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7~18세기 도성 밖 治安策의 확립과 漢城府民의 역할 (The Establishment of the Public Security Department outside the Castle and the Role of Residents in Hanseongbu during the 17th to 18th Centuries)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6 최종저작일 2009.10
39P 미리보기
17~18세기 도성 밖 治安策의 확립과 漢城府民의 역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역사편찬원
    · 수록지 정보 : 서울과 역사 / 74호 / 5 ~ 43페이지
    · 저자명 : 유승희

    초록

    본 논문은 조선 후기 도성 밖 도시화에 따라 종래 도성 안에 치우쳤던 정부의 치안정책이 점차 도성 밖까지 확대하여 군, 경, 민의 치안체제가 확립되었음을 살펴본 것이다. 조선 후기 도성 밖 도시화의 확대는 치안적 측면에서 볼 때 조선 전기 성곽에 의한 도시방어의 개념을 뛰어넘는 것이었다. 성곽에 의한 도시치안은 그 보호테두리에 들어가지 못한 도성 밖 거주민에게는 유용성이 축소되었다. 따라서 도성 밖의 치안은 도성 안보다 열악할 수밖에 없었다. 더욱이 사회가 발전하고 복잡해질수록 치안 상황은 더욱 어려워졌기 때문에 17세기 조선 정부는 기존의 포도청만으로 한성부의 치안을 양질로 전환할 수 없었다. 변화된 사회, 경제적 환경에 부응하는 탄력적 치안 체제와 대책을 갖추어야만 했다.
    17~18세기 도성 밖 치안에서 두드러진 점은 첫째, 한성부 도시 범위의 확대에 따라 정부가 도성 밖 치안체계를 정비하려고 했지만, 여전히 도성 안에 치중되었다는 것이다. 도성 밖이 도성 안 구역보다 훨씬 광대한 지역임에도 불구하고 도성 밖 치안력은 한성부 전체의 37%에 지나지 않았다. 둘째, 17세기에 이르러 도성 밖 지역이 급속히 도시화되어 한성부의 행정범위가 확대되자, 경강은 성 밖의 또 다른 물리적 치안 기구로서의 역할을 하였다. 그리하여 한성부는 도성과 경강이라는 이중의 보호테두리를 통해 치안을 강화하였다. 셋째, 정부는 도성 밖 치안에 좌경과 오가작통제를 이용해 한성부민간 협력치안을 강조하였다. 정부는 치안서비스의 수혜자 역할을 담당한 한성부민들의 치안행정 참여를 유도하여, 부민간 협력치안을 강조하였다. 좌경과 오가작통을 통해 치안활동에 한성부민의 역할을 더욱 강화시켜 이들의 적극적 참여를 유도하였다.
    이처럼 17~18세기에 이르러 정부는 도성 밖 치안체제의 확립을 위해 한성부민간, 군경의 협력치안을 강조하고 순찰력을 강화하여 범죄예방효과와 주민의 치안안전감을 확보할 수 있는 대책을 마련하였다. 그러나 17~18세기 국가의 한성부 관리는 지역적 차별이 없는 균질한 관리체계를 가지지는 못하였다. 도성 밖이 국가에 의해 관리되고 있었지만, 17~18세기에도 여전히 한성부의 치안은 도성 안에 집중되는 한계를 보였다.

    영어초록

    This paper looked into the fact that the public security policy of the government, which had been overly focused within the existing castle town, gradually extended in its scope beginning in the 17th century along with the changes in the urban structure of Hanseongbu during the later Joseon period, and the public security system was established eventually outside of the castle town at the military, the police, and the private levels. The extension of urbanization outside of the castle town during the later Joseon period exceeded the concept of the defense of a walled city during the early Joseon period in light of public security. The urban defense by a citadel was reduced in utility for residents outside of the castle town because they failed to enter the border of its protection.
    Therefore, public security outside the castle town could not help becoming poorer than that inside the castle town. All the more, as the society advanced and became complicated, the public security situation became even more difficult. Accordingly, the 17th century Joseon government was unable to convert the quality of public security of Hanseongbu to be of quality only with the existing police bureau. The government had to be prepared with a flexible public security system and measures in response to changed social, economic environments.
    The notable thing in public security outside the castle town during the 17th to 18th centuries is that first, although the government attempted to restructure the public security system outside the castle town along with the extension of the scope of Hanseongbu City, it was still overly weighted inside the castle town. Despite the fact that the area outside the castle town was far broader than that inside it, public security power outside the castle town was merely 37% of the total public security power of Hanseongbu. Second, beginning in the 17th century, the region outside the castle town quickly urbanized and the administrative scope of Hanseongbu was expanded. Then, Gyeonggang(京江) served as another physical public security institute outside the castle. In this way, Hanseongbu reinforced public security through the dual protective borders, namely, the castle town and Gyeonggang.
    Third, the government emphasized cooperative public security between residents in Hanseongbu by using Jwagyeong(坐更:an alternative night watch by a resident from one house out of five houses) and the Ogajaktong system(五家作統: a system that grouped five houses as one for administration) for public security outside the castle town. The government stressed cooperative public security by attracting the participation of residents in Hanseongbu who played the role of the beneficiary of the public security service in the public security administration. The government attracted their active participation by even further strengthening the role of residents in Hanseongbu in terms of public security activities through Jwagyeong and Ogajaktong.
    Likewise, only beginning in the 17th to 18th centuries, did the government accentuate cooperative public security between residents in Hanseongbu and the military and the police in order to establish a public security system outside the castle town, and prepared ways to ensure the sense of safety for public security for residents as well as the effect of crime prevention by fortifying patrolling power. However, the management of Hanseongbu by the country during the 17th to 18th centuries failed to develop an impartial management system that left no local discrimination. Albeit regions outside the castle town had been managed by the country, the public security of Hanseongbu still appeared limited because it was only concentrated on the region inside the castle town even in the 17th to 18th centur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