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여우여신의 남신화에 따른 반인반호(半人半狐) 남성영웅서사의 탄생과 드라마 '구가의 서'의 인간화 욕망 실현의 이니시에이션 (Birth of Therianthropic Male Hero Narrative as Fox Goddess’s Transfiguration Process to Fox God and Initiation of Desire’s realization towards Humanization in 'Gu Family Book')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6 최종저작일 2014.03
38P 미리보기
여우여신의 남신화에 따른 반인반호(半人半狐) 남성영웅서사의 탄생과 드라마 '구가의 서'의 인간화 욕망 실현의 이니시에이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세종캠퍼스 한국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학연구 / 48호 / 33 ~ 70페이지
    · 저자명 : 권도경

    초록

    본 연구는 여우여신의 남성신화 과정에서 반인반호 남성영웅의 인간화 욕망이 탄생했으며, 그 매체적 실현이 바로 드라마 <구가의 서>라는 사실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구미호는 대중문화콘텐츠 중에서도 특히 활자가 아닌 영상 매체에 얹혀 있는 영상미디어서사문학(media narrative literature)에서 인기리에 선택해온 대표적인 이류(異類)다. 기실, 구미호 하면 떠올리게 되는 주도적인 서사적 이미지(narrative image)는 공동묘지를 배회하며 무덤을 파헤쳐 시체를 파먹거나 사람의 간을 빼먹다가, 재주를 넘어 아름다운 여성으로 변신한 뒤에, 인간이 되려고 남성과 혼인하고 살지만 상대의 배신으로 실패한다는 것이다. 구미호에 관한 이와 같은 형태의 서사적 고정관념은 주로 텔레비전 드라마 시리즈 <전설의 고향>을 통해 정착된 것이다. 그런데 문제는 최근에 방영되어 최고 시청률로 막을 내린 <구가의 서>란 드라마다. <구가의 서>의 주인공은 지금껏 매체 속에서 익숙히 재현되어온 여자구미호가 아니라 남자구미호인데다, 인물형상이 부정적이지도 않다. 교혼상대에게 배신당하여 퇴치되지도 않을뿐더러, 오히려 막강한 비현실적인 능력으로 인간의 문제뿐만 아니라 국가의 문제도 해결하는 영웅이다. 게다가 주인공인 남자구미호가 혈통적으로 아예 인간여성과 남성구미호의 혈통을 반반씩 이은 반인반호(半人半狐)다. 구미호에 관한 서사적 고정관념에 익숙지 않은 남자구미호가, 역시나 그 서사적 고정관념에서 보자면 낯설기 짝이 없는 남성영웅이 되어 긍정적인 신화성을 인정받고 있는 이야기가 바로 드라마 <구가의 서>인 것이다. 본 연구는 드라마 <구가의 서>가 여우서사의 전개사에서 어떤 서사적 지점에 위치해 있으며, 이 작품에 의해 구미호에 관한 서사적 고정관념이 어떻게 해체되고 재조합 될 수 있는지를 확인해 보았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는 다음의 두 가지 방향으로 진행되었다. 우선, 여우여신의 여우남신으로의 대체와 구미호남성영웅의 출현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드라마 <구가의 서>에 등장한 구미호 남성영웅이 어디서 뚝 떨어진 낯선 존재가 아니라 한국여우설화사의 서사적 연원 속에서 배태된 존재임을 입증하였다. 드라마 <구가의 서>의 주인공인 최강치 같은 반인반수는 악신화 되어 퇴치되기 이전 단계의 여성이류신격이 인간남성과 교혼한 결과 탄생하는 남성시조신이다. 여기서 반인반수성은 여성이류신격이 본래 지니고 있었던 신성권능에 그 연원을 두는 것으로 초월적이거나 탁월한 능력을 나타낸다. 그래서 반인반수의 인간은 단군처럼 한 국가나 가문의 시조가 되거나 혹은 비범한 남성영웅이 된다. 한국여우서사의 전개사에서도 마찬가지여서 반인반수의 남성시조와 영웅의 혈통은 여성이류신격에 그 연원을 둔다. 이때, 여우여신을 모계로 하는 반인반수의 인간남성영웅은 여우여성신의 신성이 남성영웅의 비범성으로 전이된 형태다. 이러한 전이를 통해 본래 여우가 지녔던 초월적 신성권능은 발현주체는 여우여성신에서 인간남성영웅으로 대체되어 나타난다. 이 점에서 여우여신을 퇴치하는 인간남성과 여우여신의 권능을 혈통적으로 계승한 인간남성은 둘 다 여우여신을 대체한 여우남신의 인간화 된 형태라고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드라마 <구가의 서>에 나타난 인간화 욕망실현의 이니시에이션이 반인반수 남성구미호의 영웅성을 구현해내고 있다는 사실을 입증하였다. 여우여신의 악신화와 퇴치, 그리고 여우남신으로의 교체와 부계혈통 반인반호의 출생까지의 변동단계는 드라마 <전설의 고향> 시리즈에서 부정적 존재로 규정되어 퇴치되었던 여성구미호가 <구가의 서>에 와서 남성구미호로 대체되고, 그 남성구미호가 반인반호의 주인공을 인간 세상에 출생시키기까지의 매체 속 구미호서사원형 재현 과정과 그 흐름을 같이 한다. 인간과의 이류교혼 완성에 실패하고 악수(惡獸)으로 규정되어 퇴치 대상이 된 여우여신이 남성화 된 존재가 바로 <구가의 서> 주인공의 부계인 구월령이다. 남성구미호가 인간여성과의 사이에서 낳은 반인반호의 남성구미호는 <구가의 서>의 주인공 최강치다. <구가의 서>는 주인공 최강치가 이류교혼은 성취하지만 인간여성에게 배신당해 퇴치된 구미호 부계의 패배 지점에서부터 여우서사의 전개사를 다시 써나간다. 여기에는 여우와 함께 이류교혼의 주체였던 다른 동물신들이 제기했으나 여우서사의 전개사 속에서는 다뤄지지 않았거나 대부분 변형되어 탈락되어 있는 경우가 많았던 문제 두 가지, 즉 인간화의 욕망과 신의 준수의 문제가 작품의 서사주체인 최강치가 획득해 나가야 할 핵심적인 지향가치로 수용되어 있다. 당연히 <구가의 서>에서 이루어지는 최강치란 서사주체의 탐색은 <전설의 고향> 시리즈에서 고착되었던, 인간되기를 갈망했으나 인간에 의해 배신당하는 구미호에 관한 서사적 고정관념을 해체하고 새롭게 쓰는 과정이 된다. 그 종착점은 인간되기를 갈망하여 인간이 되기 위한 통과제의를 거쳐나간 끝에 이류교혼 상대로부터 신의를 얻어내는 데는 성공한 구미호의 인간되기 이니시에이션이 된다.

