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의 반부패 정책체계에서 부패방지 실태조사의 의의와 제도적 개선방안 (Significance and Institutional Improvement of Anti-Corruption Investigation in Korea's Anti-Corruption Policy System)

1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7 최종저작일 2024.06
18P 미리보기
한국의 반부패 정책체계에서 부패방지 실태조사의 의의와 제도적 개선방안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부패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부패학회보 / 29권 / 2호 / 35 ~ 52페이지
    · 저자명 : 김상년, 이준서

    초록

    부패방지 정책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부패의 관행과 유발요인을 제거하는 제도개선을 통하여 부패를 통제하는 것이 중요하고, 제도개선을 도출하기 위해서는 현행 제도의 운용 현황과 문제점을 확인하는 실태조사가 선행되어야 한다. 현행 부패방지권익위법상 부패방지와 관련된 조사․실태조사는 ① 공공기관 부패에 관한 조사․평가, ② 공공기관의 부패방지를 위한 시책 및 제도개선 사항의 수립․권고를 위한 설명 또는 자료․서류 등의 제출요구 및 실태조사, ③ 부패행위 신고내용을 특정하기 위한 조사라는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위의 유형 중 두 번째에 해당하는 법 제29조 제1항 제1호의 실태조사는 부패방지권익위법상 규정된 부패방지 업무 중 가장 역사가 오래된 업무이며, 이 규정을 통한 제도개선 실태조사 결과 도출된 제도개선안들이 반부패 정책 성과에 있어 상당히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부패방지 시책에 있어서 법 제29조 제1항에 따른 실태조사가 갖는 의의를 고려하여 동 조문에서 규정하고 있는 제도개선 추진을 위하여 활용된 실태조사의 개념과 성질에 관한 이론적 검토를 한 후, 그간 국민권익위원회의 운영성과를 반부패 정책 성과와 연계하여 검토한 후 동 제도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국민권익위원회가 주관하는 부패방지 시책 및 제도개선을 위한 실태조사는 제도개선안의 마련을 위한 일회성 조사와 부패취약분야의 문제점을 부각하고 그 자체가 부패관리수단으로 활용되는 실태조사가 있다. 그간의 운영성과를 살펴볼 때, 부패관리수단으로 활용되는 실태조사의 경우 그 자체의 파급력은 물론, 이후 제도의 운용에 미치는 영향도 크기 때문에, 효과적인 부패관리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 다만, 조사의 목적이 일반적인 실태조사와 차이가 있기 때문에 실태조사의 유형별 제도화, 실태조사의 세부 절차 마련, 「행정조사기본 법」의 적용 제외를 전제로 하여 부패방지권익위법에 따른 실태조사의 기본원칙과 조사 착수요건과 절차, 조사방법 및 조사결과의 이의절차와 조사 결과의 활용 등 전반적인 절차와 내용을 보완할 필요가 있다.

    영어초록

    To prevent corruption, it is important to revise related laws and regulations for anti-corruption policy system improvement. However, in order to derive results of system improvement, a fact-finding survey or investigation must be conducted first to confirm the operation status and problems of the current system. Under current Act on the Prevention of Corruption and the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of the Anti-Corruption and Civil Rights Commission, surveys related to corruption prevention can be broadly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1) investigation and evaluation of corruption in public institutions; (2) an explanation, request for data submission and fact-finding survey to establish and recommend policies and system improvements to prevent corruption in public institutions; (3) an investigation to verify details of reports of corruption.
    The fact-finding survey under Article 29 of the Act, which is the second type among the above, is a very important part of deriving institutional improvement plans to achieve anti-corruption policy results. In this paper, we conduct a theoretical review of the concept and nature of the survey used to promote institutional improvement, considering the significance of this survey in anti-corruption policies.
    The fact-finding survey or investigation for anti-corruption policies and system improvement hosted by the Anti-Corruption and Civil Rights Commission can be used as an effective corruption control tool because it not only has its own ripple effect but also has a large impact on the subsequent operation of the system. However, since the purpose of the survey under this Act is different from a general fact-finding survey, there is a need to establish more detailed and predictable standards and procedures for the survey method, survey conduct, and use of survey results as provided in the Framework Act on Administrative Investigations. Considering the above factors, it is necessary to comprehensively supplement the fact-finding system, including institutionalizing each type of fact-finding survey and investigation, clarifying the detailed implementation procedures of the fact-finding survey and investigation, and establishing a relationship with the Framework Act on Administrative Investigatio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5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