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법과 개발(Law and Development)과 동북아시아 발전국가론의 전개에 관한 고찰: 한국법 연구에 주는 시사점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Law and Development’ and ‘Northeast Asian Developmental State Theory’: With a Focus on its Implication on Korean Law Studies)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7 최종저작일 2017.09
26P 미리보기
법과 개발(Law and Development)과 동북아시아 발전국가론의 전개에 관한 고찰: 한국법 연구에 주는 시사점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숭실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법학논총 / 39권 / 241 ~ 266페이지
    · 저자명 : 조혜신

    초록

    한국법에 대한 연구는 주로 실정의 법률을 단위로 여기에 국한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대부분이고, 그 목적 또한 실정법의 입법, 해석, 집행 등에 맞춰져 있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한국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을 아우르면서, 과거와 현재의 법 현실과 법의 상호관계를 거시적으로 또한 학제적으로 규명해 나가는 것은 한국법의 중요한 한 축을 이루는 것이라 할 것이다. 비록 단편적인 측면이 없지 않으나 이러한 관점에서의 한국법에 대한 연구가 외국의 연구자들에 의해서 시도되어 왔다는 점은 흥미롭다. 한국의 경제적 및 정치적 발전의 성과 및 과정에 대한 관심에서 비롯된 한국법에 대한 외국의 법·정책 연구자 및 실무자들의 연구는 꽤 오래 전부터 시작된 것으로 보인다.
    ‘법과 발전’의 관계는 ‘현재’라는 새로운 맥락에서 끊임없이 규명되어 나가야 할 문제이며, 상당한 경제적 발전에도 불구하고 또 다시 발전의 진정한 의미를 묻지 않을 수 없는 한국의 상황에서는 더욱 그러하다. 특히 법과 개발에 있어서 최근의 흐름이라 할 수 있는 ‘신발전국가론(New Developmentalism)’ 은 한국법에 대한 연구에도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으리라 생각한다. 이에 본고에서는 법과 개발, 그리고 그 한 흐름으로 등장하고 있는 발전국가론의 전개를 고찰하면서 그 과정에서 도출된 방법론적 통찰을 살펴보고, 각각의 이론적 전개에 있어서 한국법은 어떠한 의미로 이해되어 왔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결론으로서 그간의 이론적 및 실무적 시행착오를 통하여 도달한 새로운 의미와 방법론의 수용을 전제로, 한국법 연구의 방향성을 간략하게 제시하고자 한다.
    사실 그간의 법과 개발에는 법과 발전의 관계에 관한 ‘하나의 일반적인 규준(reference)’이 있다는 방법론적 전제, 즉 ‘연역적 접근방법’을 취한 것에서 비롯된 한계를 보여 왔다. 이러한 점에서 최근의 신발전국가들에 대한 연구에서 목도되는 경향인 각론적 접근은 상당히 의미 있는 것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법과 개발에 관한 전통적 이론들은 적어도 동북아시아의 발전국가들에 대해서만큼은 분명한 한계를 드러냈다고 평가할 수 있다. 따라서 한국법에 대한 연구도 일반적으로 일정한 결과를 산출하는 처방으로서의 과학적 이론이 아니라, 구체적으로 설명가능한 분석체계로서의 연성적(soft) 이론을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는 비단 한국과 한국법의 성과를 널리 인정받기 위해서만은 아니고, 통합적·거시적 관점에서의 한국법 연구를 통하여 그간의 분절적·미시적 법학 연구의 한계를 다소간 극복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점에서 그 가치가 있다 하겠다. 그리고 이러한 연구는 오늘날 한국 사회가 당면하고 있는 어려운 문제들을 정확히 인식하고 대안을 찾는 데 혜안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한국이라는 고유한 맥락을 충분히 고려한 발전국가론의 전개를 위해서는 실정법을 너머서서 법현상에 대한 사회과학적 분석을 바탕으로 정치적·경제적·사회적 측면을 고루 파악하는 통합적·입체적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영어초록

    Study on ‘Korean Law’ is a sociological research to understand the interaction between reality of politics, economy, society and culture, and law. The Korean Law has been studied since quite long ago by researchers of law and policy as well as practitioners. This paper aims to assert the need for Korean Law studies through presenting the significance from the perspective of ‘Law and Development’, and its appropriate methodology.
    The law and development studies has shown its methodological limitation of ‘deductive approach’ that assumes there is one general reference for the relation between law and development. Recent researches on New Developmental States, however, indicates meaningful improvement by adopting inductive and case- by-case methodology. The traditional theories of law and development seems to have failed in explaining the cases of Northeast Asian Developmental States. In this sense, Korean Law studies need to purse a soft and descriptive theory rather than a scientific and prescriptive one. Not for being praised by other countries in the world but for overcoming the limitation of segmented and microscopic legal researches, it is worthy of studying. Furthermore it could contribute in finding out the exact sources of a variety of social problems and their solutions. In order to establish Developmental States Theory that properly considers the unique context of Korea, it is needed to conduct integrated and multi-dimensional studies comprehensively covering political, economic, and social aspects based on social-scientific analysi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법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0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3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