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박지원(朴趾源) 문학에 나타난 창조적 사유와 그 의미 (The Creative Thinking and Its Meaning in Jiwon Park’s Literature)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6 최종저작일 2016.05
33P 미리보기
박지원(朴趾源) 문학에 나타난 창조적 사유와 그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전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韓國古典硏究 / 33호 / 377 ~ 409페이지
    · 저자명 : 박수밀

    초록

    본 논문은 연암 박지원의 새로운 사유를 탐구해 가기 위한 일환으로 기획된 것이다. 연암의 창조적 사고와 글쓰기가 어디에서 출발했는지를 살피고, 그의 새로운 사유 몇 가지를 이야기했다. 먼저, 연암은 기존의 지식과 문자가 진실을 담고 있지 않다고 생각했으며, 문자가 실제를 은폐한다고 비판했다. 연암은 문학은 과거의 윤리와 지식을 전달하는데 그쳐서는 안 되며 변화하는 자연 사물과 현실을 드러내야 한다고 생각했다. 사물과 현실은 본체의 그림자가 아니라, 진실을 드러내는 최고의 문장이었다. 연암의 새로운 인식 중에서 주변의 중심화에 대해 주목해 보았다. 연암은 중심적인 자리에서 벗어나 보이지 않는 곳, 소외된 사이를 꼼꼼히 살폈다. 연암은 표면적으로는 양쪽을 두루 보자고 하는 것 같지만, 실제로는 보이지 않는 곳, 사회가 옳다고 여기는 것의 반대쪽을 제대로 보자고 하였다. 연암은 주변을 중심화 함으로써 중심에 소외되어 있던 가치와 존재의 편에 서고자 했다. 그리하여 궁극적으로는 중심과 주변, 귀한 것과 천한 것이 서로 어울려 살아가기를 소망했다. 두 번째로 연암의 색(色)과 빛[光]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소경 비유에 대해 살펴보았다. <능양시집서(菱洋詩集序)>에서 까마귀 날개 비유는 단순히 감각기관의 한계에 대한 문제 제기를 넘어 현대의 인상파 이론과도 통했다. 이 글은 연암의 창조적 사유가 뻗어나간 높이를 잘 보여주고 있었다. 연암은 세상은 혼돈되고 뒤죽박죽이므로 피상적인 눈으로는 진실을 볼 수 없다고 생각했다. 연암은 보는 자가 스스로 속는 것이므로, 제대로 보는 눈을 지녀야 한다고 했다. 연암의 사유는 중세의 질서를 넘어 오늘날에도 새로운 문제의식을 던져 준다는 점에서 현재성을 지닌다. 연암은 진실한 세계를 만들기 위해 고민했던 경계인으로 자리매김 되어야 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intends to trace the new thinking of Yeon Am, Park Jiwon. It proves the sources of his creative thinking and writing and tells the several aspects connected with his new thinking. Firstly, Yeon Am thought that existing knowledge and letters did not contain the truth and criticized that the letters hided the reality. He insisted that literature is not just a tool to deliver past ethics and existing knowledge, but it should reveal the changeable things and reality. Things and reality are not just shadow of main body, but the best writings to show the truth. In his creative thinking, the centralization of surroundings is distinguished. Yeon Am left the center place and investigated into the invisible spaces and isolated conners. Superficially he seemed to insist looking into the both sides, in reality he urged to watch the invisible spaces, the place opposite to the common place agreed in a society. He provided surroundings toward the centeral place, sided for the value and existence isolated from the center. Finally, he wished that center and surrounding, valuable and humble things, all would have lived in a harmony. Secondly, this study explores his new understanding of light and color with his comparison of the blind. In his “NeungYangShiJeapSeo” the comparison of raven wings is not just problematic suggestion for the limitation of human sensory organ, but closely related with the theory of modern impressionist. This writing proves the high level of his creative thinking. He thought that the world is full of disorders and confusion, so nobody can see the world with superficial eyes. In his thinking, viewer deludes himself, so he should keep correct eyes to see the truth. His creative thinking overcame the paradigm and order of Middle Age and still today offers the present aspects and meaning with new critical mind. Yeon Am is to be considered as the marginal man who tried to create the true worl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韓國古典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4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