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반려인의 반려동물 상실에 관한 주관성 연구 (The Study of Subjectivity on the Loss of Companion Animal of a Pet Owner)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6 최종저작일 2024.05
21P 미리보기
반려인의 반려동물 상실에 관한 주관성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융합과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융합과학회지 / 13권 / 5호 / 157 ~ 177페이지
    · 저자명 : 유영은, 목서윤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반려인의 반려동물 상실에 관한 주관적 인식을 유형화하여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Q 방법론을 통해 탐색하였다. 연구방법 연구참여자는 반려동물 양육 및 상실 경험이 있는 18세 이상 성인 31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40개의 Q 표본을 강제분포하여 분류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코딩 후 Quanl Program을 사용하여 주요인분석을 통해 결과를 도출하였다. 결과 유형 1(N=8)은 반려 동물과의 정서적 교류 및 지지를 바탕으로 강한 연결감을 가지고 있어 상실 및 상실 이후의 삶에 대해 두려움을 가진 ‘연결 초점형’이다. 유형 2(N=12)는 자신과 동물의 삶을 구분하여 인식하며 반려 동물과의 관계 뿐 아니라 반려 문화까지 조망하는 ‘현실 적응형’, 유형 3(N=8)은 반려 동물과 공동의 높은 삶의 질을 지향하며, 상실보다는 현재 반려동물과의 행복을 추구하는 ‘현재 초점형’, 유형 4(N=3)는 현재 반려 동물 상실로 인한 애도를 경험하고 있는 ‘상실 초점형’으로 나타났다. 공통적으로 반려동물에 대한 책임과 상실에 대한 고통을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반려인의 반려동물 상실에 대한 정서적 감수성을 이해하고, 구체적인 지원에 대한 정보와 안내가 필요하다. 또한 반려인의 시각을 바탕으로 비반려인과 공존을 위한 모니터링과 정책 개선, 생명존중 문화 확산과 건강한 반려문화 조성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도 제공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관련 프로그램 개발과 지원 체계 구축이 필요하며 관련 전문 분야의 연구와 다학제적 공유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영어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pet owners regarding pet loss, by categorizing the subjective perception on the issue using the subjectivity study method. Methods 31 adults over 18 years old, who have experience in raising or losing a companion animal were selected. 40 Q samples were force-distributed and classified. The collected data were coded then subjected to factor analysis using the Quanl Program. Results Type 1 (N=8) is the ‘connection focused type’ which has a strong sense of connection with pets based on emotional exchange and support, and is afraid of their lives after let loss. Type 2 (N=12) is the ‘reality adaptation type’ that recognizes the lives of oneself and animals separately, and views not only the relationship with the companion animal but also the culture of pet-keeping. Type 3 (N=8) aims for a high quality of life with companion animals, and focuses on the current happiness rather than preparing for loss, hence, the ‘present focused type.’ Type 4 (N=3) is the ‘loss focused type’ that is currently experiencing mourning due to the loss of companion animal. All types, in general, recognize the responsibility and the pain for companion animal loss.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emotional sensitivity of companion animal loss, and provide information and guidance. Opportunities to monitor and improve policies for the coexistence of pet and non-pet owners, for a developed culture that respects animal life is needed. It is necessary to develop related programs and establish a support system, and to pursue further research in related specialized field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융합과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0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