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대학생의 아바타 기반 실시간 온라인 토론 경험에 대한 미디어 생태학적 고찰 (Media Ecological Exploration of Undergraduate Students’ Experiences in Avatar-based Synchronous Online Discussion)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7 최종저작일 2023.12
29P 미리보기
대학생의 아바타 기반 실시간 온라인 토론 경험에 대한 미디어 생태학적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 수록지 정보 : 교육정보미디어연구 / 29권 / 4호 / 873 ~ 901페이지
    · 저자명 : 임지은, 최진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아바타 기반 실시간 온라인 토론에 참여한 대학생들의 경험을 미디어 생태학적 접근을 통해 고찰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아바타 기반 실시간 온라인 수업에 참여한 D광역시 소재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고, 학생들의 내면적 경험 및 관계적 경험의 양상을 도출한 뒤, 학습과 어떤 관련성을 맺는지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점차 아바타를 나와 연결된 현존으로 인식하고 둘째, 자기검열로부터 자유로운 자기표현이 나타났으며, 셋째 타인의 시선에 노출되는 외모에 대한 부담감 없이 자신을 드러낼 수 있었고, 넷째 화면을 매개로 하지만 살아있는 누군가와 소통하는 실재감을 느낄 수 있음을 도출해내었다. 마지막으로 대면에서 낯선 사람과 만날 때의 거리감을 완화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아바타를 매개한 이러한 학생들의 감각과 지각이 학습과 맺는 관계로는 첫째, 적절한 수준의 긴장감과 책임감 부여를 통해 집중도가 향상되고 둘째, 규범적 답변이 아닌 솔직한 의견을 제시할 수 있으며, 셋째, 수업 외적인 것에 신경을 쓰지 않아도 되어 효율적이라고 느낄 수 있었고 넷째, 실재감을 느껴 토론 참여에 몰입도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대면에서 비롯될 수 있는 경계짓기에서 벗어나 물리적 접근을 넘어선 학습공동체로 확장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대면 상황에서도 그 친밀감이 연장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교육 환경에서 새로운 미디어 기술이 적용될 때, 기존의 교육적 한계를 보완하는 특정 기술의 단선적인 효과 분석을 넘어 미디어가 학생들이 감각하고 느끼는 것을 어떻게 달라지도록 매개하는지 탐색하면서, 그것이 교육적이기 위해 어떤 노력과 전략이 필요한지 고민하는 미디어 생태학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제안하였다.

    영어초록

    This research aims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undergraduate students in avatar-based synchronous online discussions through the lens of media ecological theory. To achieve this goal, we performed in-depth individual interviews with six students at a college located in D metropolitan city. The participants were recruited from a course which conducted avatar-based synchronous online discussion during the first half of the semester. The interview data were analyzed with a focus of the inner and relational experiences of students. The results were categorized into five themes: 1) awareness of the avatar as a connected representation of oneself, 2) freedom of self-expression, 3) self-disclosure without the fear of sharing one’s appearance, 4) feeling social presence by perceiving others as real people, and 5) addressing the sense of distance with students in other groups. Our findings also reveal how these experiences are interconnected and impact students’ learning, including: 1) enhanced concentration by facilitating an appropriate level of tension and responsibility, 2) sharing trustful responses rather than normative ones, 3) efficiency in learning without being distracted, 4) more immersive discussions through an enhanced sense of presence 5) creating an expanded learning community. In conclusion, it suggests that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explore the application of new media for educational purposes from a media ecological perspective. This can help us understand how media mediates students’ sensations and emotions and what strategies are required to create successful learning experiences within this environm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교육정보미디어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5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