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포스트 발전국가로의 전환: 한국·일본·대만의 경험 (The Transformations of the Developmental State into the Post-Developmental State: Focusing on Experiences of South Korea, Japan, and Taiwan)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7 최종저작일 2020.02
31P 미리보기
포스트 발전국가로의 전환: 한국·일본·대만의 경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아시아리뷰 / 9권 / 2호 / 159 ~ 189페이지
    · 저자명 : 윤상우

    초록

    이 연구는 동아시아 자본주의에서 발전국가 이후 포스트 발전국가로의 전환을 고찰하고 포스트 발전국가의 유형과 그 특성을 규명하기 위한 목적을 지닌다. 주요 분석대상은 동아시아 발전국가 모델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한국, 일본, 대만으로서, 이들 국가에서 1990년대 이후 나타난 발전국가의 변화요인과 전환경로의 다양성을 밝히고자 했다. 주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세계화 이후 동아시아의 포스트 발전국가의 전환경로는 국가별로 상이한 흐름이 나타난다. 한국과 일본은 발전국가 모델의 해체와 신자유주의 경제로의 전환이 나타나는데 비해, 대만은 약화·변형되긴 했지만 발전국가의 기본틀이 유지되고 있다. 둘째, 국가별 편차는 존재하지만 세계화 시대의 동아시아 발전모델에서도 신자유주의 방향으로의 수렴경향이 비교적 뚜렷하게 나타난다. 셋째, 그럼에도 동아시아 국가들은 과거 발전국가의 관성도 강하게 유지하고 있다. 한국은 발전국가적 지향성을 지닌 발전주의적 신자유주의의 특성을, 일본은 케인즈주의적 개입성향이 강한 규제국가적 신자유주의의 특성을 보인다. 넷째, 그러나 신자유주의 하에서 한국과 일본의 발전국가적 정책이나 대만의 혼종적 발전국가에서 추진된 전략산업 육성이 의도했던 정책성과를 거두거나 경제적 효과가 있었다고 보기는 어렵다. 다섯째, 한국, 일본, 대만 모두가 신자유주의로 경도됨에 따라 경제적 불평등과 양극화가 심각한 사회문제로 부상하고 있다. 그러나 동아시아 국가 모두 부분적인 복지정책으로 대응할 뿐, 복지국가적 경로를 대안적인 발전모델로 진지하게 고민하고 있지 않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transformations of the developmental state into the post-developmental state, and to identify diverse trajectories and distinctive features of the post-developmental states in the East Asian Capitalism. Especially, this study focuses on experiences of South Korea, Japan, and Taiwan which were considered as core countries adopting the developmental state model actively and achieving economic development successfully. Major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since globalization, the transformative path of the post-developmental state in East Asia has differed from country to country. While South Korea and Japan have tried to dismantle the developmental state model and turned into neoliberal model, Taiwan has maintained the developmental state model basically despite of some decline and modification. Second, even though some national variations, convergence tendency into neoliberalism was founded obviously in the East Asian development models. Third, nevertheless, because institutional inertia of old developmental state remained and affected more or less to development model, the post-developmental states in East Asia have revealed hybrid forms and distinctive features. For example, Korea's model since the post-developmental state would be characterized as the 'developmental neoliberalism.' Fourth, developmental and interventionist policies under Korea and Japan's neoliberalism and Taiwan's developmental state have almost failed to achieve the desired results and positive performances. Fifth, as the East Asian countries shifted into neoliberal economy, all of them have suffered from increasing income inequality and social polariz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아시아리뷰”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5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