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麗末鮮初 중국 북방문화의 유입과 剝地粉青沙器 편년연구 (On the Influx of North Chinese Culture in Late Goryeo and Early Joseon period and a chronological study of Buncheong Ware with Sgraffito)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6 최종저작일 2023.12
30P 미리보기
麗末鮮初 중국 북방문화의 유입과 剝地粉青沙器 편년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악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악미술사학 / 34호 / 323 ~ 352페이지
    · 저자명 : 나상철

    초록

    분청사기에 관해서는 선학들의 많은 연구가 있었다. 그러나, 박지분청은 면 상감기법으로부터고안 발전된 것이라는 견해와 조화기법과 박지기법이 중국 자주요와 연관성이 있을 것이라는 언급만이 있었다.
    박지기법을 중국 척화기법과 비교해 본 결과 박지기법은 기법상 내몽고와 요녕지역의 장식기법과 유사하였다. 그리고, 문양의 소재와 표현양식은 요대, 금대, 서하 자기와 유사하였다. 그러나, 200-300여 년이라는 사용 시간의 차이로 볼 때 박지분청은 요대, 금대, 서하 자기의 직접적 영향이 아닌 이들 자기문화의 영향이 남아있는 원대 자기와 그 연관성이 있음을 이야기하였다. 이러한, 박지분청과 중국 북방계 자기의 연관성은 여말선초 시기 중국 북방지역과의 무역과 귀화인의유입에 따른 사회적 변화와 새로운 문물의 유입에 의한 영향으로 보았다. 이외에도, 박지분청이 상감분청과 기종과 문양을 공유하고 있어 비슷한 시기에 제작되었음을 주장하였다.
    중국 元明 교체기 조선에는 많은 사회적 변화가 발생하였다. 그리고, 박지분청사기는 도자사적 관점에서 이들 사회변화를 엿볼 수 있는 중요한 자기이며 또 이러한 점에서 그 의미가 있다고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ere have been lots of studies on Buncheong Ware, but there weren’t many studies on Buncheong Ware with Sgraffito. Previous studies on Buncheong Ware with Sgraffito have just suggested that it was designed and advanced from Inlaid on Face, and both Incised and Sgraffito were linked with Cizhou-yao(磁州窯) of China.
    After comparing Sgraffito of China with that of Korea, Sgraffito, used in the 15th century of Joseon Dynasty, is similar to that in inner Mongolia(內蒙古) and in Liaoning province(遼寧省), and it is also found that both the materials of patterns and the expression have the similarity with the ware in Liao(遼), Jin(金), and Western Xia(西夏) of China.
    However, given the difference in usage time of 200 to 300 years, it can be said that Buncheong Ware with Sgraffito was not directly influenced by Liao(遼), Jin(金), and Western Xia(西夏). but influenced by the remaining Yuan Dynasty ceramics cultures.
    This relationship between Buncheong Ware with Sgraffito and the Northern Chinese ceramic was attributed to the trade with northern China and the influx of naturalized people in the Late Goryeo and Early Joseon Periods, which led to the introduction of procelain and a series of social changes. It was argued that Buncheong Ware with Sgraffito and Inlaid Buncheong were produced at the same time due to the same pattern and model of them.
    There were many social changes in Joseon during the during the late Yuan and early Ming periods. In addition, Buncheong Ware with Sgraffito is an important porcelain that can give a glimpse of these social changes from a ceramic history perspective, so it can be said to be meaningful in this respec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악미술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영화 <퍼스트 라이드.> 시사회 초대 이벤트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3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