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국제법상 보상적 분리 독립에 관한 소고 - 2014년 러시아의 크림반도 병합과 관련하여 - (An Examination of Remedial Secession under International Law -With Special Reference To Crimea’s Separation From Ukraine In 2014-)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7 최종저작일 2022.12
26P 미리보기
국제법상 보상적 분리 독립에 관한 소고 - 2014년 러시아의 크림반도 병합과 관련하여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단국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법학논총 / 46권 / 4호 / 157 ~ 182페이지
    · 저자명 : 박정원

    초록

    본 고는 2014년의 크림 자치 공화국의 일방적인 우크라이나로부터의 독립과 러시아로의 병합이 결코 정당한 자결권 행사로 인정될 수 없는 사례임을 밝히고 있다. 본 고는 특히 자결권의 행사 방식으로서의 보상적 차원의 일방적 분리 독립을 특정 지역이 모국의 관할권을 벗어나서 행사할 수 있는 가를 크림 자치 공화국의 일방적 독립을 통해 분석하고 있다. 현행 국제법을 국제관행을중시하는 ‘법 실증주의적’으로 이해한다고 했을 때 학자들의 학설이나 국제 관행의 관점에서 자결권의 행사 방식으로서의 보상적 분리 독립권의 존재 자체가 부정 되지는 않더라도 그 행사 요건이 매우 부정적으로 엄격하게 받아 들여지고 있다는 것은 부인하기 힘들다. 그러나 이것은 어디까지나 자결권의 행사방식으로서 보상적 분리 독립권의 행사가 실제적으로 쉽지 않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지 보상적 분리 독립의 가능성을 자결권이 그 본질 상 포함하지 않고 있다는 뜻은 아니다. 이른바 내적 자결권이 철저히 부정된 상황에서는 최후의 수단으로서 보상적 차원의 분리 독립은 자결권의 정당한 방식으로 추구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러시아는 크림 반도 병합의 정당성을 주민들의 정당한 자결권의 행사로 옹호하면서 특히 그 정당화의 근거로 과거 코소보의 일방적 독립의 사례를 원용하고 있다. 그러나 코소보 지역은 특정 인종 집단에 대한 극단적인 인권 침해의 사례가 존재했던 지역이었고 이로 인해 NATO의 인도적 개입이라는 이름의 군사적 개입도 있었다. 그 후 유엔에 의한 코소보 지역의 국제관리 체계가 시행되었다. 코소보의 독립 사례는 그 국제법 부합성에 해석적인 논쟁의 여지가 충분히 있을 수 있지만 크림 반도의 러시아에 의한 병합은 전혀 그 성격이 다르다는 점이 중요하다. 코소보와 달리 크림 반도의 경우 그 어떠한 잔악한 인권 침해가 우크라이나 중앙 정부에 의해 자행되었다고 볼 수 있는 설득력 있는 증거가 없다. 크림 반도 병합의 경우는 애초에 보상적 분리 독립의 가능성 여부를 논할 상황도 아니었고 그것은 푸틴 러시아의 명백한 우크라이나에 대한 주권 침해 상황,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니었다.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주장과는 달리 러시아의 크림 반도 병합은 국제법 상의 자결권에 의한 정당한 행사의 과정이 아닌 자결권의 본질을 오용한 명백한 국제법 위반 사례였다는 것이 정확한 평가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argues that the unilateral independence of the Crimean Autonomous Republic from Ukraine and its annexation to Russia in 2014 is an example that cannot be legitimized as an exercise of self-determination. In particular, this paper analyzes through the unilateral independence of the Crimean Autonomous Republic from Ukraine whether a specific region of a sovereign state can pursue its unilateral independence in the context of ‘remedial secession’ as a way to exercise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If present international law, which is basically legal positivist international law that emphasizes international practice as the main evidence of international law, is adhered to, it is difficult to deny that the requirements for the exercise of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in the form of ‘remedial secession’ are strictly permitted. However, this only means that the threshold of violations justifying the exercise of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in the form of remedial secession is high, not that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does not include the possibility of remedial secession in essence. This is because in a situation where the so-called right to internal self-determination is completely denied, such as through flagrant abuses of human rights for racial minorities and the denial of access to a political process by ethnic minority groups, remedial secession as a last resort may be pursued in a legitimate way. Russia claims that the annexation of Crimea to the Russia Federation was a legitimate exercise of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its residents, and invoked Kosovo’s unilateral independence in 2008 as a comparable case. However, Kosovo was a region in which extreme human rights violations against certain ethnic groups existed, resulting in military intervention by NATO on humanitarian grounds.
    After that, the United Nations Interim Administration Mission in Kosovo (UNMIK) was implemented. Kosovo’s case of independence may be open to interpretive debate about its conformity with international law, particularly with regard to remedial secession, but it is important to recognize that the annexation of Crimea by Russia is a completely different case in nature. Unlike Kosovo, in the case of Crimea, there was no convincing evidence to suggest that any brutal human rights violations were committed targeting ethnic minorities by Ukraine’s central government. In the case of the annexation of Crimea, it was not a situation meriting discussion of the pursuit of remedial secession in the first place, and was rather nothing more than Russian President Vladimir Putin’s infringement of Ukraine’s sovereignty. Contrary to Putin’s claim, Russia’s annexation of Crimea was a clear violation of international law, not a process of legitimate exercise of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that can justify remedial secession under international law.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2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