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비전(非戰), 반군국주의, 비핵화로서의 평화: 일본 평화 개념사의 핵심 (Peace as ‘No-war’(非戰), ‘Anti-militarism’(反軍國主義), and ‘Non-nuclear’(非核): The Core of the History of the Concept of Peace in Japan)

4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6 최종저작일 2018.12
41P 미리보기
비전(非戰), 반군국주의, 비핵화로서의 평화: 일본 평화 개념사의 핵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국제이해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국제이해교육연구 / 13권 / 2호 / 78 ~ 118페이지
    · 저자명 : 이찬수

    초록

    메이지 시대부터 전후에 이르는 일본의 주요 사상가들에게 평화는 ‘비전(非戰)’, ‘반군국주의(反軍国主義)’, ‘비핵(非核)’으로 대변되는 이상적 가치였다. 전쟁을 통한 군국주의적 팽창과 그로 인한 무력적 살상을 반대하면서, 각종 물리적 폭력의 가능성을 줄이거나 없애기 위한 메시지가 일본적 평화 담론의 요지였다. 20세기 후반에는 일본의 전쟁 책임을 반성적으로 의식하고, 핵무기와 같은 전쟁 병기를 거부하면서, 전쟁포기를 선언한 ‘헌법9조 수호 운동’ 및 반핵운동으로 확장되어가는 중이라고 요약할 수 있다. 평화를 비전, 반군국주의, 비핵 등으로 이해하고 있다는 것은 현실에서는 전쟁, 군국주의, 핵발전 등 그 반대의 흐름이 더 컸다는 뜻이다. 실제로 일본에서는 메이지 시대부터 패전 때까지 78년 동안 각종 전쟁이 끊이지 않았다. 전쟁은 정당화되었고, 정의로운 것으로까지 치부되었다. 현실에서는 ‘힘에 의한 평화론’이 늘 득세해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비록 ‘비’전(非戰), ‘반’군국주의(反軍国主義), ‘비’핵(非核)에 담긴 부정[非], 반대[反] 등의 언어가 주류였던 적은 없지만, 일본에서 평화와 관련된 목소리는 물리적, 특히 군사적 힘의 확대를 경계하고 비판하면서 오늘도 지속되고 있는 중이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사정과 상황을 염두에 두고서 일본 내 평화 개념의 역사(the history of the concept of peace)를 정리해보고자 한다. 일본에서는 평화 혹은 그에 해당하는 가치를 누가 제기하고 어떻게 계승해 왔는지, 일본인은 지난 수세기에 걸쳐 평화의 의미를 어떻게 상상해왔는지, 일본적 평화의 원류에 해당하는 개념이 있다면 무엇이었는지 등을 역사적 흐름을 따라 정리해보려는 것이다. 특히 일본 평화론의 기념비적 역작인『日本平和論大系』에 등장하는 안도 쇼에키, 요코이 쇼난, 나카에 초민, 우에키 에모리, 고토쿠 슈스이, 우치무라 간조 등은 물론, 요시노 사쿠조, 야나이하라 타다오, 가가와 도요히코, 일본국헌법(평화헌법), 마루야마 마사오 등의 사상가가 평화를 어떻게 상상했는지도 살펴보겠다. 이를 통해 일본 평화주의자들은 대체로 제국주의, 군국주의, 자본주의, 독재정치 등을 비판하고, 자유, 민권, 사회주의, 기독교 등에 입각한 비전/반전, 징병거부 등의 목소리를 높였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함께 헌법 9조 수호 운동 및 반핵 혹은 탈핵 등으로 세분화해온 일본 평화론의 현주소도 짚어보도록 하겠다.

    영어초록

    For major Japanese thinkers from the Meiji period to the postwar period, peace was an ideal value that had been represented by the ideas of “no- war”(非戰), “anti-militarism(反軍國主義),” and “non-nuclear(非核)”. The voices to eliminate, or reduce, the possibility of physical violence were a key to the Japanese peace discourse, while opposing the expansion of militarism through war and its violent killing. The concept of peace of Japan in the second half of the 20th century can be summarized not only as a process of anti-nuclear movement but also as a campaign to defend Article 9 of the Constitution which renunciation of war was expressed while reflective awareness of Japan’s responsibility for the war arose and the renunciation of weapons, such as nuclear, was proclaimed. Understanding peace as no-war, anti-militarism, and denuclearization means that, in reality (of the 20th century of Japan), the opposite trends, such as war, militarism, and nuclear power, were superior. Practically, Japan continued to wage wars for 78 years from the Meiji period to the defeat in the Pacific War. The war was justified and even, regarded as just. In reality, ‘peace by power always prevailed. Although the negative prefixes such as ‘no-’, ‘non-’, and ‘anti-’ as in no-war, non-nuclear, and anti-militarism have never been mainstream; nevertheless, peace-related voices in Japan has been continuing to have a say in warning and criticizing the expansion of physical - and in particular, military - power. With these circumstances in mind, this paper would like to summarize the history of the concept of peace in Japan. This paper will examine historical streams to see who raised and inherited the peace or its values, how Japanese have imagined the meaning of peace over the past centuries, and what the concepts that correspond to the origin of Japanese peace were. Especially, this paper will look at how Japanese thinkers(Yoshino Sakuzo, Yanaihara Tadao, Kagawa Toyohiko, Article 9 of the Japanese Constitution(日本国憲法第9条), Maruyama Masao as well as Ando Shoeki, Yokoi Shonan, Nakae Chomin, Ueki Emori, Kotoku Shusui, Uchimura Kanzo and so on) in『A Compendium of Japan Peace Theory』(日本平和論大系), a monument to Japan's pacifism, imagined peace. This shows that Japanese pacifists have generally criticized imperialism, militarism, capitalism, and dictatorship, and raised voices toward no/anti-war and rejection of conscription based on freedom, civil rights, socialism, and Christianity. This paper will also look into the present state of Japanese pacifism, which has been subdivided into the movement for the defense of Article 9 of the Constitution, denuclearization, and/or anti-nuclear movemen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5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