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玉蟲廚子의 原本尊像에 관한 내적인 타당성 검토 ― 옥충주자 내의 相互反響을 중심으로 (Examination on Internal Validity on Original Main Image of Tamamushizushi ― centering on Mutual Reflection in Tamamushizushi)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7 최종저작일 2008.12
32P 미리보기
玉蟲廚子의 原本尊像에 관한 내적인 타당성 검토 ― 옥충주자 내의 相互反響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동철학회
    · 수록지 정보 : 대동철학 / 45호 / 29 ~ 60페이지
    · 저자명 : 염중섭

    초록

    玉蟲廚子는 法隆寺 西院伽藍의 大寶藏殿에 안치되어 있는 일본 고대미술을 대표하는 중요한 작품이다. 이에 관해서는 일본의 明治시대부터 제작시기와 제작기법, 및 회화와 건축, 그리고 제작자에 대한 여러 방면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일본과 우리나라에서 100여 편이 넘는 많은 연구결과가 이미 발표된 바 있다.
    이 중 옥충주자의 제작시기에 관한 연구를 검토해 보면, 그 시기가 飛鳥時代(552-645)라는 伊東忠太의 주장에서부터 8C초로 낮추어 잡는 村田治郞의 주장에 이르기까지 상당한 폭을 보이고 있다. 그런데 이와는 달리 옥충주자의 本尊에 대한 언급은 1,000년이 지나서야 비로소 나타나 보인다는 점에서 본존에 대한 파악에 있어 어려움을 주고 있다. 특히 옥충주자 관련문헌들을 통해서 살펴지는 옥충주자 본존에 관한 기록이 아미타불과 관세음보살로 나타나고 있다는 것은 옥충주자의 전체적인 구조와 회화들이 석가모니 붓다를 지향하고 있는 것과는 상충되는 면을 보인다는 점에서 본존에 대한 고찰은 난해함을 파생한다.
    ‘廚子’는 결국 本尊像을 수납하기 위해서 만들어진 莊嚴空間일 뿐이라는 점에서 옥충주자의 일체 역시 본존상을 상징화하고 있을 수밖에는 없다. 그러므로 본존상에 대한 불명확한 측면을 옥충주자를 통해서 재구성해 보는 것은 옥충주자의 본존상에 관한 명확한 해법제시가 불가능한 상태에서는 가장 설득력 있는 해결방안이 된다.
    본고에서는 옥충주자의 본존상에 대한 접근을 옥충주자에 관한 기존의 연구 성과들을 바탕으로 작품의 통일성이라는 관점에서 시도해 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를 통해서 우리는 옥충주자의 본존상으로서 석가모니불상이 가장 높은 타당성을 확보해 보게 된다는 결론에 도달하게 된다. 이는 옥충주자의 본존에 관한 이해를 옥충주자 자체 내에서 파악해 보는 것으로서 문제의 해결에 있어서 높은 설득력을 확보할 수 있는 접근방법인 동시에 그 결과인 ‘옥충주자 본존=석가모니불’이 신뢰할 수 있는 타당성을 획득하는 측면이라고 하겠다.

    영어초록

    Tamamushizushi(玉蟲廚子) is one of the typical ancient artworks of Japan that is enshrined at Daihozoden(大寶藏殿) of Sajin Garan(西院伽藍) in Horyji-temple(法隆寺). Since the Meiji era of Japan, there have been so many studies on it in diverse departments such as its production period, manufacturing method, painting, architecture and producer that more than a hundred papers have been published in Korea and Japan.
    When examining the production period of Tamamushizushi, it shows a pretty wide range from Asuka period(552-645) asserted by Ito Chuta to as late as early 8C asserted by Murata Chiro. But, apart from the fact, the comment on the main image in Tamamushizushi first appeared only after 1,000 years, and thus it makes us difficult to apprehend the main image. Moreover, in the documents related with Tamamushizushi the main image was described as Amitabha or Avalokiteshvara but the whole structure and paintings of Tamamushizushi tended to point to Sakyamuni Buddha. This contradiction used to cause a difficulty in comprehending the main image.
    The 'zushi' is no more than the solemn space to place the main image. So, Tamamushizushi itself should also symbolize the main image. Therefore, to reconstruct the unclear aspect of main image through Tamamushizushi can be the most plausible solution in the situation where the clear answer cannot be obtained for the main image of Tamamushizushi.
    In this paper, the approach to the main image of Tamamushizushi has been tried in the view point of unity of the work on the basis of existing study results on Tamamushizushi. Through this, we could reach the conclusion that it is the most plausible to see the main image of Tamamushizushi as Sakyamuni Buddha. The comprehension on the main image of Tamamushizushi through the internal relationships within Tamamushizushi was the approach that could achieve the high persuasion in the problem solution. And, at the same time, the result that 'main image of Tamamushizushi is Sakyamuni Buddha' could also secure the more reliable validity.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동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0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