    영어초록

    This study was willing to investigate that Desire for Humanization of Therianthropic Male Hero in Fox Goddess’s Transfiguration Process to God was born and it’s medium realization is drama <Gu Family Book>. For this was progressed newt teo ways. Firstly, watching as process of Fox Goddess’s replacement to foxy god and male fox with nine tails’s, appearance, his paper investigated that drama <Gu Family Book>’s Male Hero with nine tails’s is not stranger who was dropped out of anywhere but is being who was originated out narrative of korean fox fale’s history. Half-man-half-beast like drama <Gu Family Book>’s Hero Coi gang chi is male progenitor who was born as a result that feminine godhead of different species had sexual relations with human male before bad goddess and got rid of. Lineage of male progenitor of half-man-half-beast and hero is originated from feminine godhead of different species. At this time, human male of half-man-half-beast who have fox goddess as maternal line is being who godhood of fox goddess was metastasized to male hero. Through this transferal, immediate main agent of transcendental power that primarily fox had appears to be replaced to male hero from fox goddess. In the second place, this paper investigated that Initiation of Desire’s realization towards Humanization in <Gu Family Book> get to realize heroic nature of male progenitor of half-man-half-beast. Hero Coi gang chi of <Gu Family Book> rewrites progress history of fox narrative from the point of foxy paternal failure who got to sesual relationship between different species betrayed and eradicate by human female. In here, problem of Humanization’s desire and faith observance is got to accommodate as fundamental intended value that Choi gang chi has to ge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8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2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