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운동 후 심박회복에 따른 자율신경계의 경시적 조절: 팔과 다리의 국소적인 비교 (Autonomic Nerve Regulation After Arm- or Leg Ergometer Exercising Eliciting the same heart rate level)

1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6 최종저작일 2015.06
11P 미리보기
운동 후 심박회복에 따른 자율신경계의 경시적 조절: 팔과 다리의 국소적인 비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과학원
    · 수록지 정보 : 체육과학연구 / 26권 / 2호 / 219 ~ 229페이지
    · 저자명 : 김맹규, 김춘섭

    초록

    본 연구는 상·하지의 국소적 신체부위를 이용한 일회성 유산소 운동의 post-exercise recovery(REC)에서 나타나는 심박변이도(heart rate variability, HRV)의 차이를 살펴봄으로써 자율신경 향상을 위한 효율적 운동모드를 탐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건강한 젊은 남성 11명을 대상으로 무작위교차설계를 통해 동일한 강도의 여유심박수(50% heart rate reserve) 하에서 30분 간 Arm ergometer(AE) 및 Leg cycling(LE)의 평형상태운동(steady state exercise) 후 REC1(0~10 min), REC2(10~20 min), REC3(20~30 min)의 세 구간에서 R-R intervals를 획득하여 시간 및 주파수와 비선형지수(Poincaré plot)를 산출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HRV의 시간영역지수를 이용해 운동모드 간의 차이를 평가한 결과 post-exercise recovery에서 AE 수행 후에 비해 LE 수행 후 ANS 조절능(SDNN) 및 PNS 재활성화(rMSSD)가 높게 나타났다. Poincare plot을 이용해 운동모드 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post-exercise recovery에서 AE 수행 후에 비해 LE 수행 후 ANS 조절능(SD2) 및 PNS 재활성화(SD1)를 반영하는 HRV parameters의 회복률이 높게 나타났다. Spectral power 분석에서 부교감신경 재활성화를 독립적으로 반영하는 HF가 초기 post-exercise recovery(REC1)에서 AE 수행 후에 비해 LE 수행 후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교감-미주신경 밸런스(sympathetic-vagal balance)의 교감신경 활성화를 반영하는 지수인 LF/HF ratio 와 LF nu는 AE 수행 후 유의하게 높은 수치를 나타낸 반면 부교감신경 활성화를 반영하는 지수인 HF/TP ratio와 HF nu는 LE 수행 후 유의하게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는 심박수를 일치시킨 다리의 국소적 운동이 팔의 국소적 운동에 비해 운동 후 부교감신경 재활성화가 신속하게 나타난다는 것을 암시한다. 따라서 상지에 비해 하지를 이용한 유산소 운동은 운동 후 부교감 재활성화 및 교감 활동의 빠른 억제를 통해 자율신경계의 조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운동 후 자율신경회복이 심장사고(events)와 관련한다는 점에서 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인 운동법이라 판단된다.

    영어초록

    Although delayed heart rate recovery (HRR) and impaired autonomic nerve system (ANS) modulation after acute exercise are related with cause of cardiovascular disease (CVD) and mortality, studies evaluating ANS changes with local exercise are still unsatisfied. Thus, this study aimed at investigating the modulation of ANS-related parameters, followed by upper or lower body exercise. Eleven male without cardiovascular and orthopedic diseases measured basic body composition, resting blood pressure (BP), and heart rate variability (HRV). This study based on randomized cross-over design; AE composed with arm-ergometer, and LE involved with leg cycling. Participants had at least one week wash-out between each exercise, also there was no cool-down after exercise. All sessions were performed with intensity of 50 % target heart rate for 30 min. With measurement of Rating of perceived exertion (RPE) during every 10 min, HRV was measured Kubios HRV software using R-R intervals collected with Polar RS800CX in post-exercise recovery (for 30 min). As a result, heart rate (HR) and RPE were same (p > 0.05) through the experiment. As results of this study, SDNN and rMSSD in time domain on LE were higher than on AE during post-exercise recovery. When LE compared with AE used by Poincare plot, both parasympathetic reactivation (SD1) and autonomic nerve regulation (SD 2) on LE were higher than AE. Immediately after submaximal exercise, the high-frequency component on LE was significantly greater compared to AE. Also, the LF/HF ratio and LF nu reflecting sympathetic activity were higher on AE than LE. In contrast, the HF/TP ratio and HF nu reflecting vagal tone were greater on LE than AE.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ed regional lower body exercise recovers more sufficient than regional upper body exercise after submaximal aerobic exercise at same HR. Local exercise like leg cycling needs a careful approach to apply for accurate exercise prescription and effective train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체육과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3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