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7세기 조선을 바라보는 박세당의 역사인식-인조반정과 일련의 사건을 중심으로- (The Historical Consciousness in Park Se-dang of Looking at Joseon in the 17th Century - Focusing on Injo Banjeong(仁祖反正:Injo-Coup) and the Sequence of Events)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6 최종저작일 2014.08
28P 미리보기
17세기 조선을 바라보는 박세당의 역사인식-인조반정과 일련의 사건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동방학 / 31호 / 175 ~ 202페이지
    · 저자명 : 주영아

    초록

    본고는 17세기 인조조의 역사는 물론이거니와 조선 전반에 걸쳐 완전하게 정립되지 못했던 역사에 대한 고찰을 심화하여 박세당의 역사인식을 살폈다. 조선은 전대의 역사인 삼국과 고려에 비해 표면적으로는 비교적 짧은 시간에 왕권이 안정되고 문화의 융성이 이루어졌다. 특히 왕권의 강화와 유지를 위해 초기에는 명나라의 힘을 빌리기도 하였고, 중반을 넘어서면서 정치적으로 붕당의 세력을 강화 또는 약화시키기도 하면서 역사가 이루어졌다. 단종, 세조, 선조, 광해군, 인조에 이르는 시기에는 왕권의 정통성 문제에 대한 갈등으로 조선의 왕권과 정치력이 파국을 치닫게 되었다. 쿠데타와 반정으로 옹립된 불완전한 왕위계승은 왕권의 정통성 문제와 직결되었고, 왕권의 약화에 직접적인 계기이기도 하다.
    본고에서 이번 연구의 중심에 인조 집권기 일련의 사건 두고 있는 것도 이러한 문제가 극명하게 나타나는 시기가 인조조이기 때문이다. 혼란의 시기에 발생하게 되는 국내외의 문제는 역사를 바라보는 관점에 따라 상반된 경향으로 나타난다. 혼란이 극에 달했던 인조 집권기를 중심으로 국내외 정황을 파악하고 그에 관련하여 명분보다는 실리를, 과거보다는 현재를 중심에 두고자 했던 박세당의 역사인식을 살폈고, 아울러 17세기 지식인이 갖는 조선조 역사에 대해 정통성 찾기의 실체를 구명하였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d Park Se-dang's historical consciousness by deepening a consideration on history, which had failed to be perfectly established over the whole of Joseon as well as history in Injo Dynasty of the 17th century. Joseon was formed the stability in royal authority and the prosperity in culture superficially in the relatively short time compared to the Three States and Goryeo, which are the history of previous generation. Especially to reinforce and maintain royal authority, it ever borrowed power of Ming Dynasty in early days. The history was formed while strengthening or weakening a clique politically with getting over the middle phase. The royal authority and the political power in Joseon came to head for a ruin owing to a conflict on legitimacy of royal authority in the times of reaching king Danjong, king Sejo, king Seonjo, Gwanghaegun(Prince Gwanghae), and king Injo. The incomplete royal succession, which was enthroned by coup and anti-politics(反正), led directly to a problem about legitimacy of royal authority and is also a direct opportunity of being weakened sovereign power.
    Even what this study has its focus on the sequence of events during the period of seizing power in king Injo is because the period of being clearly this problem is the Injo Dynasty. Issues at home and abroad, which come to take place in the period of confusion, are shown to be contrary tendency depending on perspective of looking at history. It grasped the circumstances at home and abroad focusing on the period of seizing power in king Injo when confusion had reached its climax, figured out the historical consciousness of Park Se-dang, who aimed to focus on profit rather than justification and on the present rather than the past with regard to it, and also closely examined the truth of seeking the legitimacy on history of Joseon Dynasty that intellects have in the 17th centu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방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3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