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쪽방촌, 열린 공동체의 무게 (Jjokbang- chon, the Weight of an Open Communit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7 최종저작일 2024.05
34P 미리보기
쪽방촌, 열린 공동체의 무게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영미문학연구회
    · 수록지 정보 : 안과밖:영미문학연구 / 56호 / 180 ~ 213페이지
    · 저자명 : 조문영

    초록

    Drawing from ethnographic research conducted in Dongja- dong, Seoul, commonly referred to as Jjokbang- chon (a slum-like village), this essay delves into the intricate dynamics of social suffering, or a series of processes by which various attempts to address suffering give rise to additional forms of distress. Specifically, the essay focuses on the possibilities and predicaments that arise when community organizations in Dongja-dong strive to respond to social suffering guided by shared values and ethics. Central to the inquiry is the notion that community is not a discrete collective entity with clearly defined boundaries, but rather an open assemblage where the question of “ who we are ” remains fluid and unresolved. This openness has facilitated the formation of networks of collective care and anti-poverty solidarity among Jjokbang dwellers, enabling them to interweave various resources both within and beyond their neighborhood. However, this fluidity also engenders tensions, particularly in the unpredictable and often hierarchical encounters that poor dwellers face with various actors. Despite the potentially empowering nature of new encounters, Jjokbang dwellers remain vulnerable to transactions of recognition that lack distributive justice, and susceptible to representational and disciplinary powers that scrutinize and judge their moral characters and conducts. In short, the essay illustrates how the poor themselves, the community organizations they establish, and Jjokbang-chon where they live continually (re-)emerge as they are caught up and contesting conflicting norms, frames, and perceptions surrounding poverty. Social suffering persists in this provisional and fluid assemblage, where researchers—alongside other actors—are deeply embedded participants in shaping the dynamics of intervention and response.

    영어초록

    Drawing from ethnographic research conducted in Dongja- dong, Seoul, commonly referred to as Jjokbang- chon (a slum-like village), this essay delves into the intricate dynamics of social suffering, or a series of processes by which various attempts to address suffering give rise to additional forms of distress. Specifically, the essay focuses on the possibilities and predicaments that arise when community organizations in Dongja-dong strive to respond to social suffering guided by shared values and ethics. Central to the inquiry is the notion that community is not a discrete collective entity with clearly defined boundaries, but rather an open assemblage where the question of “ who we are ” remains fluid and unresolved. This openness has facilitated the formation of networks of collective care and anti-poverty solidarity among Jjokbang dwellers, enabling them to interweave various resources both within and beyond their neighborhood. However, this fluidity also engenders tensions, particularly in the unpredictable and often hierarchical encounters that poor dwellers face with various actors. Despite the potentially empowering nature of new encounters, Jjokbang dwellers remain vulnerable to transactions of recognition that lack distributive justice, and susceptible to representational and disciplinary powers that scrutinize and judge their moral characters and conducts. In short, the essay illustrates how the poor themselves, the community organizations they establish, and Jjokbang-chon where they live continually (re-)emerge as they are caught up and contesting conflicting norms, frames, and perceptions surrounding poverty. Social suffering persists in this provisional and fluid assemblage, where researchers—alongside other actors—are deeply embedded participants in shaping the dynamics of intervention and respons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