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박지원의 「허생전」과 오경재(吳敬梓)의 「소운선전(蕭雲仙傳)」에 대한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Park Ji-Won(朴趾源)'s HeoSaengJeon and Wu Jing-Zi(吳敬梓)'s XiaoYunXianJeon)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6 최종저작일 2021.04
33P 미리보기
박지원의 「허생전」과 오경재(吳敬梓)의 「소운선전(蕭雲仙傳)」에 대한 비교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춘원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춘원연구학보 / 20호 / 113 ~ 145페이지
    · 저자명 : 이문파

    초록

    17세기는 한국과 중국 모두 사회적으로 동요하던 시기였으며 18세기 이후에는 정치적으로는 안정적이지만 사회 모순은 점점 더 깊어져 혼란스러운 시기였다. 거듭된 사회적 동요와 전란, 그로 인해 야기된 정치·사회적 갈등과 모순, 피폐해진 삶, 경제적 변화로 복잡했던 상황은 당시 백성들이 현실의 삶을 부정하게 만들었으며 지식층에게는 현실을 제대로 인식하고 스스로 각성하는 계기가 되었다. 본고는 박지원의 「허생전」과 오경재의 「소운선전」을 비교하여 두 작가가 현실적 문제에 어떻게 접근하고 어떻게 변용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역사적 흐름 속에서 박지원은 현실을 직시하고 개혁하고자 했다. 박지원이 생각한 주요 현실문제는 세 가지를 들 수 있다. 첫째는 양반의 타락한 신분문제, 둘째는 폐쇄적인 경제구조 및 폐단문제, 셋째는 북벌론 문제다. 「허생전」에 허생은 현실적인 문제에 초점을 맞추어 현실적인 문제에 대해 구체적인 해결책을 제시함으로써 이상적인 사회 건설을 실현하고, 박지원은 현실문제에 대한 세 가지 대안을 제시한다.
    『유림외사』의 오하현은 당시 명·청시대의 전체 사회의 축소판이었으며, 오하현의 창을 통해 혼란스러운 사회에서 선비들이 허명과 공리를 위해 당시 팔고취사(八股取士) 풍조를 맹목적으로 따랐음을 보여준다. 오경재는 객관적인 현실을 반영함에 있어서 주관적인 내면세계에서 출발하는 것에 치중하여 이상세계에 대한 열렬한 추구를 토로한다. 다시 말하자면 오경재는 소운선을 내세우고 처한 현실을 탈피하여 낭만적인 현실인식을 통해 이상사회를 추구하고자 한다.
    박지원은 현실 문제를 출발점으로 삼아 그 문제를 해결하려는 반면, 오경재는 낭만적인 성격을 띤다. 두 작가가 각각 처한 사회와 개인적인 경험 등 이유로 실천에 한계가 있는 것은 사실이나, 당시 사회적 상황을 고려한다면 매우 의미 있는 시도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e 17th century was a time when both Korea and China were socially agitated, and after the 18th century, political stability was stable, but social contradictions grew deeper and deeper. The complex situation of repeated social unrest and war, political and social conflicts and contradictions, impoverished lives, and economic changes caused the people to deny reality at that time, and served as an opportunity for intellectuals to recognize reality and wake up themselves. The report aims to compare Park Ji-won's "HeSungJeon" and Oh Wu Jingzi's "XiaoYunXianJeon" to see how the two writers approach and change realistic problems.
    In the midst of historical trends, Park Ji-won wanted to face reality and reform. There are three main real-life problems that Park Ji-won thought of. The first is the issue of corruption between the two, the second is the issue of closed economic structure, and the third is the issue of Northernism. In "Hesengjeon," Heo Saeng realizes ideal social construction by focusing on realistic problems and offering concrete solutions to realistic problems, while Park Ji-won suggests three alternatives to real problems.
    Oh Ha-hyun of "Yurim Foreign History" was a miniature of the entire society of the Ming and Qing period at that time, and through Oh Ha-hyun's window, it shows that the scholars blindly followed the trend of selling and cooking for falsehood and axioms. Wu Jingzi expresses his passionate pursuit of the ideal world, focusing on starting from the subjective inner world in reflecting objective reality. In other words, Wu Jingzi wants to pursue an ideal society through romantic perception of reality by breaking away from the reality of being faced with Soun-sun.
    Park Ji-won tries to solve the problem by using the real problem as a starting point, while Wu Jingzi is romantic. It is true that the two writers have limitations in practice due to their social and personal experiences, but it is a very meaningful attempt considering the social situation at that tim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춘원연구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2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