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발해국의 주민구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f Palhae of the Successor of Koguryo)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7 최종저작일 2008.02
32P 미리보기
발해국의 주민구성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인문학논총 / 13권 / 1호 / 143 ~ 174페이지
    · 저자명 : 한규철

    초록

    이 글은 발해국의 주민구성에 관한 주장을 한국 및 필자와 중화인민공화국측의 주장들을 대비하면서 발해국의 고구려계승성을 주장한 논문이다. 필자가 지금까지 연구하여 왔던 발해국의 주민구성에 대한 내용을 중심으로 종합 보완하면서 최근 중국학자들의 견해를 재반박하는 내용을 주로 담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지금까지 한ㆍ중ㆍ일의 주민구성 연구를 개관하고 중국과 같이 발해인의 종족계통을 말갈로 보는 주장들을 비롯해서 대조영의 출자와 발해 초기의 국호 및 국호의 당나라 사여설(賜與說), 발해족 형성론 그리고 일본과 한국학계의 지배층=고구려유민, 피지배층=말갈설의 내용을 비판적으로 소개하고, 발해국이 고구려를 계승한 왕조였음을 주민이나, 영토, 문화적 계승관계를 통해서 논증하였다. 기록상으로 본 고구려ㆍ발해와 말갈도 별개가 아님을 여러 사료들을 통해 알 수 있었다.
    ‘말갈’은 당․송대인들이 그들의 동북방주민들을 범칭, 비칭하였던 종족명이었고, 고구려의 피지배주민들의 비칭이었다. 말갈을 피지배주민들에 대한 비칭으로 보는 자세는 『삼국사기』에도 반영되어, 중국측 기록과 달리 동명성왕대에까지 말갈이 등장하는 결과를 낳았다. 따라서 한국 및 중국사에서‘말갈’족의 존재를 ‘고구려’와 따로 구별하여 인정하는 것부터가 문제이다. 만주지역에서 스스로 왕조를 개창하여 국호를 선포하였던 조선, 부여, 고구려가 그들의 종족명에 더 가깝고, 왕조 개창에 성공하지 못하였던 흑수인들의 경우만을 ‘말갈’ 또는 ‘흑수말갈’로 부르는 것이 더 타당하다. 그렇다하더라도 동양사에서 이미 일개 종족명으로 그 시민권을 획득한 ‘말갈’을 존중한다면, ‘고구려말갈’(속말말갈과 백산말갈 등과 같이 고구려주민이자 고구려계인 말갈)과 ‘흑수말갈’(고구려계가 아닌 말갈)로 나누어 부름이 타당하다.
    필자는 이와 같은 입장이 말갈의 종족계통과 고구려와의 정치적 관계에서만이 아니라, 언어와 문화적인 측면에서도 입증될 수 있다고 보았다. 발해인들의 언어에 대해서는 명확한 기록이 없어 불분명하지만, 발해어가 고구려어를 계승했다는 사실은 발해가 고구려와 풍속이 같았다는 『구당서』 기록과 그들의 이름을 통해서도 짐작이 가능한 것으로 보았다.
    한편 문화적인 측면 특히, 『구당서』에서 고구려인의 주거특징이었다고 전하는 온돌장치가 발해주민의 유적에서 발견되고 있는 점 등은 문화적으로도 발해가 고구려를 계승한 국가였다는 증거들이라고 간주하였다. 토기의 구분기준에 있어서도 말갈을 이민족시하는 잘못이 있음도 지적하였다. 말갈토기를 돌림판을 쓰지 않고 낮은 온도에서 제작된 것으로 간주하는 이른바 ‘말갈관’은 고구려나 발해의 변방주민들의 저급한 생활문화에서 나올 수 있는 것이지 고구려와 다른 이민족의 문화에서 나올 수 있는 것이 아니었다.

    영어초록

    Palhae succeeded Koguryo, because the state of Palhae was founded in the former territory of Koguryo and its population mostly consisted of Koguryo people, even though a number of Koguryo people had been forcibly relocated to other areas following the downfall of Koguryo in 668. In other words, the argument that the Malgals suddenly filled the old Koguryo territory lacks credibility.
    The key to understanding the composition of Palhae inhabitants is the fact that the tribal name "Malgal (Mo-he)" was given by outsiders, not by the Malgals themselves. It is widely known that the forbearers of Malgal were Suksin before the Qin Dynasty and Eup-ru during the Han Dynasty.
    These names were not used by the tribes themselves but were coined by different Chinese dynasties to refer to various "uncivilized" barbarian tribes around the periphery. It is unlikely that the Malgal people would change their own tribal name, or would they be willing to use such derogatory word as "Malgal." The term "Malgal" was coined based on the old Sino-centric and dynasty-centered historical perspective as a general term referring to ethnic minorities in the Northeastern borderland of the Tang Dynasty.
    It was also a derogatory name for the inhabitants living in the periphery of Koguryo. In other words, the term "Koguryo people" were used to refer to the residents in and around the capital Pyongyang and the people residing in outlying areas were called the uncivilized "Malgals." Records describe Dae Jo-young, the founder of Palhae, as "a Koguryo eccentric" or "a Sokmal Malgal." But, these descriptions of him do not mean that he could be either a Koguryo person or a Malgal person. It simply means that he was a "villager from the Songwha River in Koguryo." By the same token, it is also clear that the ethnicity of the ruling class and the ruled could not have been different.
    We learn from the Old History of the Tang Dynasty the fact that Palhae succeeded Koguryo. The book says that the "customs of the two dynasties were the same." Customs generally include established practices related with the ceremonies of coming-of-age, marriage, funeral and ancestor memorial, as well as the language. So, the Chinese records themselves testify to the successiv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Korean dynasties. This relationship can also be confirmed through their shared cultural heritage. There are certain lasting traditions in human societies that do not change even with the passage of time. Among them are the burial style and the heating system.
    For the tombs of Koguryo aristocrats, they relied mainly on masonry, such as stone chambers, stonewall and stone coffins. Palhae inherited this tomb style; a group of royal tombs in Yongcheonbu, the capital of Palhae, including the Tomb of Three Spirits (Samryeong Bun), were built in this manner. In the past, the earthen tombs in Palhae were thought to be the Malgal's typical grave pattern. Today, however, this type of tomb is known as a burial style for the commoners of Palhae, not a burial pattern of Malgal, which is a different tribe. All the commoners of Koguryo and Palhae were buried in earthen mounds and this type of burial was universal at the time.
    Korea is the only country in the world where people with the last name "Tae" exist, and they claim they are the descendants of Dae Jo-young, the founder of Palhae. Korea is also the only country in the world where apartment houses are equipped with "Ondol," the traditional "hot-floor" heating system. The Ondol (warm rocks) system originated from Koguryo and the Palhae people also used the system. In the Old History of the Tang Dynasty, there is a description of Ondol: "In Koguryo, lives of ordinary people are mostly poor. In winter, a long hole is dug under the floor of a room and people keep charcoal fire there to keep the room warm." The Ondol structures are found in the Koguryo relics in Pyongyang and Jiban (presently Jian, Jilin Province, China). They are also discovered in the royal palace site in the capital of Palhae and the kingdom's surrounding areas such as the Littoral Province. All these findings are evidence that testifies to the successiv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Korean dynast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