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박엽(朴燁)에 대한 기억의 변화 재론 (The Re-Discussion of Memory Transformation on Park Yup)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6 최종저작일 2022.05
32P 미리보기
박엽(朴燁)에 대한 기억의 변화 재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문학회
    · 수록지 정보 : 국문학연구 / 45호 / 225 ~ 256페이지
    · 저자명 : 이은주

    초록

    이 글은 인조반정 직후 처형된 박엽이 후대에 주로 야담에서 매우 신이하고 비현실적인 인물상을 보인다는 선행 연구의 착안점을 이어 박엽의 전승담이 특이한 양상을 가지게 된 이유를 조명해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18세기 후반과 19세기에 나타난 잡록과 야담에 나타난 박엽의 일화를 크게 7개의 유형으로 분류하였고 이 일화 중에서 이전 시기에 등장하는 요소들을 정리하였다.
    그런데 18세기 후반과 19세기 야담에서 박엽의 이미지가 변모하고 있다는 사실 자체로는 어떤 이유에서 이런 변화가 일어났는지를 설명할 수 없다. 이 글에서는 박엽이 평안도 지방관을 오래 역임했다는 사실에 착안하여 평양 읍지와 평양 사인 김점이 쓴 『서경시화』 및 『칠옹냉설』에 수록된 박엽 관련 기록을 통해 후대 이야기의 원형으로 보이는 일화들을 확인했다. 특히 야담에서 ‘천인(千人)’을 죽이라는 예언은 박엽의 죽음과 관련된 인물의 별칭이 ‘천인’인데 박엽이 이를 천 명으로 오해했다는 내용으로 나오는데, 지역민이 편집한 『칠옹냉설』에는 박엽이 처형을 남발하게 된 이유가 이 예언을 오인했기 때문이라는 내용만 있다. 곧 평안도 지역에서 박엽의 학정은 기정사실이며 이들은 학정에 시달렸는데, 후대에 이들이 역설적이게도 박엽의 행동을 해명하는 일화를 만들어낸 것을 보면 박엽의 처형 이후 평안도 지역민의 인식에 변화가 나타났다고 생각할 수 있다.
    18세기에 지역민이 박엽의 사당을 비공식적으로 건립한 것도 주목할 부분이다. 심노숭의 「대성산신묘기」를 보면 박엽의 사당은 처형 직후 원한을 가진 지역민이 박엽의 시신을 난도질하고 시신을 수습할 수 없게 한 결과 박엽의 혼령이 떠도는 이미지를 그려냄으로써 이 시기 지역민이 박엽에게 가지고 있는 죄의식과 연민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이것은 박엽의 학정을 부정한 것이라고 볼 수 없다. 박엽은 관찰사를 공식적으로 제향하는 생사당이 아니라 복을 빌기 위해 제사를 지내는 ‘음사’에 모셔졌다. 이렇게 산신이 되면서 원래 작고 여성적인 모습이었다고 하는 박엽은 산신으로 거듭나 평안도의 수호신으로, 나아가 이후 허구적인 서사 속에서 신이한 능력을 가진 무장의 형상으로 인식되었다. 박엽이 후대 야담에서 비현실적이고 신이한 인물상으로 변모하게 된 직접적인 계기는 평안도 지역민이 박엽이 처형되고 시신이 훼손되는 참혹한 모습을 기억하면서 죄의식과 연민의 감정을 가지게 되었다는 것이다. 이 과정을 통해 박엽은 새로운 이미지를 얻게 되었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attempted to shed light on why Park Yup's story took on a unique aspect in the later unofficial historical tales, following the previous study that Park, a close aide to Gwanghaegun who was executed shortly after King Injo's coup, is transforming from a corrupt official to a positive figure. To this end, Park's anecdotes in the late 18th and 19th centuries were classified into seven types, some of which pointed out that they seem to bring partial motifs from the stories of Yoo Mong-in, Park's contemporaries and other official history.
    However, the fact that Park's image is changing in anecdotes in the late 18th and 19th centuries itself cannot explain why this change occurred. In this article, based on the fact that Park served as a governor of Pyongan-do for a long time, he identified anecdotes that seemed to be the prototype of later stories through records in the Pyongyang gazetteer and Pyongyang people Kim Jeom's Seokyeong Sihwa and Chilong Naengseol. The prophecy of killing the "Cheonin" that appears in later anecdotes is the name of the people responsible for Park's death, and Park misunderstood it as a prophecy to kill a thousand people, and Chilong Naengseol showed that Park was innocent because he misunderstood the prophecy. Park's tyranny in the Pyongan-do is the object of resentment to the local people who suffered from his tyranny, but paradoxically, it can be thought that the perception of Pyongan-do residents changed after Park's execution.
    It is also noteworthy that the local people unofficially built Park's shrine in the 18th century. According to Shim No-sung's Daeseongsan Shinmyogi(the record of mountain spirit shrine), Park's shrine is related to the fact that the resentful local people dismembered Park's body immediately after his execution and could not recover the body, and after a period of time, showed the guilt and compassion for Park's spirit. However, this cannot be seen as denying Park's tyranny. Park's shrine was a shrine to pray for good fortune, not the official governor's shrine. when Park became a mountain god, he gained the image of a guardian deity of Pyongan-do, and later gained the image of an warrior figure with mysterious abilities in a fictional narrative. The direct reason why Park turned into an unrealistic and mysterious figure in later anecdotes can be seen as the result of the local people of Pyongan-do remembering Park's brutal execution and his body being damaged, and looking at him anew with guilt and compass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영화 <퍼스트 라이드.> 시사회 초대 이벤트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