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임진왜란기 경주慶州의 동향動向과경주부윤 박의장朴毅長의 전시행정戰時行政 (The Trend of Gyeongju and Park Ui Jang’ Administration during Imjin War)

4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6 최종저작일 2018.07
44P 미리보기
임진왜란기 경주慶州의 동향動向과경주부윤 박의장朴毅長의 전시행정戰時行政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국학진흥원
    · 수록지 정보 : 국학연구 / 36호 / 41 ~ 84페이지
    · 저자명 : 장준호

    초록

    박의장朴毅長은 임진왜란을 맞아 일본 제2군 선봉장 가토 기요마사[加籐淸 正]에게 경주성을 빼앗겼으나, 자신의 임지인 경주부를 이탈하지 않았다.
    그는 경주부 죽장현으로 들어가 흩어진 관·민인들을 불러 모아 경주부 수복을 위한 진열을 재정비했다. 패전 후, 그의 행적은 경상좌도 다른 관군 장수들의 태도와는 다른 것이라 생각한다. 필자가 박의장의 임란기 활동과 행적을주목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그가 패전 후에 경주부를 이탈하지 않았던 것은 그의 사명감에서 비롯되었다고 생각한다. 즉 그는 ‘지방을 맡은 사람은 그 땅을 위해 죽어야 한다’는사명감을 갖고 있었고, 이것은 그가 군 지휘관指揮官과 목민관牧民官으로서 경주부를 위해 진력할 수 있었던 원동력이었다. 1592년 9월 7일 박의장은경주성을 일본군에게 빼앗긴 지 5개월 만에 수복하는 데 성공했다. 그러나경주성 수복의 전공은 그의 것으로 기억되지 않고 있다. 징비록懲毖錄 에는경상좌병사 박진朴晉의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이에 필자는 박의장의 문집인 관감록觀感錄 과 선조실록宣祖實錄 난중잡록亂中雜錄 기재사초寄齋史草 등의 기록들을 비교·분석하여 경주성 수복 전투의 전공 여부를 재검토하였다.
    그 결과 박의장은 제2차 경주성 수복 전투에서는 주도적으로 작전을 펼쳤으나, 그의 전공戰功은 인정되지 않았다. 전공을 둘러싼 논란은 명령과 실제참전여부를 파악한 후 평가해야할 필요가 있다.
    경주는 임진왜란이 종결될 때까지 일본군과 대치하였던 경상좌도의 최전선기지였다. 이러한 경주의 군사적 중요성으로 인해 명군이 주둔하였고, 조선조정도 전란 기간 내내 경주방어를 위한 군량 확보와 방어책을 고심하였다.
    정유재란기 경주는 조·명연합군에게 울산성의 가토 기요마사를 공격하기 위한 수비의 거점으로서 매우 중시되었다. 임진왜란기 경주의 군사적 동향을살펴봄으로써 경주부윤 박의장의 행적을 보다 객관적으로 이해하고자 했다.
    그의 임란기 행적 가운데 관군으로서 가장 차별화되는 것은 목민관으로서의 치적이다. 그는 전시상황에서 경주부윤으로서도 경주부민들의 생계와 안정을 위해 노력하였다. 그는 일본군과 지속적으로 전투를 전개하면서도 백성들에 대한 구휼의 노력을 아끼지 않았고, 부민들의 나이와 건강 상태를 고려하여 병농분리 정책을 실시하여 정병精兵을 양성하기 위한 노력도 병행했다.
    한편 그는 경주에 주둔한 명군明軍의 접대에도 최선을 다했다. 이러한 그의임진왜란기 활약과 전시행정戰時行政은 경주부의 전후戰後 복구사업에도 중요한 기반이 되었다.

    영어초록

    Park Ui Jang(朴毅長) fought the 2nd Japanese army under the command of Kato Kiyomasa(加籐淸正) and gave up Gyeongju because he was outnumbered, but he did not leave the Gyeongju vicinity and retreated to JukJang Prefecture(竹長 縣), where he reorganized his troops. This is why I focus on his activities and actions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He worked for Gyeongju with a sense of duty. He had a sense of duty that the governor must die for the province.
    I think that it was his sense of duty that he did not leave Gyeongju after his defeat. Eventually he succeeded in recovering Gyeongju castles, the place of his appointment.
    However, the victory of the Gyeongju battle was not remembered as his. In Jingbirok(懲毖錄), it is said that Park Chin(朴晉) won 2nd Gyeongju battle.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f various materials, I figured out who won. As a result, he was leading a battle in the second restoration of Gyeongju Castle, but his war service was not recognized.
    The reason for this is that in many materials, the command was placed on top of the deed. The evaluation of the deed needs to be revaluated by confirming actual command and the status of participation. Anyway The honors were not justly distributed.
    Even during the peace negotiation period, Park Ui Jang, through continuous warfare with the japanese army, won many battles. Gyeongju was a frontline military base in the Gyeongsangjwa-do, facing the Japanese military until the end of Imjin w ar. The most d ifferentiating from Ŭibyŏngjangs during t he w ar i s the efforts as Gyeongju p uyun(慶州府尹).
    During the war, he worked as Gyeongju puyun for the livelihood and stability of his peoples. He continued to fight with the Japanese army, and he did spare efforts to help the people. And He classified peasants and soldiers according to their health and age. He did his best to support US troops stationed in Gyeongju. These activities and administration during his warfare became an important foundation for postwar reconstruction projects in Gyeongju.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4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