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박종화 시에 나타난 서울방언 연구 - 『黑房悲曲』을 중심으로 (A Study on Seoul dialect in Park Jong-hwa’ Poems - Focusing on 『黑房悲曲』)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7 최종저작일 2024.10
34P 미리보기
박종화 시에 나타난 서울방언 연구 - 『黑房悲曲』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근대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근대문학연구 / 25권 / 2호 / 181 ~ 214페이지
    · 저자명 : 조해옥

    초록

    본고에서는 시집 『黑房悲曲』에 실린 작품들을 텍스트로 하여 구어체의 실현 양상과 현대시의 특징 가운데 하나인 내용에서의 일상성에 대해 고찰하였다. 박종화의 시집 『黑房悲曲』에 반영된 서울방언을 비롯한 생활언어는 시 문체의 구어성을 생성하고 있으며, 개인의 구체적 일상들을 다룬 시의 내용들은 현대시로서의 일상성을 확보하고 있다.
    『黑房悲曲』에 나타난 모음변화로 고모음화 ‘ㅓ>ㅡ’, ‘ㅗ>ㅜ’, 음성모음화 ‘ㅏ>ㅓ’, 움라우트 ‘ㅏ>ㅐ’ 등도 나타난다. 그러나 무엇보다도『黑房悲曲』에 두드러진 방언은 자음변화인 ‘ㄷ, ㅌ, ㅈ, ㅊ>ㅅ’의 실현이다. 고모음화 ‘ㅓ>ㅡ’는 음성모음화 ‘ㅏ>ㅓ’와 함께 『黑房悲曲』이 박종화 시인의 생활언어, 즉 시인의 언어 환경이 된 서울방언을 시에 반영하고 있었던 사실을 잘 보여주는 모음변화이다. 자음변화인 ‘ㅅ’ 되기는『黑房悲曲』에서 두드러진 방언이다. ‘듣기>듯기’(「密室로 도라가다」)에서의 ‘ㄷ>ㅅ’, ‘끝까지>지’(「密室로 도라가다」)에서의 ‘ㅌ>ㅅ’, ‘낮잠>낫잠’(「그대의世界」)에서의 ‘ㅈ>ㅅ’, ‘불빛>불빗’(「黑房祕曲」)에서의 ‘ㅊ>ㅅ’ 등 ‘ㅅ’ 되기는 시집 『흑방비곡』에서 인상적인 방언으로 나타난다. ‘ㅅ’ 되기가 박종화 시에서 어감을 생성하는 한 요소임을 확인할 수 있다.
    『黑房悲曲』에 실린 「老妓」, 「人物展覽會」, 「熱病者의거름」, 「薑粉丸」, 「靜謐」 등은 1920년대 서울의 생활언어와 일상성이 결합된 현대시적 면모를 확보한다. 생활언어를 사용하여 거리를 메운 평범한 사람들을 사실적으로 보여주며, 소외된 존재의 극한의 소외감, 어린 화자의 일상 속 감정을 드러내는 데, 일상에서 사용하는 서울방언이 긴밀하게 작용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黑房悲曲』은 일상성과 함께 생활언어의 사용으로 구어성을 확보함으로써 현대시적 위상을 확보한다.

    영어초록

    In this study, the works included in the poetry collection 『黑房悲曲』 were used as texts to examine the aspects of realization of colloquial language and the everydayness in the content, which is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poetry. Language of everyday life, including the Seoul dialect, reflected in Park Jong-hwa's poetry collection 『黑房悲曲』, create the colloquial nature of the poetic style, and the contents of the poems dealing with the specific daily lives of individuals secure the everydayness of modern poetry.
    Vowel changes that appear in『黑房悲曲』 include high vowels ‘ㅓ>ㅡ’, ‘ㅗ>ㅜ’, negative vowelization ‘ㅏ>ㅓ’, and umlaut ‘ㅏ>ㅐ’. However, above all, the dialect that stands out in 『黑房悲曲』 is the realization of consonant changes ‘ㄷ, ㅌ, ㅈ, ㅊ>ㅅ’. The high vowel 'ㅓ>ㅡ', along with negative vowelization 'ㅏ>ㅓ', is a vowel that clearly shows the fact that 『黑房悲曲』 reflected poet Park Jong-hwa's language of everyday life, that is, the Seoul dialect that became the poet's linguistic environment. It's a change. The consonant change ‘ㅅ’ is a prominent dialect in 『黑房悲曲』. ‘ㄷ>ㅅ’ in ‘듣기>듯기’(「密室로 도라가다」), ‘ㅌ>ㅅ’ in ‘끝까지>지’(「密室로 도라가다」), Becoming 'ㅅ', such as 'ㅈ>ㅅ' in ‘낮잠>낫잠’(「그대의世界」) and 'ㅊ>ㅅ' in ‘불빛>불빗’(「黑房祕曲」), appears as an impressive dialect in the poetry collection 『黑房悲曲』. It can be confirmed that becoming ‘ㅅ’ is an element that creates a sense of tone in Park Jong-hwa’s poetry.
    「老妓」, 「人物展覽會」, 「熱病者의거름」, 「薑粉丸」, 「靜謐」 etc. in 『黑房悲曲』 are modern poetics that combine language of everyday life and daily life in Seoul in the 1920s. It realistically shows ordinary people filling the streets using language of everyday life, and it can be seen that the Seoul dialect used in everyday life plays a close role in revealing the extreme sense of alienation of an alienated being and the everyday emotions of a child speaker. 『黑房悲曲』 secures the status of modern poetry by securing colloquiality through the use of language of everyday life and daily lif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4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