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習靜 宋邦祚의 삶과 詩世界 硏究 ― ‘直道而事人’의 삶의 態度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Life and Poetic World of Seupjeong Song Bang-jo(習靜 宋邦祚))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7 최종저작일 2024.12
30P 미리보기
習靜 宋邦祚의 삶과 詩世界 硏究 ― ‘直道而事人’의 삶의 態度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양고전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양고전연구 / 97호 / 69 ~ 98페이지
    · 저자명 : 권혁명

    초록

    본고는 習靜 宋邦祚의 삶과 詩世界를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Ⅱ장에서는 송방조의 생애를 살펴보았다. 송방조는 剛直한 성품과 文才를 지니고 40세의 늦은 나이에 문과에 급제하여 權知承文院正字로부터 벼슬살이를 시작하였다. 그는 약 12년간 관직생활을 하였는데, 6년간은 중앙에서 承文院 著作, 博士, 成均館 典籍, 兵曹佐郎 등을 역임하였고 6년간은 金郊道 察訪, 高山道 察訪, 平安道 評事 등 외직을 전전하였다. 송방조의 생애에서 주목되는 것은 不義에 타협할 줄 모르는 강직한 성품과 관리로서의 공정함이라고 할 수 있다.
    Ⅲ장에서는 宋邦祚의 시세계를 現實認識과 삶의 態度의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宋邦祚가 인식한 당대의 정치현실은 秦나라와 같은 混濁한 세상이었다. 내부적으로는 ‘어진 자가 인정받지 못하는 현실’, ‘난새와 봉황은 없고 올빼미와 부엉이가 존재하는 末世’ ‘우물에 빠진 사람을 구하기는커녕 도리어 돌을 던져 곤경에 빠뜨리는 위태로운 세상’ 등으로 구체화되어 나타난다. 그럼에도 송방조는 정치현실을 떠나가지 않고 지속적으로 참여하였는데, 이는 자신의 道를 곧게 하여 군주를 섬기는 柳下惠의 ‘直道而事人’의 삶의 태도를 송방조가 견지하였기 때문이다. 송방조가 ‘直道而事人’의 삶의 태도를 견지했다고 하여 내면적으로 고뇌가 없었던 것은 아니었다. 그는 北人들에 의해 중앙에서 밀려나 외직을 떠돌게 되자 懷才不遇의 심정, 낮은 관직을 떠도는 괴로움, 쓸쓸함, 고향에 대한 그리움 등을 시로 형상화하고 있었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life and poetic world of Seupjeong Song Bang-jo (宋邦祚). Although Song Bang-jo is not widely known, he was celebrated for his upright character and exceptional literary talent as the elder uncle of Song Si-yeol (宋時烈). Accordingly, examining Song Bang-jo's life and poetry is meaningful in elucidating the lives and literary characteristics of Seoin(西人系, Westerners) literati in the early 17th century.
    Chapter Ⅱ examines the life of Song Bang-jo. This chapter explores the life of Song Bang-jo, a man of upright character and exceptional literary talent. He began his official career relatively late, passing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at the age of 40 and assuming the position of Gwonji Seungmunwon Jeongja(權知承文院正字).
    Song Bang-jo served in official positions for approximately 12 years, with 6 years spent in central government roles, including positions such as Jeojak(著作) in the Seungmunwon, Baksa(博士), Jeonjeok(典籍) at Sungkyunkwan, and Jorang (佐郎) in the Ministry of Military Affairs(兵曹). However, his uncompromising integrity and refusal to yield to injustice led to his ostracization by the Northerners(Buk-in, 北人).
    As a result, he spent the subsequent 6 years holding regional posts, including Chalbang(察訪) of Gimgyodo(金郊道) and Gosando(高山道), as well as Pyeongsa (評事) in Pyeongan Province. He eventually passed away at the age of 52 at Yongcheon-gwan(龍川館), marking the end of his.
    Chapter Ⅲ examines Song Bang-jo's poetic world from the perspectives of his perception of reality and attitude toward life.
    This approach stems from the understanding that Song Bang-jo's perspective on political realities as a bureaucrat and his corresponding attitude toward life are key to understanding his poetic world.
    Song Bang-jo perceived the realities of his time as chaotic, akin to the turbulent Qin dynasty. Internally, he depicted his era as "a decadent age devoid of rare birds and phoenixes, inhabited instead by owls and horned owls" and as "a perilous world where people not only fail to rescue those who fall into wells but even throw stones to worsen their plight." Despite such bleak realities, Song Bang-jo consistently engaged in politics, grounded in his upright character. Even when demoted to external posts and repeatedly assigned to military roles, he did not abandon the political realm. This steadfastness reflects his adherence to the philosophy of "Jikdo i sasin"(直道而事人), meaning "serving one's ruler with a straight path of integrity," as exemplified by Liu Xiahui(柳下惠).
    However, Song Bang-jo's commitment to "Jikdo i sasin" did not preclude him from experiencing human struggles. As he wandered through external appointments after being ostracized by the Northerners(Buk-in, 北人), he poetically expressed his frustrations of unrealized talent(Huai caibu yu, 懷才不遇), the suffering of serving in low-ranking positions, the ensuing loneliness, and his longing for his hometow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고전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0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