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손해배상금 대불제도에 관한 고찰 : 헌법재판소 2022. 7. 21. 선고 2018헌바504 결정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ystem of advances for damages)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6 최종저작일 2023.12
32P 미리보기
손해배상금 대불제도에 관한 고찰 : 헌법재판소 2022. 7. 21. 선고 2018헌바504 결정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의료법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의료법학회지 / 31권 / 2호 / 7 ~ 38페이지
    · 저자명 : 김민지

    초록

    보건의료시스템은 매 순간 변화를 거듭하는 가운데 의료행위의 특수성과 현대사회의 특성으로 인해 의료분쟁은 증가하고 그 분쟁을 해결하는 비용 또한 커졌다. 이에 대응하여 의료사고 피해자의 신속한 피해구제와 보건의료기관개설자 및 보건의료인의 안정된 진료환경 조성을 위해 손해배상금 대불제도가 입안되었다. 헌법재판소 2022. 7. 21. 선고 2018헌바504 결정은 이 제도를 규정한 「의료사고 피해구제 및 의료분쟁 조정 등에 관한 법률(의료분쟁조정법)」 제47조 제2항 후단이 포괄위임금지 원칙에 어긋나므로 2023년 12월 31일까지 개정입법하도록 하였다.
    손해배상금 대불제도는 ‘대불 재원 마련―대불―구상―결손처분’의 범위에서 대불 재원을 어떻게 운용하느냐에 따라 제도의 유지 가능 여부가 달라진다. 현재 대불 재원 운용의 가장 큰 문제는 제도 도입 후 평균 구상률이 8.3% 수준에 그치는 것으로, 재원은 단기적 안정성 및 장기적 지속성 모두 확보하지 못했다. 제도 도입 시에는 부담금 추가징수가 미미하리라 예측했으나, 머지않아 정기적·장기적으로 추가 징수하지 않는다면 제도 폐지도 불가피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고 제도의 지속가능성을 제고하기 위해서 세 가지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손해배상금 대불 청구 대상을 축소하는 방안이다. 둘째, 손해배상금 대불금에 상한을 설정하는 방안이다. 셋째, 제도를 폐지하고 의료배상책임보험 의무가입을 추진하는 방안도 고려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국내외 유사 제도에 대한 검토가 부족하다는 점에 한계가 존재하여, 이를 보완하기 위해 대불·구상 기제로 작동하는 제도인 응급의료비 대지급제도, 자동차손해배상 보장사업 및 범죄피해 구조금제도의 정의, 운영·관리 주체, 근거 법률을 검토 및 제시하였다. 후속 연구로는 대불 및 구상 기제를 같이 하는 위 제도의 운영 현황과 특히 재원 운용상 나타나는 문제점 등을 비교, 대조하는 비교제도론적 연구 등이 필요하다. 향후 법 개정 시 손해배상금 대불제도의 지속가능성 제고를 위해 본 연구 결과를 활용할 것으로 기대한다.

    영어초록

    The healthcare system is constantly changing. The unique nature of medical procedur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society have led to an increase in medical disputes, along with a rise in the costs incurred from dispute resolution. In response to these challenges, the system of advances for damages was introduced in Korea to ensure prompt compensation for victims of medical accidents and establish a stable environment for healthcare providers. The Constitutional Court’s 2018 Hun-Ba 504, which was decided on July 21, 2022, calls for a legislative revision by December 31, 2023, particularly of Article 47, Section 2, subparagraph of the ‘Act on Remedies for Injuries from Medical Malpractice and Mediation of Medical Disputes’. This article underlies the governance of the advance system, yet it was found nonconformant to the constitution.
    The sustainability of the aforementioned system depends on how reserved funds are managed within the framework of fundraising―advance for damage―indemnity―deficit disposal. The average indemnity rate has been around 8.3% since the introduction of the system, indicating that the funds are unstable in the short or long term. Initially, additional fee collection was expected to be minimal when the system was introduced. However, if regular and long-term additional fee collection is not implemented, the system would inevitably be abolished. This study presents three potential solutions to these challenges, with a view to enhancing the system’s sustainability: narrowing the scope of those eligible for advances for damages, setting a cap on advance amounts, and abolishing the system and instead promoting mandatory medical indemnity insurance.
    This study shed light on the entire system by examining the decisions made regarding the provisions of the system and identifying problems that have arisen during its implementation. Considering the need for legal revisions in the system, this study identified issues and provided solutions on the basis of the circumstances surrounding system operation. The results are also expected to be useful in enhancing the system’s sustainability during future legislative amendments. Despite these contributions, however, this research is limited in that there remains room for thoroughly examining similar domestic and international systems. A comparative systemic study is needed as a follow-up, focusing on operations and issues related to reserved fund management in similar system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47 오전