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디지털 영상의 색채 원형성에 대한 분석 사례 연구 - 애니메이션 「원령공주」와 영화「박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nalytical Case of the Color Archetype of Digital Image -Focused on animation「The Princess Mononoke」and movie「Bat」-)

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6 최종저작일 2009.11
9P 미리보기
디지털 영상의 색채 원형성에 대한 분석 사례 연구 - 애니메이션 「원령공주」와 영화「박쥐」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색채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색채학회논문집 / 23권 / 4호 / 23 ~ 31페이지
    · 저자명 : 이순희, 신석영, 종영

    초록

    본 연구는 디지털 영상물에 대한 색채의 원형성에 관한 연구이다. 현대인들이 접하는 대량의 디지털 영상은 시각적 에너지를 가진다. 이 시각적 에너지는 하나의 원형성을 형성하고 있는데, 이러한 원형성에 나타난 시각적 코드 중 색채의 역할과 그 효과는 디지털 영상물의 유기적 관계에 있어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연구 방법에 대한 원형이론은 C. G. 융의 대표적 네 가지 원형개념인 ‘페르소나, 자기, 아니마와 아니무스, 그림자’ 등으로 제시한다. C. G. 융의 원형이론은 각각 디지털 영상에서 색채에 대한 시각적 코드인 원형성으로 적용시켜 연구·분석할 수 있다. 그리고 색채의 원형성은 공시적 가치로서의 색의 항상성과 상징성과도 연관이 있으며 심리기제에 따른 색채의 분석과 여러 장르의 작품 분석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영상인 애니메이션 작품 <원령공주>와 영화 <박쥐>를 중심으로 그 사례를 분석하여 색채 원형성에 대해 보다 구체적 접근을 시도한다. 이는 현대인들을 중심으로 나타난 여러 가지 시각화된 정보 중에서도 특히 디지털 영상물에서 가장 일관된 색의 적용성과 인간의 심리기제의 특성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기 때문이다. 그러나 색채 원형성은 현대의 디지털 영상이라는 국소적(局所的) 제한에서 벗어나 여러 장르와 역사적 자료에서도 일정한 패턴과 패러다임으로 나타나며, 그 이론적 적용이 가능하다. 이는 대부분의 인간이 가질 수 있는 원형적 심리기제에 대한 분석이라는 공통분모가 성립되기 때문이며, 색을 통해 일정하게 패턴화 된 정보를 분석하려는 심리적 본능에 밀접하기 때문이다.
    디지털 영상을 통한 색채의 원형성 연구는 인간이 색채에 대한 감성정보를 어떠한 심리기제로 파악하며 수용하고 있는가에 대한 선행연구라 할 수 있으며 디지털 영상의 색채 사용을 더욱 효과적으로 계획할 수 있는 하나의 부분적 틀을 마련할 것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about the color archetype of digital image. The mass digital image that modern people come across has a visual energy. This visual energy formulates an archetype. Out of the visual code revealed through such archetype, the role and effect of color can be said to have a very important significance in the organic relationship of digital image.
    The archetype theory as a research method includes the 4 representative archetype concepts by C. G. Jung like persona, magnetism, anima and animus and shadow. The archetype theory by C. G. Jung can be analyzed and researched by applying it respectively to the archetype as a visual code on the color of digital image. The archetype of color is also related to the homeostasis and symbolism of color as synchronic value, and can be used for analyzing colors according to psychological mechanism and analyzing works in various genre.
    This study tries to gain access more concretely to color archetype, focusing on digital image animation 「The Princess Mononoke」and movie 「Bat」and analyzing the cases. It is because especially digital image, out of various visualized information appearing around moderns, shows the most consistent application of color and the characteristics of human psychological mechanism remarkably. The color archetype, however, is not limited to modern digital image, but shows up in a fixed pattern and paradigm through various genres and historical resources, and its theoretical application is possible. It is because the common denominator, the analysis on archetypical psychological mechanism available for most people, is establishable and it is closely related to the psychological instinct to analyze a fixed and patternized information through color.
    The research on the color archetype of digital image may be a preceding research on how a human being is grasping the emotional information of color in what mechanism and accepting it. It will prepare a partial frame on which the color use of digital image can be planned more efficientl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색채학회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