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번역문학의 재생(再生)과 반(反)검열의 앤솔로지-『태서명작단편집(泰西名作短篇集)』(1924) 연구 (The regeneration of translation literature and An anthology of anti-censorship -A study on Taeseo Myeongjak Danpyeonjip(泰西名作短篇集)(1924))

5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6 최종저작일 2018.10
53P 미리보기
번역문학의 재생(再生)과 반(反)검열의 앤솔로지-『태서명작단편집(泰西名作短篇集)』(1924)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학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현대문학의 연구 / 66호 / 153 ~ 205페이지
    · 저자명 : 손성준

    초록

    『태서명작단편집』(1924)은 서양[泰西]의 여러 단편소설을 번역하여 엮은 책으로서, 한국 최초의 서양 단편 앤솔로지로 알려져 있다. 『태서명작단편집』의 근간은 홍명희, 진학문, 염상섭, 변영로 등 4인의 번역자가 과거 『동명』, 『개벽』, 『학지광』, 『신생활』에 역재(譯載)했던 단편소설 15편이었다. 번역자들은 주로 일역본을 경유한 중역(重譯)의 방식으로 서양 단편을 소개했지만, 변영로의 번역작 3편은 모두 영역본의 중역이었다.
    기획 및 편집을 맡은 변영로는 우선 번역진을 구성한 후, 각자의 과거 번역을 추적하여 모으는 단계를 밟았다. 그 결과 15편 중 9편이 러시아소설로 편중되는 구성의 불균형이 나타났다. 이는 『태서명작단편집』이 철저히 발신자 중심의 기획이라는 것을 방증한다. 변영로와 동료들은 이미 각자의 기준에서 조선의 독서계에 필요하다고 판단한 서양 소설들을 선보였고, 현재는 그것을 한 데 엮여 재차 선보이고자 할 따름이었다.
    최초 발표된 원고의 형태와 『태서명작단편집』으로 재편집된 판본을 비교해보면, 일부 표기를 제외하고는 큰 차이를 확인할 수 없다. 기점이 된 4개의 잡지는 합법적 영역에서는 최고 수준의 ‘불온함’을 장착하여 검열체제와의 갈등이 일상화되어 있던 잡지였다. 검열의 강도가 격화되고 있던 시기적 특수성을 감안하면, 『태서명작단편집』은 과거의 문제적 번역들을 ‘태서명작’의 이름으로 ‘재생’시킨다는 의미를 지니고 있었다. 사전검열의 결과 비록 최남선이 번역한 「마지막 課程」(알퐁스 도데 원작)은 삭제되었지만 활자화된 15편의 소설 역시 상당수가 식민지 조선의 억압된 상황에 대한 은유, 애국심과 독립정신의 고취, 계급투쟁의 당위성 등 검열의 기준에 저촉될 만한 여러 가지 요인을 내재하고 있었다.
    나아가, 『태서명작단편집』의 수록작 가운데 10여 편은 공통적으로 ‘타자와의 관계 속에서 오는 깨달음’의 문제를 다루었다. 이러한 일관된 메시지는 이 앤솔로지가 1923년 9월 1일에 발생한 관동대지진로부터 얼마 지나지 않아 기획되었다는 점에서 더욱 문제적이다. ‘타자’였던 탓에 죽임당해야 했던 조선의 비참한 역사 직후에, 공교롭게도 『태서명작단편집』은 ‘타자가 틀린 것이 아니다’라는 목소리를 집결시킨 형태로 등장했던 셈이다. 『태서명작단편집』은 결국 식민지 조선에 대한 발화였다.

    영어초록

    The Taeseo Myeongjak Danpyeonjip (Anthology of Occidental Short Story Masterpieces)(1924) is a compilation of translated Western short stories, and is known as the first anthology of Western short stories in Korea. The Taeseo Myeongjak Danpyeonjip is based on 15 short stories previously translated and published in Dongmyeong, Gaebyeok, Hakjigwang, and Sinsaenghwal by four translators of Hong Myeong Hui, Jin Hak Mun, Yeom Sang Seop, and Byeon Yeong Ro. While the translators mostly introduced Western short stories by second-hand translation via Japanese, Byeon Yeong Ro’s three translations were all translated from English versions.
    Byeon Yeong Ro, the planner and editor of the compilation, selected the translators, and then tracked and collected their past translations. As a result, the compilation showed such an imbalance of composition that Russian short stories were predominant with 9 of the 15 short stories. This corroborates that the Taeseo Myeongjak Danpyeonjip was planned on an entirely sender-centered basis. Byeon Yeong Ro and his colleagues had already introduced Western stories judged by them as necessary for the reading public of Joseon according to their own criteria, and then only intended to publish them again in the form of a compilation. The comparison between the texts of the manuscripts initially published and their re-edited versions in the Taeseo Myeongjak Danpyeonjip shows no great difference except for some expressions. The four magazines that originally had published the works were routinely in conflict with the censorship system due to their top-level ‘rebelliousness’ within the legal limits. Given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the period when the intensity of censorship was increased, the Taeseo Myeongjak Danpyeonjip had the significance that it ‘regenerated’ problematic translations of the past under the title of ‘Occidental masterpieces.’ Although only The Last Lesson (originally written by Alphonse Daudet) translated by Choi Nam Seon was removed as a result of the censorship, most of the 15 stories put into print also included factors that might be in conflict with the criteria of censorship, such as a metaphor for the situation of oppressed colony Joseon, the infusion of patriotism and the spirit of independence, and the justification for class struggle.
    Further, 10 works in the the Taeseo Myeongjak Danpyeonjip commonly dealt with the issue of ‘realization from relationship with the other.’ Such a consistent message was more problematic in that the anthology was planned shortly after the Great Kanto earthquake in September 1, 1923. For the appearance of the Taeseo Myeongjak Danpyeonjip as much as gave voice to ‘The other is not wrong’ just after the miserable history of Joseon where Joseon people had to be killed because they were the others. The Taeseo Myeongjak Danpyeonjip was utterances about the colonial Joseon after al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대문학의 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6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