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시대 수면의 의미 — 일기류를 통해 본 수면과 밤 시간에 관한 일 고찰 (The Meaning of Sleep in the Joseon Period: A Content Analysis on Night Time Activities and Sleeps Recorded in Diaries)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7 최종저작일 2019.03
30P 미리보기
조선시대 수면의 의미 — 일기류를 통해 본 수면과 밤 시간에 관한 일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회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사회와역사(구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 / 121호 / 165 ~ 194페이지
    · 저자명 : 문현아, 차승은, 은기수

    초록

    한국사회에서 수면에 관한 연구는 사회사와 문화사 분야에서 아직까지 주요한주제로 부각되지 못하고 있다. 이 연구는 『쇄미록』과 『병자일기』를 주요 텍스트로삼아 일기 기록에 나타난 잠에 관한 언급과 그 의미를 파악하고 분석하려는 시도이다. 일기자료에서 수면에 대한 기록의 의미를 먼저 파악하고, 잠을 기록한 것이어떤 맥락에서 이루어지는지 분석하였다. 특히 일기에서 잠을 기록하는 경우의 시/ 공간적 맥락을 비추어 볼 때 ‘잠을 잤다’는 기록이 단순히 수면의 유무만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숙박의 의미, 접대를 하는 의미 등도 있고, 잠을 자는 시간대인밤, 그리고 밤 시간대 일상과 연결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는 밤 시간대와 연결해서 일기 기록에 담긴 의미를 따라 불면의 상황이나 잠자는 행위에 대한사회적 의미화를 시도했다. 이와 동시에 잠과 밤시간대에 일어나는 다양한 사건/사고, 행위들을 재구성해서 수면이 발생하는 시간이 아무 의미 없는 암흑의 시간이아닌, 인간의 일상에 관한 흥미로운 사건이 발생하는 시간임을 조망하였다. 또한이 글은 인간의 활동 중 수면이 갖는 사회관계 맥락을 역사적으로 살펴보면서 동시에 조선시대 유교 규범의 틀과 맞물려 어떻게 의미화되는지 분석을 시도했다. 이연구는 기존연구가 매우 빈약한 상황에서 수행한 탐색적 연구이지만 수면을 둘러싼 조선시대 일상의 새로운 측면을 접근하는 의미 있는 첫 시도라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Research on sleep in Korean society remains an understudied topic in social and cultural history. This research identifies and analyzes the meanings of sleep as expressed in Joseon period diaries with a focus of entries, accounts, and mentions in Swaemirok and Byeongja-ilgi (Diary of Byeongja Year). Using diary data, we first conceptualized and contextualized the meaning of sleep as used in these texts. Focusing particularly on temporal/spatial contexts in which sleep was recorded, we found that ‘sleep’ not only indicated the presence of unconsciously resting bodies (or somni-related activities), but also served as means of expressing hospitalities and non-sleep related nighttime activities. This study explored the social significance of these accounts and problematized how various events, incidents, and activities mattered especially in cases when expressions of sleep or sleep-related texts were recorded in relation to activities falling outside of nocturnal hours. This research thus revealed how social contexts could alter historical interpretations of human activities as a whole, while exposing Confucian norms of people living and sleeping during the Joseon period. As an exploratory study, this research provides a modest but novel approach to investigating an understudied aspect of everyday life of Joseon socie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회와역사(구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7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0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