', he provided relatively accurate information on Goryeo's provincial system as he described the system of three Gyeong(京), four Dohobu(都護府) and eight Mok(牧). However, some observations are incorrect, including the number of guneup or that the government sent officials to all provincial regions.
    Volume 4 ‘Mungwol' of Goryeodogyeong is a record on palace gates in Goryeo Gaegyeong. The description is made in the order of ‘Seoneuimun(宣義門)', ‘Oemun(外門)', ‘Gwanghwamun(廣化門)', ‘Seungpyeongmun(昇平門)', ‘Dongdeokmun(同德門)' and ‘Jeonmun(殿門)', following the Song delegation's procession from the entry to Gaegyeong and the delivery of official letter to the king. Seoneuimun is the first gate that Seogeung passed in Gaegyeong, and the records on Oemun introduces the concept of 'Naseongmun(羅城門)' in Gaegyeong. Seogeung wrote that the palace gates in Gaegyeong followed a triple gate system courtesy of the royal class, and that the names of the gates lower in status than Gwanghwamun were chosen accordingly. However, in fact, the capital city of Goryeo had a five gate system consisted of ‘Gwanghwamun(廣化門)', Seungpyeongmun(昇平門)', ‘Shinbongmun(神鳳門)', ‘Changhapmun(閶闔門)' and ‘Hoegyeongjeonmun(會慶殿門).' Nonetheless, the records on ‘Mungwol' in Goryeodogyeong have a great historical value for study of the capital city of Goryeo as they give specific explanations on the city's system and detailed description of its structur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韓國史學報”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1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