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국가재무제표 유용성 제고를 위한 재정지표 개선방안: 정보이용자 관점을 중심으로 (Analysis of Financial Indicators and Improvement Measures for Enhancing the Usefulness of Governmental Accounting: Focusing on a Perspective from Information User)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8 최종저작일 2024.04
34P 미리보기
국가재무제표 유용성 제고를 위한 재정지표 개선방안: 정보이용자 관점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한국정부회계학회
    · 수록지 정보 : 정부회계연구 / 22권 / 1호 / 1 ~ 34페이지
    · 저자명 : 조형태

    초록

    본 연구는 정부회계 정보이용자 관점을 중심으로 정부회계 재정지표 중 어떤 유형의 재무지표에 우선순위를 두어 알릴 필요가 있는지 검토하고 동시에 어떻게 전달하는 것이 효과적인지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해외 국가재무제표에서의 재정지표와 전달방법을 비교 검토하였고, 어떠한 재정지표가 정보이용자에게 유용하고 이해가능한지를 설문 방법을 통해 분석하여 현행 발생주의 재정지표의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첫째, 국가재정의 이해 목적으로 재정의 안정성에 관한 정보 뿐만 아니라 재정의 효율성 및 투명성에 대한 정보를 습득하기를 원하고 그 정도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현재의 재정지표 중 부채증감율과 자산대비 부채비율은 재정의 안정성 정보 제공 측면에서 국가 재정의 이해에 도움이 되는 지표로 평가되고 있지만, 자산증감율과 재정운영순원가보상율은 재정 이해에 도움이 되지않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셋째, 국가재정의 이해를 위해 재정지표를 2개년도로 비교하는 것보다는 5개년 전후의 기간을 두어 시계열적으로 비교해서 추이를 볼 수 있게끔 하는 것이 필요해 보이고, 횡단면적으로도 비교되게끔 타국가와의 재정지표를 비교하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다수의 정보이용자들에게 익숙한 외부경제지표를 국가재무제표의 발생주의 계정과 비교하여 재정지표를 보이는것이 국가재무제표의 이해에 도움이 될 것으로 나타나 국가재무제표 밖의 경제지표를 활용하는 것이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다섯째, 국민 1인당 조세부담액 등이 재정이해에 도움이 된다는 의견이 높았고, 보충설명이 필요한 지표를 볼 때 일반회계 지식 수준으로도 이해될 수 있는 재정지표의 개발, 용어의개정이 필요할 수 있음이 발견되었다. 여섯째, 재정의 투명성 제고를 위해 각 분야별로 원가 등을 공개한다면 사회복지, 교육, 지방행정 순으로 관심도가 높아 이들 분야에 대한 효율성, 투명성 검토를 위한지표 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추가적인 국가 회계에 대한 이해의 노력을 기울이지 않더라도 기본적인 회계지식으로 국가재무제표를 이해할 수 있도록 용어 등을 단순화하고, 표시 순서와단위도 일반재무제표와 유사하게 가져가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정부회계 정보이용자 관점에서 재정지표의 개선방향과 전달 방법을 설문을 통해 분석하며,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는 점에서 선행연구와 차별성이 있다.

    영어초록

    This research aimed to analyze which types of financial indicators in government accounting should be prioritized and how they should be effectively communicated from the perspective of government accounting information users.
    To achieve this, the study compared financial indicators and communication methods in foreign national financial statements with international examples. It also surveyed information users to determine which financial indicators are useful and understandable for understanding national finances. The results were analyzed, and suggestions for improving the current accrual-based financial indicators were explored.
    The survey results revealed several key findings: First, information users not only seek information about the stability of national finances but also desire information about the efficiency and transparency of government finances. Second, among the current financial indicators, debt growth rate and debt-to-assets ratio were evaluated as helpful indicators for understanding national finances from a stability perspective. However, asset growth rate and operating surplus ratio were considered unhelpful. Third, to enhance understanding, it is necessary to compare financial indicators over a period of around five years to observe trends in a time-series manner. Additionally, comparing financial indicators between different countries and across different time periods is valuable. Fourth, comparing them with widely recognized external economic indicators could aid in understanding national finances. Incorporating external economic indicators into financial reporting may be necessary. Fifth, many respondents believed that indicators such as per capita tax burden are helpful for understanding finances. When looking at indicators that require supplementary explanations, developing financial indicators that can be understood at the general accounting knowledge level and revising terminology may be necessary. To improve transparency, disclosing costs by category in areas such as social welfare, education, and local administration is essential. There is a high level of interest in these areas, suggesting the need for indicator development to assess efficiency and transparency.
    This study differentiated itself from previous research by analyzing the direction for improving financial indicators and communication methods from the perspective of government accounting information users through surveys and aiming to explore solutions for improvem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3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