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심향(心鄕) 박원선(朴元善)의 생애와 법사상 - 전통적 商事(商人)制度의 현대적 조명을 중심으로 - (Sim-Hyang(心鄕), PARK, Won-Seon, His Life and Legal Thoughts - Focusing on the Contemporary View on the Korean Traditional Commercial Institutions -)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6 최종저작일 2014.09
29P 미리보기
심향(心鄕) 박원선(朴元善)의 생애와 법사상 - 전통적 商事(商人)制度의 현대적 조명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단국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법학논총 / 38권 / 3호 / 689 ~ 717페이지
    · 저자명 : 김범준

    초록

    심향(心鄕) 박원선(朴元善)은 1907년 평양에서 태어나 어려서부터 독실한 기독교인의 가정에서 성장하였고, 1986년생을 마치는 순간까지 성직자와 같은 정갈하고 청렴한 모범적인 학자의 표상이었다. 1910년 한일병합은 국가적ㆍ민족적으로도 큰 시련이었지만, 박원선에게는 부친을 여의고, 조선총독부가 시행한 토지조사사업으로 인하여 유산으로 받았던 토지를 거의 잃게되면서 가세(家勢)가 빈궁해질 수밖에 없었던 시련의 해였다. 이러한 시련은 향후 박원선이 자신의 인생관과 학술연구활동의 방향을 정립하는데 큰 영향을 미쳤다. 그가 일생의 업으로 삼게 된 한국 고유의 상사제도에 관한 상법사(商法史)적 연구의 체계화 및 집대성도 일본의 문화말살정책에 항거하여 우리 상사문화의 뿌리를 발견하고, 이를 보완하여 국내외에 알림으로써 우리의 고유문화를 보호함은 물론, 세계 상사문화에 기여하기로 결심하게 된것도 이러한 사상적ㆍ이념적 배경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박원선은 이 같은 개인적인 학문적 숙원을 위한 정진에 더하여 우리 현행 상법에 대한 연구와 그 발전에도 크게 기여하였다. 그는 생전에 13권의 상법학 관련 저서를 출간하였으며, 그가 집필한 관련 논문은 200여 편에 달하고 있다. 또한, 1961년에 상법전(商法典) 제정을 위한 심의위원으로 활동하였고, 1966년부터는 대한민국 학술원의 종신회원이 되었으며, 1982년부터 생을 마감할 때까지도 국립중앙도서관에서 연구에 매진하는 강건한 모습을 보여주었다. 실로 박원선은 한국 상법(학)의 토대를 마련하였을 뿐만 아니라 한국의 전통적 상법사(商法史)의 연구라는 전인미답의 불모지를 개척한 선구적학자로서 깊이 기억될 인물임에 틀림이 없을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그의 생애와 더불어 학문세계, 특히 전통적 상사(商事)제도와 상인(商人)개념의 현대적 조명이라는 박원선의 학문적 업적과 법사상(法思想)을 검토해 보는 일은 현행 성문법령의 해석과 개선에 국한되어 있는 작금의 학풍을 고려해 보건대 매우 의미 있는 작업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intends to review the life of Sim-Hyang(心鄕), PARK, Won-Seon and ultimately derives the philosophy of law shown in his study and research. For that, by reviewing his background from the childhood to undergraduate days under Japanese occupation, it is deduced that he strived to concentrate on realizing the nationalism based on the Christian sacrifice through commercial law. Further, by researching his works after his entering academia, it is confirmed that being full of academic mission motivated by the nationalism, he found the root of the Korean traditional commercial culture, enhanced it intra and internationally, and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the commercial cultureas well as studied the analytics on the existing commercial law as a scholar and an educator. Lastly, among the works of his life, “Study on the Korean traditional commercial institutions and the history of Korean commercial law, ”the representative main contents related to peddler, commission agency and broker are considered overall and, within the possible scope, by comparing thei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with the current commercial law and each other, his great achievements are briefly verified. As such, it is presumed that the review on the academic achievements and legal thoughts of PARK, Won-Seon, one of Korean first generation legal scholars may be full of suggestions for the development of the commercial culture and the subsequent studying the current commercial law as well as the legal history. Although spiritually and philosophically based on the devout Christian background and the convinced national ethos, he chose not the religion or philosophy but the law, especially the commercial law, as his major and showed the modesty and puritanical hardworking and robustness, growing as agreat scholar. These are sufficient to be representation of the unprecedented exemplary scholar in the Korean legal history and such spirit shall remain asgreat lessons for all junior jurists and legal scholars. As he pointed out, in the Korean traditional commercial cultures that our ancestors left for us, there still remain lots of undiscovered precious heritages. Of course, although essentially the commercial law has flexible, progressive, global and unifying features, by inheriting the will and unparalleled achievements of PARK, Won-Seon and discovering, complementing, and developing them, contributing to the development of the new commercial culture may be our mission as descendan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법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0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