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신종 감염병 위기 발생 시 대응 체계에 대한 검토- 초동조치의 수단인 대책반 구성 및 운영 시스템을 중심으로 - (Response System for Emerging Infectious Disease Crisis - Focusing on the Organization and the Operation of an Initial Response Task Force -)

1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7 최종저작일 2020.05
16P 미리보기
신종 감염병 위기 발생 시 대응 체계에 대한 검토- 초동조치의 수단인 대책반 구성 및 운영 시스템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위기관리이론과실천
    · 수록지 정보 : Crisisonomy / 16권 / 5호 / 1 ~ 16페이지
    · 저자명 : 송승현, 최중국, 김승렬

    초록

    신종 감염병과 같은 위기가 발생을 하면 인간은 한 국가의 구성원으로서 국가에게 이에 대한 대처를요청한다. 이는 헌법에 근거한다고 할 수 있다. 우리 헌법에는 이에 대해 사회적 기본권으로서 추상적 권리로 인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권리는 법률에 근거하여 그 효력이 발생한다.
    현재 우리나라는 감염병의 대응 체계와 관련하여 각각의 법률 및 지침에 근거하여 감염병에 대한재난 위기관리 표준매뉴얼을 작성 후 운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매뉴얼에 따른 체계가 적절하고타당한 것인지는 의문이다. 감염병명 및 감염병의 유형에 따라 대책반장의 자리가 유동적이고, 그대책반을 구성함에 있어 대책반의 구성이 같거나 차이가 없으며, 감염병 위기 발생 시 신고 및 관리체계가 분산되어 있어 이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헌법 제34조는 사회국가의 헌법원리및 사회적 기본권의 원칙규범을 규정하고 있고, 동 조 제6항은 “…노력하여야 한다”라고 규정하고있다. 현행 질병관리본부의 초동조치 시스템이 ‘노력’이라고 표현할 수 있는지는 비판적인 관점에서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영어초록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have unique characteristics that require collaborative efforts to be properly addressed. The well being of human life free from infectious diseases is recognized as a basic social right in the Constitution and implemented under the law in many countries. In South Korea, the standard manual for disaster risk management in response to infectious diseases is prepared and operated according to the respective laws and guidelines. However, it is questionable whether the response system for infectious disease crisis described in the manual is appropriate and reasonable. The composition and hierarchy of an initial response task force formed according to the manual are varied and inconsistent depending on the title and type of the infectious disease and its reporting and management system is highly decentralized, which requires thorough review and revision. Considering the paragraph 6 of Article 34 of the Constitution of South Korea stipulating the government’s duty of making efforts to secure the Constitutional Principles of the Social State and the Principles of Social Basic Rights, a critical review is needed to evaluate whether or not the Korea CDC’s initial response system meets these principl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Crisisonomy”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6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5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