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朴齊家의 淸代 詩文學 受容과 批評에 관한 考察 (A Review on the Acceptance and Criticism of the Poetry of Qing Dynasty by Bak Jega)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6 최종저작일 2021.05
25P 미리보기
朴齊家의 淸代 詩文學 受容과 批評에 관한 考察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동양예술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양예술 / 51호 / 191 ~ 215페이지
    · 저자명 : 임명남

    초록

    朴齊家는 북학파 문인중에서 누구보다도 당시 청대에서 유행했던 백화소설뿐만 아니라, 王士禎의 神韻說, 袁枚의 性靈說, 翁方綱의 肌理說 등 청대 시론에도 민감하게 반응했던 인물이다. 본고는 박제가의 청대 시문학 수용과 비평을 간단히 살펴본 논문이다.
    그는 청대 시문학에 대한 무분별한 수용이라는 비판과 함께 당시 자신을 살펴주리라고 생각했던 正祖로부터 자신의 문장에 대한 自訟文을 올리라는 명을 받고, 맛[味]을 예로 들면서 변치 않는 맛의 중요성을 주장했을 정도로 자신의 세계관이 확고했던 인물이다. 그는 시·서·화를 겸비했던 당시 청대 李調元·潘庭筠·彭元瑞·洪亮吉·紀昀·羅聘·翁方綱 등과 교유하면서 전통적 華夷觀에서 벗어나 夷狄의 것이라도 그들의 선진 문명은 수용해야 한다는 입장을 견지했다. 그리하여 그는 기윤의 소설집을 읊은 「灤陽消夏錄」 첫 수에서 ‘三達尊’이란 말로 그의 세 가지 높은 면을 칭송했다. 羅騁의 墨竹에는 형상을 그리고서도 내면의 정신을 함께 그렸음을 제화시로 읊었으며, <鬼趣圖>에 대해서는 形似에 구애받지 않는 자유로운 神似的 화풍을 높이 칭송했다.
    당시 청대 시단에는 왕사정의 신운설과 원매의 성령설 그리고 옹방강의 기리설등 다양한 시론이 성행했다. 이것들은 모두 조선의 시문학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그는 동심설을 주장한 명대 公安派의 ‘獨抒性靈, 不拘格套’에 깊이 공감했으며, 袁宏道의「徐文長傳」은 박제가의 문예 형성에 지대한 영향을 주었다. 그의 「燕京雜絶」에는 徐渭의 풍격을 칭송하면서 시·서·화가 뛰어난 그를 전범으로 삼는 언사가 있다. 또한 왕사정의 「歲暮懷人六十首」를 본받아「戱倣王漁洋歲暮懷人六十首」를 창작했는데, 왕사정의 시구야말로 천하에 심오한 경지에 이르렀다고 했다. 박제가는 성령설을 주장한 원매의 문학관과 매우 가까웠는데, 특히 詩情의 진실성을 주장하는 것에서는 많은 공통점이 있었다. 기리설을 주장한 옹방강은 실사구시를 제창한 실증학풍의 문인이기도 하다.
    이전 시문학에 대한 비평은 주로 문집의 序跋文을 통해서 이루어졌지만, 청대 다양한 시문학을 받아들인 박제가는 자신의 자주적․자득적 시문학 세계를 통해, 논인․논서․논화시 형식으로 비평의식을 드러냈다. 본고는 그 일단을 규명한 데에 있으며, 박제가 연구에 있어서 이 부분은 앞으로도 지속적인 논의가 필요하다 하겠다.

    영어초록

    Bak Jega(朴齊家) was sensitive to Vernacular Sintic novels(白話小說) that were popular in Qing Dynasty at the time, as well as “The theory of divinity”(神韻說) of Wang Shizhen(王士禎), “The theory of spirituality”(性靈說) of Yuan Mei(袁枚), and “The theory of texture”(肌理說) of Weng Fanggang(翁方綱) than any other Bukhak school(北學派) members. This paper is a brief review of Park Jega's acceptance and criticism of Qing Dynasty poetry.
    In addition to criticism of indiscriminate acceptance of poetry of Qing Dynasty, he was ordered by King Jeongjo, who thought he would look after him at the time, to post a self-written text(自訟文) on his own, and insisted on establishing his worldview, citing everlasting taste as an example. He exchanged with Li Diaoyuan(李調元)·Pan Tingyun(潘庭筠)·Peng Yuanrui(彭元瑞)·Hong Liangji(洪亮吉)·Ji Yun(紀昀)·Luo Pin(羅聘)·Weng Fanggang(翁方綱) of Qing Dynasty, which were talented in poetry, writing and painting, he sticked to the stance to move away from traditional Sinocentrism and accept their advanced civilization even if they were from the barbarians. Thus, he praised three high sides of Ji Yun in the first few words of "Nanyang Soharok"(灤陽消夏錄), which he recited his novel. In "Mukjuk"(墨竹) of Luo Pin he recited in painting poetry that he painted the figure and the inner spirit together while with “The Ghost Amusement Scroll”(鬼趣圖) he praised the godlike style adhere to likeness.
    At that time, a variety of poetics were prevalent in the Qing Dynasty period, including theory of texture of Wang Shizhen, theory of spirituality of Yuan Mei and theory of texture of Weng Fanggang. All of these influenced the poetry literature of Joseon a lot. He was deeply sympathized with the "the soliloquial spirit"(獨抒性靈) and "unrestrainedness"(不拘格套) of Gonganpa(公安派) in the Ming Dynasty which claimed innocence of childhood theory, and "Seomunjangjeon"(徐文長傳) by Yuan Hongdao(袁宏道) greatly influenced the formation of literature of Bak Jega. In his "Yeongyeong Japjeol"(燕京雜絶) there is a saying that praises the customs of Xu Wei(徐渭) and exemplifies him who has excellent poetry, poetry, and painting. Following Wang's "Sixty songs for a man at the end of the year"(歲暮懷人六十首), he created "Six Ships"(戱倣王漁洋歲暮懷人六十首), saying that phrase of Wang reached the profoundness of the world. Bak Jega was very close to the literary view of Yuan Mei, who claimed the theory of the sprituality, especially in insisting on the truthfulness of poetic sentiments. Weng Fanggang, who argued for the theory of the texture, is also an positivistic style writer who proposed to be practical and realistic.
    Although criticism of the previous poetry was mainly based on the foreword(序跋文), Bak Jega, who embraced various poems of the Qing Dynasty, expressed his critical consciousness through his independent and self-contained poetry world, in the form of a thesis, and a non-poetry. This paper identifies the case, and this part of the research needs to be continuously discussed in the fu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예술”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