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캔틴스쿨(건강장애청소년학교밖배움터) 운영 효과에 관한 혼합방법론 연구 (A Study on Effect of Operation of Canteen School for Health Impaired Adolescents, the Mixed Methodology)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6 최종저작일 2019.09
30P 미리보기
캔틴스쿨(건강장애청소년학교밖배움터) 운영 효과에 관한 혼합방법론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청소년학회
    · 수록지 정보 : 청소년학연구 / 26권 / 9호 / 187 ~ 216페이지
    · 저자명 : 김선희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캔틴스쿨(건강장애청소년학교밖배움터) 운영 효과를 평가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혼합연구방법론을 적용하였다. 양적연구에 있어서는 전실험설계(pre-experimental design)인 정태적 집단비교설계(static group comparison)를 하였다. 9세 이상 24세 이하의 건강장애청소년 중에서 캔틴스쿨 참여학생과 비참여학생을 대상으로 2018년 6월부터 9월까지 레질리언스와 관련된 설문조사를 각각 실시하였다. 캔틴스쿨 참여학생과 비참여학생의 레질리언스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두 독립표본 t검정(two-independent samples t-test)을 실시하였으며, 양적자료분석의 결과, 캔틴스쿨 참여학생집단(N=32)의 레질리언스 평균점수는 97.69점으로 나타났고 캔틴스쿨 비참여학생집단(N=34)의 레질리언스 평균점수는 90.50점으로 나타났다.
    질적연구에 있어서는 비확률표집방법 가운데 의도적 표집(purposive sampling)에 의해 연구참여자를 선정하였으며, 2018년 6월부터 9월까지 보호자 10명과 건강장애청소년(캔틴스쿨 학생) 10명을 인터뷰하였다. Miles와 Huberman의 질적자료분석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 ‘개입 이전 경험’,‘과정평가’,‘성과평가’와 관련된 범주들이 도출되었다. 특히‘성과평가’에 있어서‘심신건강 및 생활기능 향상’,‘소외와 고립의 최소화’,‘사회성 역량 함양’,‘재활 및 자립능력 배양’,‘미래 발전 가능성 증진’,‘학생 및 보호자의 회복과 성장 동반 체험’,‘인생에 거대한 전환점이 된 성장 징검다리’가 나타나서 캔틴스쿨 운영을 통한 다차원적인 효과를 보여주었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혼합연구방법론을 통하여 건강장애청소년을 위한 캔틴스쿨 운영의 효과성을 확증하였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present study was to assess the operational effect of Canteen School for health impaired adolescents outside of school. The present study used mixed methodology, wherein the static group comparison was carried out for the pre-experimental design of quantitative study. The subjects, participated in the present study, comprised health impaired adolescents over 9 years old and below 24 years old, who were distinguished into groups participated and did not participated in Canteen School, for which the surveys, associated with resilience, were carried out respectively from June to September 2018. The two-independent samples t-test was carried out to compare the difference in two-independent samples of students participated and did not participated in Canteen School; and the results obtained from quantitative analysis showed average resilience score of 97.69 points of the group participated in Canteen School, whereas it was 90.50 points for the group of students who did not participated in the Canteen School.
    For the qualitative approach, the purposive sampling among non-stochastic sampling methods was selected for participants by which the interviews with 10 health impaired students in Canteen School and 10 parents (guardians) were carried out. The experiences from 20 participants were analyzed using Qualitative Data Analysis of Miles and Huberman. The results obtained from qualitative data analysis rendered categories associated with ‘experience before intervention’, ‘evaluation of educational courses’, and ‘assessment on performance’ etc. In particular, the category of an ‘assessment of performance’ revealed multilateral effects of the operation of Canteen School in terms of the ‘enhancement of psychosomatic health and living function’, ‘minimization of alienation and isolation’, ‘fostering of competence of sociality’, ‘cultivation of capability of rehabilitation and independence’, ‘promotion of (possibility of) future development’, ‘concomitant experience of restoration and growth of both students and parents’, and ‘appearance of stepping stone for growth that became great turning point of life’ etc. Thus, the operational efficacies of Canteen School for health impaired adolescents were demonstrated in the present study through the approach of mixed methodolog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청소년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3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