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제강점기 강릉읍지 『增修 臨瀛誌』의 편찬 과정과 그 의미 - 詩湖 朴元東의 기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Jeungsu Limyoungji’s Compilation Process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 According to Park Wondong's Reco –)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6 최종저작일 2021.12
26P 미리보기
일제강점기 강릉읍지 『增修 臨瀛誌』의 편찬 과정과 그 의미 - 詩湖 朴元東의 기록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한문고전학회
    · 수록지 정보 : 漢文古典硏究 / 43권 / 1호 / 299 ~ 324페이지
    · 저자명 : 안세현

    초록

    본고는 일제강점기 강릉읍지 增修 臨瀛誌의 편찬 과정을 상세히 재구하고 그 의미를 탐색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임영지는 강릉의 역사와 문화가 집약되어 있는 읍지로 광해군 연간에 처음 편찬되었다. 이후 조선 후기에 2차례 續修가 이루어졌으며, 일제강점기인 1933년 강릉고적보존회에서 증수 임영지를 간행하였다. 읍지 중에서 임영지만큼 조선 시대에서 일제강점기에 걸쳐 여러 차례 증보가 이루어진 사례는 드물다.
    증수 임영지의 편찬 과정은 朴元東(1873~1949)의 詩湖文集과 詩湖居士日記에 상세히 기록되어 있다. 1926년에 강릉활판인쇄소의 발의로 강릉의 유림들이 참여하여 임영지 속수 작업이 진행되었다. 그러나 河南齋와 五峯書院 관련 記事를 두고 유림 사회에서 소론과 노론 사이의 갈등이 재현되면서 중단되었다. 그 후 1932년에 군청의 주도로 임영지 속수가 다시 추진되었으며, 유림 사회의 갈등은 편찬 위원이 조정안을 마련하고 군수가 주재하는 임원 회의를 통해 해결하였다. 증수 임영지는 지역 유림의 갈등으로 인해 편찬이 중단되는 사태를 겪었지만, 강릉의 역사와 문화를 증보해야 한다는 지역 사회의 의지, 편찬 위원을 비롯한 임원들의 지속적인 협의와 조정, 군수의 주도와 지원 등에 힘입어 마침내 간행될 수 있었다. 증수 임영지의 편찬 과정은 오늘날 지역학을 연구하는 데에 시사해주는 바가 적지 않다.

    영어초록

    In this paper, I explored in Jeungsu Limyoungji’s compilation process and its meaning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LimYoung-ji is a book that combines the history and culture of Gangneung. This book was first compiled during the reign of Gwanghae-gun, and was enlarged twice in the late Joseon Dynasty. In addition, the Gangneung Historic Preservation Society published the Jeungsu Imyeongji in 1933.
    The compilation process of Jeungsu Limyoungji is recorded in detail in Sihomunjip and Sihoilgi of Park Won-dong (1873~1949). In 1926, the Gangneung Printing Office was proposed and Gangneung's Confucian scholars participated in the project to enlarge Limyoungji. However, the project was suspended due to conflict between Confucian scholars over records of Hanamjae and Obongseowon. After that, in 1932, the project was promoted again led by the county office, and in 1933, Jeungsu Limyeongji was published. This book could be published thanks to the will of the local community to enlarge Gangneung's history, continuous consultations between composers and Confucian scholars, and the leadership and support of the county office. The compilation process of Jeungsu Limyeongji has many implications for local studies toda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漢文古典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2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