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반영웅의 전성시대: 현대 미국 텔레비전 드라마의 반윤리적 주인공에 대한 시차적 검토 (The Age of the Antihero in Contemporary American TV Dramas)

1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7 최종저작일 2020.09
18P 미리보기
반영웅의 전성시대: 현대 미국 텔레비전 드라마의 반윤리적 주인공에 대한 시차적 검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영미문학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영미문학교육 / 24권 / 2호 / 31 ~ 48페이지
    · 저자명 : 김영훈

    초록

    Over the past two decades, we have seen a surge of antiheroes in American TV dramas. Ranging from Tony Soprano to Dexter Morgan, from Piper Chapman to Claire Underwood, the antiheroes are morally, ethically, and often legally problematic figures to say the least. Despite their controversies, it seems they replaced the imaginary position of the more traditional heroes in TV with the allure of the dark side. Why do people love the antiheroes, the people with flaws and mixed morals? What do they represent as a whole? This paper analyzes the rise of the antihero in contemporary American TV dramas from multiple perspectives. It argues that the antiheroes are not only a result of the rapidly changing society but also of the advent of the post-network era. The antiheroes in popular TV shows, such as Breaking Bad, Mad Men, The Wire, Dexter, to name a few, basically represent the contemporary societal changes and politico-economic crises which challenge and even deconstruct the existing values systems. In doing so, they often embody highly critical views on the contemporary world. However, they are also an essential part of the radically transformed American TV industry, in which complicated characters as well as complex narratives could flourish so successfully. Simply put, the rise of the antihero was necessary for the evolution and global expansion of the American TV industry. In conclusion, this paper argues that, to understand the rise of the antihero and the impact it could have, these two sides behind the rise of the antihero have to receive due consideration.

    영어초록

    Over the past two decades, we have seen a surge of antiheroes in American TV dramas. Ranging from Tony Soprano to Dexter Morgan, from Piper Chapman to Claire Underwood, the antiheroes are morally, ethically, and often legally problematic figures to say the least. Despite their controversies, it seems they replaced the imaginary position of the more traditional heroes in TV with the allure of the dark side. Why do people love the antiheroes, the people with flaws and mixed morals? What do they represent as a whole? This paper analyzes the rise of the antihero in contemporary American TV dramas from multiple perspectives. It argues that the antiheroes are not only a result of the rapidly changing society but also of the advent of the post-network era. The antiheroes in popular TV shows, such as Breaking Bad, Mad Men, The Wire, Dexter, to name a few, basically represent the contemporary societal changes and politico-economic crises which challenge and even deconstruct the existing values systems. In doing so, they often embody highly critical views on the contemporary world. However, they are also an essential part of the radically transformed American TV industry, in which complicated characters as well as complex narratives could flourish so successfully. Simply put, the rise of the antihero was necessary for the evolution and global expansion of the American TV industry. In conclusion, this paper argues that, to understand the rise of the antihero and the impact it could have, these two sides behind the rise of the antihero have to receive due consider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4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