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朴善長 가문의 榮州 생활과 시가 창작의 의미 (A study on the family of Bak Seon-jang(朴善長)’s living in Youngju(榮州) and the meaning of their Siga(詩歌))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6 최종저작일 2017.06
31P 미리보기
朴善長 가문의 榮州 생활과 시가 창작의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전문학회
    · 수록지 정보 : 고전문학연구 / 51호 / 65 ~ 95페이지
    · 저자명 : 송재연

    초록

    이 논문은 務安朴氏 寧海派의 朴善長(1555〜1616) 가문이 영주로 이주하여 세거하는 동안 창작한 시가 작품을 검토하여 박선장 가문의 시가 창작 양상과 의미에 대해 고찰하고자 작성된 것이다.
    영주 入鄕祖인 박선장은 南夢鰲와 학맥과 혼맥을 형성하면서 영주 지역에서 입지를 확보하며 안정적으로 학문을 연마할 수 있었다. 그런데 그의 영주 생활에서 주목되는 점은 그가 퇴계학을 계승하는 가운데 『심경』을 탐독하였다는 사실과 이산서원의 동주로서 서원 교육을 통한 영주 지역 향촌사족의 교화에 힘썼다는 점이다. 특히 그는 향촌의 유림들과 함께 직접 구만서당을 건립하여 후학을 양성하는 데에도 진력하였다. 이때 주자의 <白鹿洞書院揭示>에 담긴 강학 지침인 ‘오륜’을 구만서당의 교육 근간으로 삼고, ‘오륜’의 이념을 시조 <五倫歌>로 형상화하여 서당의 유생들을 권면하고자 하였다.
    박선장의 장남인 朴璥 역시 외조부인 남몽오의 문인으로, 환로에 나가지 않고 성리서를 중심으로 한 도학의 탐구를 지향하면서, 특히 『심경』의 이치를 체득하고자 노력하였다. 특히 그는 도학의 의리를 중요시하여 당대의 부조리한 현실에 대한 비판적 인식을 토대로 절의 정신을 시조 <鋤莠歌>로 형상화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박선장과 박경 부자의 시조 창작은 영주 지역에서 사족으로서의 입지를 확보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그 의미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영주에서의 경제적 기반이 약했던 박선장 가문은 남몽오와의 사승 관계를 통해 영주 지역 사족들과 학맥을 형성하고, 또 사제지간의 인연으로 인해 옹서지간이 되면서 영주에서의 입지가 어느 정도는 확보되었을 것이지만, 이후 시조를 통해 퇴계학의 이념을 더욱 공고히 드러냄으로써 친족을 비롯한 주변 在地士族을 교화하고 결속할 수 있었다.

    영어초록

    This paper is to consider creative aspects and the meaning of Siga(詩歌) written by the family of Bak Seon-jang(朴善長), namely Bak Seonjang and Bak Gyeong(朴璥), reviewing the works of poems created living in Youngju(榮州) which is weak in economic fundamentals for generations.
    Bak Seon-jang was be able to hone their studies in Youngju by building school ties and marriageable relationships with Nam mong-o(南夢鰲). By the way, it should be noted in his Youngju life that he read Simgyung(心經) hard, and he make an effort to edification of Hyangchonsajok(鄕村士族) in Youngju by the edcation of Seowon(書院), as a director of Yisan-Seowon(伊山書院). Especially, he build Guman-Seodang(龜灣書堂) with Hyangchonsajok and use all his force in training younger students. At this time, he regarded Oryun(五倫) contained in Bakrokdongseowongesi(白鹿洞書院揭示) as the basis of Education in Guman-Seodang, and he encouraged Confucian scholars in Seodang by forming Oryun in Sijo(時調), Oryunga(五倫歌).
    The eldest son of Bak Seon-jang, Bak Gyeong is also as a student of Nam mong-o, and he make efforts day and night to realize the reason in Simgyung. Especially, he symbolized faithful mind as Seoyooga(鋤莠歌), based on the critical awareness of the absurd reality of the present day.
    In conclusion, the Writing of Sijo in family of Bak Seon-jang means to secure a position as Hyangchonsajok in Youngju are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고전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8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2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