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신종 투자사기 ‘리딩방’ 소비자피해 경험의 영향요인 분석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Consumer Damage Experience in New Investment Fraud ‘Leading Room’)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7 최종저작일 2022.09
22P 미리보기
신종 투자사기 ‘리딩방’ 소비자피해 경험의 영향요인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소비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소비문화연구 / 25권 / 3호 / 57 ~ 78페이지
    · 저자명 : 전지원, 정순희

    초록

    경제침체와 기준금리 인하로 인한 투자열풍으로 익명의 오픈채팅을 통해 주식, 가상화폐 등 투자종목의 매도, 매수 시점을 제시하고 고급 정보를 공유해 준다는 ‘리딩방’이 성행하고 있다. 이런 리딩방의 성행은 무인가 유사투자자문 리딩방, 선취매 행위, 허위 과장광고, 불공정거래, 위장거래소 가입유도 등 소비자피해로 이어지고 있다. 금융기술의 발전에 따라 금융사기의 방식도 매번 진화하고 있으나, 아직 자본시장법과 소비자보호법의 제도에 포함되지 않는 등 사후 구제장치가 마련되어 있지 않다. 특히 리딩방 활용은 금융소비자의 판단과 책임이라는 점에서 소비자 관점에서의 피해 예방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리딩방 소피자피해 예방방안 수립을 위해 금융소비자 특성에 따른 리딩방 소비자피해 경험 차이와 영향요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피해자화 이론의 구조적 선택모형을 적용하여 리딩방 소피자피해 영향요인을 표적매력성, 범죄에의 노출취약성, 보호성으로 분석하였으며 SPSS21을 통해 기술통계, 교차분석, ANOVA,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최근 2년 이내 리딩방 소비자피해를 당한 응답자는 50%, 당할 뻔한 응답자는 27.8%, 당할 뻔 하지도 당하지도 않은 응답자는 22.2%였다. 둘째, 리딩방 소비자 피해 경험은 성별, 투자 기간 선호, 투자 방식, 금융 지식, 재무설계 경험, 재무교육 경험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리딩방 소비자피해를 경험한 그룹에는 남성, 단기투자선호, 공격투자형, 금융지식이 가장 낮은 집단, 재무설계와 재무교육의 경험이 있는 집단인 경우가 많았다. 반면, 리딩방 소비자피해를 당할 뻔했으나 모면한 그룹은 금융지식 수준이 가장 높았고, 리딩방 소비자피해를 당할 뻔하지도, 당하지도 않은 그룹은 장기투자, 안정추구형인 경우가 많았다. 셋째, 리딩방 소비자피해 영향요인을 종합적으로 살펴봤을 때 남성일 경우, 연령이 낮을 경우, 투자성향이 적극투자형인 경우 리딩방 사기를 접할 확률이 높았다. 투자예치금액이 많고, 단기투자를 선호할수록, 금융지식이 낮을수록, 보호성에서는 재무설계, 재무교육 경험이 있을수록 리딩방 소비자피해를 모면하지 못하고 당할 확률이 높았다. 넷째, 리딩방 소비자피해를 경험할 확률을 높이는 영향력 크기는 재무교육 경험, 투자방식, 재무설계 경험, 성별, 운용하고 있는 투자금, 연령, 금융지식, 투자기간 순이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리딩방 소비자피해는 사전적 예방이 중요하며 이를 위해 올바른 투자가치관과 투자역량을 강화시키고 신종 금융사기의 위험인지를 높이는 교육 및 캠페인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영어초록

    Due to the investment craze, ‘Leading Room’, which offer the timing of selling and buying investment items such as stocks and virtual currency, and sharing advanced information through anonymous open chatting, are popular. The popularity of Leading Room is leading to consumer damage such as unmanned Quasi-investment Advisory Business, pre-emptive buying, false exaggerated advertisements, unfair trade, and inducing users to subscribe to fake exchanges.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and influence factors of victims were identified in order to establish a prevention plan for the victim's damage in the Leading Room. By applying the structural selection model of the victimization theory, factors affecting the damage of the reading room were derived.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gender’, ‘preferred investment period’, ‘investment method’, ‘financial knowledge’, ‘financial planning experience’, and ‘financial education experience’,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consumer damage experience of leading rooms. In the group that experienced consumer damage in the Leading Room, there were men, preference for short-term investment, aggressive investment type, the group with the lowest financial knowledge, and the group with experience in financial planning and financial education. The group that escaped the damage of Leading Room consumers had the highest level of financial knowledge. The group that was neither likely to nor suffered from consumer damage in the Leading Room was a long-term investment and stability-seeking type in many cases. Second, If an active investment type, the probability of encountering damage to the Leading Room user is high. The higher the deposit amount, the higher the preference for short-term investment, the lower the financial knowledge, the higher the probability of being unable to avoid damage to the Leading Room. Unexpectedly, Financial consumers who received financial design and financial training were damaged in the Leading Room.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have drawn implications for the need for education and campaigns to strengthen the right investment values and investment capabilities, and to raise awareness of the risk of new types of financial fraud in order to prevent damage to Leading Room consume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소비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1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