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坊刻本 簡札敎本 硏究 (A study on writing-letter guide books published in Chosun Dynast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7 최종저작일 2009.06
35P 미리보기
坊刻本 簡札敎本 硏究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한문고전학회
    · 수록지 정보 : 漢文古典硏究 / 18권 / 1호 / 257 ~ 291페이지
    · 저자명 : 류준경

    초록

    방각본은 민간에서 상업적인 목적으로 출판된 목판본 서적인데, 여타의 간본은 없고 오로지 방각본으로만 간행된 서적 중 가장 대표적인 것이 간찰교본류이다. 방각본으로 간행된 가장 대표적인 간찰교본류 서적은 『簡式類編』, 『寒喧箚錄』, 『簡牘精要』이다. 『簡式類編』은 1739년에 경아전 출신 이인석이 전겸익이 편찬한 『簡式類編』을 金淨의 『東人例式』으로 증보하여 편찬⋅간행한 서적이다. 이는 최초의 방각본 간찰교본이라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하지만 기본적으로 명나라의 현실을 반영한 간찰교본이기에 조선후기의 일반적 편지 작성 양상과 거리를 가질 수밖에 없다. 따라서 19세기 들어 조선적 현실에 적합한, 조선의 현실을 반영하는 『寒喧箚錄』, 『簡牘精要』 등과 같은 간찰교본이 간행된 것이다.
    『寒喧箚錄』은 18세기 초중반에 간행된, 가장 풍부한 실례를 담고 있는 방각본 간찰교본이다. 특히 지방관에게 보내는 편지를 집중적으로 수록하고 있다는 점에서, 지방관과의 친분을 유지하려는 계층의 이해를 반영하는 면모도 보인다. 『簡牘精要』는 1850년경에 최초로 간행되고, 다시 1861년, 1869년에 재차 간행될 정도로 19세기에 크게 성행한 방각본 간찰교본이다. 『簡牘精要』는 『簡式類編』, 『寒喧箚錄』과 달리 套式보다는 구체적인 예와 백과사전적인 지식을 강조하는 특징을 보이며, 동시에 서울의 도시적 유흥의 분위기를 문화적 배경하는 중간층의 이해를 반영하는 면모도 보인다. 이처럼 조선후기에 방각본 간찰교본은 실용적인 한문글쓰기 문화를 선도하여 한문문자문화의 확산에 기여하면서 동시에 중간층을 중심으로 한 한문글쓰기 문화의 분화를 반영한다는 점에 그 문화사적 의미를 확인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e ‘Bangkakbon(坊刻本)’ is the book published by wood-print for commercial profit. The important cultural meanings of Bangkakbon(坊刻本) publishing is in commercial publishing by common people, for common people. There are two types in Bangkakbon(坊刻本), one is written by Korean, the other is written by classical Chinese. The representive type of Bangkakbon(坊刻本)-books written in classical Chinese is the type of write-letter guide books. Especially Gansikyupyeon『簡式類編』, Hwanhwoncharok『寒喧箚錄』, Gandokjeongyo『簡牘精要』 are the most popular books in the late Chosun Dynasty.
    Gansikyupyeon『簡式類編』 was published by Lee In-Seok(李寅錫) in 1739. And that book is a new edition revised and enlarged of Gansikyupyeon『簡式類編』』 written by Jeon Gyeom-Ik錢謙益. Hwanhwoncharok『寒喧箚錄』 published in the first half of 18th century is the Bangkakbon(坊刻本) write-letter guide book, filled with a great store of letter examples. Gandokjeongyo『簡牘精要』 was pulblished in 1850’s for the first time and in 1861 for the second time and in 1869 for the third time. Gandokjeongyo『簡牘精要』 was so much popular books. The publishment of ‘Bangkakbon(坊刻本)’ write-letter guide books has the meanings in cultural history in spread of practical writings in classical Chines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漢文古典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영화 <퍼스트 라이드.> 시사회 초대 이벤트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4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