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학교 밖 북한이탈청소년의 정책적 욕구와 적응 지원방안 (Political Needs of North Korean Adolescent Defectors and Adaptation Support Plans Oriented to them)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6 최종저작일 2017.05
39P 미리보기
학교 밖 북한이탈청소년의 정책적 욕구와 적응 지원방안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연세대학교 통일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통일연구 / 21권 / 1호 / 179 ~ 217페이지
    · 저자명 : 최순미, 강동완

    초록

    본 연구는 학교 밖 북한이탈청소년들의 실태와 이들의 정책적욕구를 분석하고, 그에 따른 지원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는학교 밖 북한이탈청소년들이 겪고 있는 상황을 제대로 알고 그필요(needs)에 따른 지원이 이루어졌을 때, 이들이 갖고 있는 심신의 문제를 회복하고 올바른 민주시민으로 잘 성장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남북한 사회통합에 보탬이 될 것이라는 문제의식에서출발하였다.
    조사방법은 학교 밖 북한이탈청소년 153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활용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통계처리는 SPSS WIN 21.0v 프로그램을 통해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과 기술통계(Descriptive Analysis), 독립표본 t-test와 일원배치분산분석, 교차분석의 카이검정 등을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첫째, 학교 밖 북한이탈청소년 응답자들이 현재 다니고 있는 교육기관의 형태는 인가된 대안학교가 가장 많았고, 한겨레중고등학교, 미인가 대안교육시설 순으로 구성되었다. 둘째, 학교 밖 북한이탈청소년이 겪고 있는 현재 생활의 어려움은 경제적 어려움이며, 그 다음으로는 새로운 환경에 대한 적응의 어려움, 정신적 어려움, 상담자 부재, 자살 생각, 주위 시선이나 차별, 숙식해결의 어려움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교 밖 북한이탈청소년의 정책적 욕구 조사 결과, 학습 또는 진로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멘토가 90.8%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진로 탐색을 위한 체험(89.4%) > 입시 및 진학정보 제공(86.1%) > 봉사활동 기회 제공(84.1) > 직업교육 훈련(83.4%) 등 자신의 미래와 관련된 부분들이높은 순위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법제도적 개선방안으로 비보호 북한이탈청소년에 대한 학교 의무화 교육 추진, 북한이탈청소년 대상 특화 교육: 하나원 과정 위탁 교육, 북한이탈청소년에게 적합한 경제적 지원, 정부 부처별 역할 분담 및 북한이탈청소년 지원 거버넌스 구축등을 제안하고, 맞춤형 사업 프로그램으로 학습역량 강화 지원, 심리/정서적 안녕을 위한 상담과 치유 프로그램 도입, 북한이탈청소년과 함께 하는 해외 봉사단, 북한이탈청소년 대상 통일문화 특화 체험캠프 등을 제안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ed to analyze current condition of out-of-school adolescent defectors of North Korea and their political needs, and propose the corresponding support plans. This study started from the critical mind of which the out-of-school adolescent defectors of North Korea can recover psychosomatic problems, grow as correct democratic citizens and furthermore, contribute to the South-North social integration, when we correctly understand their current situations and the support is given in accordance with their needs.
    This study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based on structured questionnaires oriented to 153 out-of-school adolescent defectors of North Korea. The statistical processing counted on SPSS WIN 21.0v Program to carry out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analysis, independent samples t-est and chi-square test of cross-tabulation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firstly, as for the form of educational institutions where the out-of-school adolescent defectors of North Korea, the highest case turned out to be authorized alternative schools, followed by Hangyeore Middle and High School and unauthorized alternative educational institutions. Secondly, the current difficulties of life experienced by the out-of-school adolescent defectors of North Korea turned out to be economical problems, succeeded by the problems in the order of difficulty in adapting to a new environment, mental difficulty, absence of counselors, suicidal impulses, the surrounding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and difficulty of food and lodging. Thirdly, according to the research on political needs of the out-of-school adolescent defectors of North Korea, the results show that the highest need was with mentors who can guide learning and career orientation, recording 90.8%, followed by experience for career search (89.4%), provision of information regarding entrance to college and career orientation (86.1%), provision of volunteer work (84.1%) and vocational education training (83.4%).
    Consequently, in terms of legal and institutional improvement plans for adolescent defectors of North Korea, this study proposes school compulsory education promotion for unprotected adolescent defectors of North Korea, specialized education oriented to these adolescents, economical support appropriate to them, role sharing among government ministries and support governance establishment for them. In terms of customized project programs, this study proposes supports of learning competency enhancement, introduction of counseling and therapy programs for psychological and emotional well-being, overseas volunteer work team accompanied by North Korean adolescent defectors and experience camp specialized in reunification culture oriented to these adolescen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