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다중시점을 통해 본 내러티브와 시각화 : 구스 반 산트 감독의 <엘리펀트>를 중심으로 (Narrative and visualization through multiple viewpoints: Focused on Gus Van Sant's )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7 최종저작일 2018.10
27P 미리보기
다중시점을 통해 본 내러티브와 시각화 : 구스 반 산트 감독의 &lt;엘리펀트&gt;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국대학교 영상문화콘텐츠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영상문화콘텐츠연구 / 15호 / 73 ~ 99페이지
    · 저자명 : 김재영

    초록

    본 연구는 구스 반 산트 감독이 2003년도에 연출한 <엘리펀트Elephant>를 ‘다중시점’에 초점을 맞춰 살펴보고자한다. 조엘 마니는 영화에서 시점은 “카메라의 시선이며, 감독의 시선이며, 어떤 문제나 현실세계에 대한 감독의 관점”이라고 했다. <엘리펀트>를 선택한 이유는이러한 시점의 문제를, 감독이 지닌 현실세계의 인식의 구현인 내러티브와 카메라의 시선인 시각화 문제로까지 확장해서 살펴볼 수 있기 때문이었다.
    영화 <엘리펀트>는 1999년 콜럼바인 고등학교에서 일어난 총기난사사건을 다루고 있다. 소외된 소수자들에게 관심을 가져온 감독은 <엘리펀트>에서 이 문제가 발생한 원인 규명보다는 총기난사 사건 발생 당시 같은 장소에 있었던 피해자들과 목격자들, 그리고 가해자들을 평등한 시선으로 지켜볼 뿐이다. 이에 본 연구는 구스 반 산트 감독이 <엘리펀트>에서 이러한 인식과 관점의 구현으로서 다중시점을 어떻게 재현해내고 있는 지를, 2장에서는 ‘내러티브로 본 다중시점’을, 3장에서는‘스타일로 본 다중시점’을 통해 살펴보려고 한다.
    2장에서, 전형적인 내러티브 방식이 아닌 비전형적인 다중시점 내러티브 방식을 통해 감독은 효과적으로 관객들의 동화를 이끌어내는 방식보다는 감독 자신의 문제의식을 표현하기 위해 비전형적인 멀티 인물설정, 정교하게 계산된 에피소드식 구성 방식, 그리고 선형적인 내러티브적 시간구성이 아닌 중첩된 시간구성 방식 등을 선택하여 재현하고 있다.
    3장에서는 앞선 다중시점 내러티브가 감독의 문제의식을 어떻게 보여주고 있느냐와 관련시켰다면, 여기서는 스타일적 측면에서 화면구성으로서 촬영과 시간구성으로 편집을 중심으로 다중시점 시각화를 살펴보고자 한다. 시각화는 “카메라가 보여주는(하지만 관객이 보고 있는) 것과 등장인물이 보고 있다고 여겨지는 것 사이의 관계”이다. 즉, 구성된 공간과 시간 속에서 재현된 인물들 간의 관계에 대한 영화적 시점과 카메라의 시선에 관한 것이다. <엘리펀트>에서 카메라의 시선으로구현된 시각화는 개별 객체들의 시선으로 분화되어 객관화 되었다가다시 주체로 통합되는 과정을 스타일을 통해 보여주고 있다.
    <엘리펀트>를 연출한 구스 반 산트 감독이 이 영화를 통해 현실세계에 대한 문제인식 방식과 영상적 시각화 재현 방식을 살펴보았다. <엘리펀트>에서의 다중시점 내러티브와 다중시점 시각화는 영상매체로서영화가 현실세계에 대한 단순한 재현이 아닌 복합적 인식과 지각의 기능으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focuses on Elephant directed by Gus Van Sant in 2003.
    Joel Manney said that the point of view in the movie was "the camera's gaze, the gaze of the director, and the viewpoint of the director on any problem or real world." The movie Elephant deals with the shooting rampage at Columbine High School in 1999. In this paper, we present how the director Gus Van Sant reflects in the film Elephant through multi-view, as a multi-view narrative in chapter 2 and multi-view visualization.
    In Chapter 2, supervisors use non-traditional multi-view narrative methods, which are not typical narrative methods, in order to effectively express their own awareness of problems, rather than deriving the audience's assimilation effectively. In Chapter 3, we discuss the multi-view visualization with emphasis on editing in terms of shooting and time composition as a screen composition in terms of style from the viewpoint of how the preceding multi-view narrative relates to how the supervisor's problem consciousness is shown.
    Visualization is "the relationship between what the camera shows (but what the viewer is seeing) and what the character is supposed to see".
    That is, it relates to the cinematic viewpoint and the camera's gaze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structed space and the characters reproduced in time. In the Elephant, the visualization realized by the camera's gaze is differentiated into the eyes of the individual objects, then objectified, and then the process of integrating into the subject is shown through the style.
    Director Gus Van Sant, who directed the Elephant, looked at how he perceived the problem in the real world and reproduced it with visual visualization. Multi-view narrative and multi-view visualization in Elephant is a good text that shows that film can be utilized as a function of complex perception and perception, not simply representation of the real worl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영상문화콘텐츠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