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부당소송에 대한 영미법상의 대응방안 및 도입가능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glo American Legal System’s Countermeasure against Vexatious Litigations, and the Possibility of Emulation in Korea)

5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7 최종저작일 2017.12
56P 미리보기
부당소송에 대한 영미법상의 대응방안 및 도입가능성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법발전재단
    · 수록지 정보 : 사법 / 1권 / 42호 / 181 ~ 236페이지
    · 저자명 : 이계정

    초록

    본 논문에서는 영미법상의 부당소송에 대한 직접적인 대응수단에 대하여 집중적으로 검토하고 그 도입가능성에 대하여 논하였다. 위 논의를 통해 영미의 부당소송에 대한 다양한 대응방안 중 강점을 가지는 부분을 모아서 우리나라 특유의 부당소송에 대한 대응방안을 마련할 수 있다는 점이 밝혔는바, 그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영국은 부당소송을 통제하기 위하여 1896년 부당소송금지법의 제정을 통해 민사절차금지명령을 도입하였고, 민사소송법상 제한적 민사소송금지명령, 확장된 민사소송금지명령, 일반 민사소송금지명령을 규정함으로써 부당소송에 대하여 다채롭고 유연한 대응을 꾀하고 있다.
    둘째, 미국은 캘리포니아주가 1963년 부당소송인규제법을 제정한 것에서 촉발되어 텍사스주, 오하이오주, 하와이주, 플로리다주가 순차적으로 주법에 해당하는 부당소송인규제법을 제정하였으며, 오하이오주를 제외하고는 사전소송금지명령, 담보제공명령을 통하여 부당소송에 대하여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다. 또한 미국은 연방 민사소송법 제11조를 통해 부당소송에 대응하고 있다.
    셋째, 호주 빅토리아주는 2014년 부당소송금지법을 제정하여 부당소송을 통제하고 있는데, 소송금지명령을 세분화하고, 협력금지명령, 불복금지명령 등 새로운 대응방안을 모색하였고, 부당소송에 대처하기 위한 별도의 법을 제정하였다는 점에서 특색이 있다.
    넷째, 우리나라가 부당소송에 대하여 적절히 대응하기 위해서는 영미법계의 대응방안을 적극적으로 검토해야 한다. 영국과 호주의 단계적 대응방안과 같이 부당소송에 대하여 제한적 소송금지명령, 확장된 소송금지명령, 일반 소송금지명령으로 단계적으로 나누어 규율하고, 부당소송인의 정의도 수적 접근방식 위주로 하고, 소송금지명령의 신청권을 부당소송의 상대방에게도 부여하는 방안이 타당하다. 아울러 미국의 담보제공명령을 별도로 도입하여 부당소송을 규제하는 방안도 적극적으로 모색하여야 한다.

    영어초록

    This paper makes comprehensive research with regard to the Vexatious Litigation Acts in the Anglo-American legal system as an effective countermeasure against vexatious litigants, and considers the possibility of introducing similar statutes in Korea. It appears feasible to formulate a countermeasure unique to the Korean system by synthesizing all the advantages of various countermeasures against vexatious litigations culled from the Anglo-American legal system. The following is a summary.
    First, the Vexatious Action Act was enacted in England in 1896 as the first statute to cope with litigants who institute a litigation habitually, persistently without any reasonable ground. Civil proceedings order is stipulated in the Act, which prohibits any institution of litigation by vexatious litigants without court’s permission. In addition, by amending the Civil Procedure Rule, England adopted three kinds of civil restraint order, i.e. limited civil restraint order, extended civil restraint order, and general civil restraint order in 2004. This new rule covers diverse types of vexatious litigations and allows for flexibility in responding to different degrees of vexatiousness of litigants.
    Second, in the U.S, the 1963 enactment of the Vexatious Litigant Statute in the state of California was consecutively followed by corresponding state laws in Texas, Ohio, Hawaii, and Florida. The Statute provides for a prefiling order prohibiting a vexatious litigant from filing any litigation in propria persona without obtaining a court order permitting the filing, as well as an order requiring a vexatious litigant to furnish security, thereby allowing for an aggressive countermeasure against vexatious litigations. In addition, the Federal Rules of Civil Procedure Rule 11 lays out the grounds against vexatious litigations.
    Third, in Australia, the state of Victoria enacted the Vexatious Proceedings Act in 2014, which subdivides the litigation restraint order into limited litigation restraint order, extended litigation restraint order, and general litigation restraint order, and institutes new orders, such as acting in concert order and appeal restriction order.
    In conclusion, based upon the comparative research on countermeasures against vexatious litigants and their positive effects, this article proposes that Korea positively consider introducing a version of its own. It would be reasonable for the Korean version of the statute to: (a) regulate vexatious litigations on a gradated system, ranging from limited litigation restraint order, to extended litigation restraint order, and to general litigation restraint order, as is the case with England and Australia; (b) define vexatious litigants by adopting numeric approach; (c) confer the right of motion for litigation restraint order upon the defendant of a vexatious lawsuit; and (d) introduce the order requiring a vexatious litigant to furnish security, as in the case of the U.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법”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3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