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孫昭의 <文章軌範 跋>과 古文復古 (The Study on the of Sohn So and the Restoration of Archaic Style Writings)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7 최종저작일 2008.05
25P 미리보기
孫昭의 &lt;文章軌範 跋&gt;과 古文復古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시가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시가연구 / 24권 / 287 ~ 311페이지
    · 저자명 : 손오규

    초록

    이 논문은 孫昭(1433~1484)의 문집 『襄敏公文集』 卷之上, 跋에서 <文章軌範 跋>을 발견하여 그 전문을 소개하고 내용을 검토하였다. 『文章軌範』은 중국 송나라의 謝枋得(1226~1289)이 편찬한 책인데, 현재 우리나라에 전해오는 책에는 발문이나 기문이 실려 있지 않으므로 간행시기와 경위는 물론 이 책이 간행될 당시의 문헌정보를 알 수가 없었다. 그런데 이 번에 손소의 발문을 발견하게 되어 그것을 자세히 알게 되었다.
    그 내용을 살펴볼 때, 孫昭의 跋文이 있는 『文章軌範』은 木板本으로 朝鮮朝 成宗 6년(1475) 경상북도 榮川(지금의 榮州)에서 朴䎩와 金永濡에 의해 간행되었다. 영천본 『文章軌範』은 목판본 생성 제3양상에 의해 간행된 改刻本이지만, 父本의 내용변화는 없으며, 그 登梓本은 見書本이고 書體는 筆書體일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文章軌範 跋>의 출판서지학적 의의는 조선초 간행된 『文章軌範』의 간행시기와 경위 및 문헌형태를 재구해 볼 수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손소는 발문에서 六經 이후의 문체를 비판하면서 道德之文을 강조하였다. 그의 道德之文은 고문복고와 연관이 있으며 原道論에 입각한 載道之文과 平正雅麗한 문장을 의미한다. 따라서 그의 문장관은 經學연구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니 여말선초 문장관의 변화와 함께 논의함으로써 문학사적 의의를 살펴보았다. 중국에서 고문복고는 韓愈와 柳宗元으로 대표되는 문장혁신운동인데, 문장의 내원을 三代와 兩漢의 經史 및 諸家에 소급시켜 兩晋六朝의 풍조를 벗어나 고문을 집대성하였다. 우리나라는 고려 말에 성리학이 수용되자 도에 관한 연구를 본격화하면서 고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다. 이에 이제현이 古文之學을 창도하고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후 권근의 載道와 정도전의 載道之器 그리고 서거정의 貫道之器로 대표되는 原道論에 입각한 고문 논의가 계속되었다.
    따라서 文學史的으로 볼 때, 손소의 도덕지문은 고문복고를 통해서 문풍을 쇄신하고 순정한 유교문학을 수립하려던 문장관이라고 할 것이며 『文章軌範』 간행도 이러한 점에서 그 간행의 목적과 의의를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Recently I found out a special literary postscript in collection of Sohn So' works(YangmingongMoonJip:襄敏公文集) for the first time. The title was <MoonjangGuebum Bal:文章軌範跋> and composition was done by Sohn So(孫昭) in 1475 A.D. At first MoonjangGuebum was compiled by Sa Bangduk(謝枋得) in South Song Dynasty of ancient China. And in Chosun Dynasty, a classical scholar learned this book for national government official examination. But the existing books in Korea does not have a preface or a postscript. Therefore this study introduces the Sohn so' postscript and researchs the meaning of literary and bibliography of it in the history of Korea literature. The conten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MoonjangGuebum was published in 1475 A.D. in Chosun Dynasty. It was 6 years later when King of the Sungjong(成宗) acceded to throne.
    Second, this is a book that printed from wood blocks. And Park-chee recommended the publication, so Kim Youngyoo(金永濡) published the book at YoungChun(榮川, this is YoungJoo now:榮州).
    Third, when publishing the book, in the first step, a scholar transcribes the contents of the book on the paper and the next step sticks it on the wooden board, finally engraves the letters. So the paper that is transcribed the contents of the book is a Geunsubon(見書本) and the style of the letter is a Pilsuchoi(筆書體).
    Forth, this wood block was renewed the Park Chee's original text. So the book is renewing wood block book(改刻本). But the contents was not changed at all, because the original text was really a treasure and very important to them.
    Fifth, Sohn So referred the principal of literary composition in the postscript. It was Do(道) and Duk(德). And he respected the archaic style writings of China literature. His opinion like this from <MoonjangGuebum Bal> became a literary motivation for pure confucian literature of the early Chosun Dynas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시가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0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