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기우승(奇宇承)의 「외필문목(猥筆問目)」 비판 - 「박외필문목변(駁猥筆問目辨)」을 중심으로 (Ki Wooseung(奇宇承)’s Criticism of Eopilmoonmok(猥筆問目): Focusing on the Counterargument of Eopilmoonmok(駁猥筆問目辨))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6 최종저작일 2022.03
36P 미리보기
기우승(奇宇承)의 「외필문목(猥筆問目)」 비판 - 「박외필문목변(駁猥筆問目辨)」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율곡학회
    · 수록지 정보 : 율곡학연구 / 47권 / 157 ~ 192페이지
    · 저자명 : 이향준

    초록

    이 글은 1901년 하반기에서 1902년 사이에 나타난 몇 가지 텍스트를 중심으로 외필논쟁의 초기 양상 가운데 하나를 다룬다. 이 양상은 원래 기정진의 「외필」 -저자를 알 수 없는 영남 노론계의 저술인 「외필문목」-기우승의 「박외필문목변」으로 이어졌다. 그러나 현재 외필문목」의 현존 여부를 확인할 수 없기에 「외필문목」에 영향을 받아 저술된 것으로 추정되는 한유와 하우식의 「독기노사외필」 두 편을 경유해서 논의를 전개할 것이다. 따라서 이 글은 기우승의 「외필문목」 비판에 논의의 초점을 맞추고 다음 순서에 따라 논의를 전개한다. 첫째 「박외필문목변」의 저자로서 기우승의 생애와 사승을 개괄하면서 「외필문목」의 존재가 어떻게 확인되는지를 약술할 것이다. 둘째 「독기노사외필」 1·2의 서술 구조와 「외필」을 비판하는 내용의 특징을 살펴볼 것이다. 셋째 「박외필문목변」에서 인용된 「문목」의 구절들을 「독외필」 2와 대조함으로써 「외필문목」의 논지를 재구성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상의 논의를 배경삼아 「외필문목」의 재비판으로서 「박외필문목변」의 견해를 살펴볼 것이다. 이를 통해 두 가지 성과가 도출될 것으로 기대된다. 먼저 외필논쟁 과정에서 기우승의 존재와 그의 학술적 기여를 확인시키고, 그 다음으로 지금껏 알려지지 않았던 외필논쟁의 초창기 양상을 좀 더 섬세하게 파악하게 될 것이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deals with one of the early aspects of the Eopil-Debate(猥筆論爭), focusing on several texts that appeared between the second half of 1901 and 1902. This originally led to Ki Jeongjin’s Eopil(猥筆), the author of Yeongnam Noron, whose author is unknown, Eopilmoonmok(猥筆問目), and Ki Wooseung’s The Counterargument of Eopilmoonmok(駁猥筆問目辨). However, it is currently impossible to confirm the existence of the Eopilmoonmok. For this reason, the discussion will be conducted through two texts, Han Yu and Ha Wooshik, which are believed to have been written under the influence of this document. The two texts have the same title as Reading Eopil by Ki Nosa(讀奇蘆沙猥筆). Therefore, this article focuses on Ki Wooseung’s criticism of Eopilmoonmok and develops the discussion in the following order. First, I will outline the life and teacher-in-law of Ki Wooseung and outline how the existence of Eopilmoonmok is confirmed. Second, we will look at the narrative structure of Reading Eopil by Ki Nosa 1·2 and the characteristics of criticizing Eopil. Third, we will compare and review The Counterargument of Eopilmoonmok and Reading Eopil by Ki Nosa 2 to reconstruct the thesis of Eopilmoonmok. Finally, we will look at Ki Wooseung’s criticism of Eopilmoonmok. First of all, it will specifically show the existence of Ki Wooseung and his academic role in the process of the Eopil-Debate. Second, we will understand the early aspects of the Eopil-Debate more delicately. Furthermore, the fact that this debate began in the first year of the 20th century has intellectual historical implications. This is because, in terms of timing, this debate should be called an aspect of the Korean Neo-Confucianism in the 20th century. As a result, this article reminds us of the need for questions and explanations about the possibility and significance of the field of Korean Neo-Confucianism in the 20th century, including Eopil-Debat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율곡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